통: 비밀. 1 또는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통: 비밀. 1 또는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

땅끝
2025-04-24 13:25 6 0

본문




통: 비밀. 1
9791157401345.jpg


도서명 : 통: 비밀. 1
저자/출판사 : 오영석, 네오픽션
쪽수 : 392쪽
출판일 : 2016-04-18
ISBN : 9791157401345
정가 : 14800

프롤로그
제1부 밝은 길: 기소라의 시점
제2부 암흑의 길: 이정우의 시점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
9788996904250.jpg


도서명 :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
저자/출판사 : 이도상, 들메나무
쪽수 : 324쪽
출판일 : 2015-03-10
ISBN : 9788996904250
정가 : 16000

1부 식민사학의 실체와 고대조선사

1장 | 식민사학, 무엇이 문제인가?
1. 우리를 위협하는 안보 환경
2. 일제의 역사 침략과 식민사학의 실체
3. 우리 역사의식의 현주소

2장 | 식민사학으로 왜곡된 고대조선사 바로 알기
1. 패수 위치 논쟁과 한사군
2. 만리장성이 말하는 요하문명의 성격
3. 단군은 신인가, 역사 속 인물인가?


2부 한국 고대사 체계 검토

1장 | 한국 고대사 논쟁의 세 가지 핵심 쟁점
한국 고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논란

2장 | 한국 고대사 체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1. 단군조선 - 기자조선 - 위만조선 - 한사군 체계
2. 한씨조선 - 위씨조선 - 한사군 체계
3. 예맥조선 - 위만조선 - 한사군 체계
4. 고대조선 - 열국시대 체계

3장 | 사료를 통해 보는 고대조선
1. 한국 측 사료
2. 중국 측 사료
3. 일본의 낙랑 유적 조작과 한사군 위치 왜곡
4. 기자와 기자조선에 대한 여러 해석들
5. 기자국, 위만국, 한사군의 위치와 한국 고대사 해석

4장 | 고고학으로 밝히는 고대조선의 실체
1. 고고학적 연구 성과와 해석의 한계
2. 요하문명의 주인은 누구인가?
3. 신석기시대 한민족 형성
4. 청동기시대 고대국가 형성

5장 | 다시 쓰는 한국 고대사 체계
1. 한국 고대사 인식상의 오류
2. 도표로 보는 한국 고대사 체계


3부 국사교과서의 고대조선사 서술 분석

1장 | 국사교과서 분석의 기준

2장 | 고대조선 건국에 대한 내용 분석
1. 고대조선 실재성에 대한 논란
2. 잘못 엮어진 교과서 내용과 역사 용어

3장 | 청동기시대 진입 연대에 대한 내용 분석
1. 청동기시대 진입 연대
2. 불합리한 교과서 설명과 연대 설정

4장 | 기자국과 위만국, 한사군에 대한 내용 분석
1. 위치와 성격에 따른 한국 고대사 해석
2. 고대사 왜곡으로 이어지는 교과서 서술

5장 | 국사교과서 개편 방향
국사교과서 고대사 부분 검토 결과


4부 한민족의 기원, 단군왕검사화

1장 | 건국 사화에 대한 이해
건국 사화는 민족 구성원 모두의 보편적 상식

2장 | 인류 문명의 변천 과정
1. 신화와 인류 문명의 관계
2. 남북한 지역의 무리사회 유적
3. 정치권력의 등장과 초기 고대국가 형성

3장 | 역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단군왕검사화
1. 단군왕검사화 형성 시기에 대한 논란
2. 국사교과서에 실린 단군왕검사화 내용
3. 도표로 보는 단군왕검사화
4. 단군왕검사화의 체제 분석
5. 고대조선의 역사적 실재성
법의 존재 여부 / 청동기시대 진입 여부

4장 | 단군왕검사화의 역사적 의의
1. 민족 사화의 역사화 작업
2. 민족의 기원이자 사상과 문화의 원형

맺음말 식민사관 속에 감춰진 한국 고대사를 복원하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