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에 미쳐서 내가 얻은 것은 서울대 합격이었다 또는 대한민국가꾸기
땅끝
2025-04-24 13:25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공부에 미쳐서 내가 얻은 것은 서울대 합격이었다

도서명 : 공부에 미쳐서 내가 얻은 것은 서울대 합격이었다
저자/출판사 : 김수호, 하늘아래
쪽수 : 264쪽
출판일 : 2016-07-22
ISBN : 9791159970023
정가 : 14000
시작하기에 앞서 4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 Q. 이 책을 쓰게 된 계기가 있나요?
Q. 공부를 열심히 하게 된 계기가 뭔가요? / Q. 혼자서 공부하는 이유라도 있나요?
Q.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이 무엇인가요?
PART 1 공부법
자기주도 학습의 단점은? 20
자기주도 학습의 장점은? 25
오답노트가 꼭 필요한가요? 27
잘 외우는 비법은? 30
초반에만 열심히 하다가 포기하게 돼요 / 내용 연결이 잘 안 돼요
눈으로만 읽으니까 머리에 잘 안 남아요
계획을 잘 세우는 방법은? 37
계획표(플래너)의 장점은?
PART 2 수시 준비
수시가 뭔가요? 42
생활기록부에 어떤 내용을 넣어야 할까요? 44
수상 경력이 중요한가요? / 진로희망은 어떻게 적을까요? / 창의적 체험활동이란?
교과학습 발달상황을 풍부하게 만들려면? / 독서활동에는 어떤 책을 써야 하나요?
소논문이란 무엇인가요? 54
소논문은 어떻게 작성하나요? 56
소논문은 어떤 형식으로 쓰나요? / 소논문 주제는 어떤 걸로 해야 할까요?
소논문 작성에도 요령이 있나요? / 참고할 만한 사이트 있나요?
자소서는 어떻게 써야 하나요? 63
자소서에는 대체 무엇을 써야 하나요? / 공통문항 1번 공략
공통문항 2번 공략 / 공통문항 3번 공략
자소서 쓸 때 주의할 점이 있다면? 84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자 / 전체적인 내용을 연결시키자!
PART 3 정시 준비
국어
국어에서 가장 중요한 게 뭐라고 생각하나요? 88
책 읽기가 국어 공부에 도움이 되나요? 93
국어 독서(비문학)가 취약하다면? 97
지문이 너무 길어요 / 내용 파악이 잘 안 돼요
국어 문법이 취약하다면? 103
용어가 너무 헷갈리면? / 뭐를 외우고 뭐를 외우지 말까요?
국어 문학이 취약하다면? 108
문학은 주관적인 거 아닌가요? 왜 정답이란 게 있죠?
소설이 너무 길고 복잡해요 / 낯선 작품이 나오면 어떡하죠?
국어 EBS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119
수학
수학 선행학습을 꼭 해야 할까요? 121
한 번 봤는데 자꾸 까먹어요 / 누구는 여기까지 벌써 끝냈다는데……
교재는 뭐로 하죠? / 인강을 들을까요?
수학 개념이 부족하다면? 131
조건이 뭐였지? /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 증명해보기
어려운 문제는 손을 못 대요 142
어떤 개념들이 녹아 있는가? / 자주 쓰이는 풀잇법은?
조건을 모두 활용했는가? / 정의가 뭐지? / 구해야 하는 게 몇 개지?
답지를 볼까요? 보지 말까요? 163
하루에 몇 문제씩 풀어야 하나요? 167
계산 실수를 너무 많이 해요 170
실수도 실력인가? 다 풀어놓고도 틀려요 175
구하라는 걸 안 구하고 딴 걸 구해요 / 문제를 제대로 안 읽어요
시간 배분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183
영어
수능 영어! 어떤 형식으로 출제되나요? 187
수능 영어! 전체적인 공부 방향은? 190
영어 단어장! 어떤 걸 써야 할까요? 194
단어 공부는 어떻게 할까요? 196
문법은 따로 공부해야 할까요? 199
EBS와 기출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요? 201
EBS 지문은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204
연계 문제! 직접 만들어보자 / 어려운 구문 공략하기
듣기는 어떻게 대비하나요? 208
문장 구조가 잘 파악되지 않는다면? 210
우리말로 해석하니까 너무 어색해요 213
영어 기출문제는 어떻게 공부할까요? 215
바꿔 쓰기(paraphrase)에 집중하자! / 모든 선지에 대한 근거를 찾자!
유형별 공략법을 익히자
탐구영역
탐구는 무엇을 선택해야 하나요? 220
교과서를 펴보자 / 응시자 수 확인 / 내가 목표로 하는 대학은?
진도는 언제까지 끝내야 하나요? 224
탐구 기출은 어떻게 공부하나요? 226
EBS 연계 교재의 활용법은? 228
수능 탐구 문제의 특징은? 230
탐구는 암기만으로 해결되나요? 232
PART 4 수험 생활
시험 때마다 너무 긴장해요 236
실전연습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스톱위치로 시간재기 / OMR 마킹연습
긍정적인 자기 암시 슬럼프는 어떻게 극복하나요? 245
잠이 너무 많은데 어쩌죠? 247
도움이 될 만한 사이트 있나요? 249
맺음말 251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는지?
참고자료 1 252
자소서 실제 사례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참고자료 2 261
수능 볼 때 꿀팁들
대한민국가꾸기

도서명 : 대한민국가꾸기
저자/출판사 : 박동운, 도서출판 선
쪽수 : 400쪽
출판일 : 2015-04-20
ISBN : 9788963124834
정가 : 15000
발간에 부쳐
1부 나는 왜 자유시장주의자가 되었는가? - 013
1. 나는 왜 자유주의자가 되었는가? - 015
2. 나는 왜 자유시장주의자가 되었는가? - 025
2부 한국의 창업가 5인은 한국경제를 어떻게 이끌었는가? - 037
1. 박승직: ‘한국 최초의 100년 기업 두산’의 주춧돌을 놓다 - 039
2. 유일한: 세금 제대로 내고 기업을 대물림하지 않다 - 048
3. 구인회: “남이 미처 안 하는 것을 선택하라.” - 057
4. 이병철: 73세에 반도체사업에 도전하다 - 067
5. 정주영: 자동차·조선사업으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다 - 079
3부 그들은 왜 훌륭한 정치가로 존경받는가? - 093
1. 리콴유: “싱가포르를 나라다운 나라로 만들겠다.” - 095
2. 박정희: “수출만이 살 길이다. 팔 수 있는 것은 뭐든지 다 팔아라.” - 103
3. 덩샤오핑: “가난이 공산주의는 아니다.” - 112
4. 마거릿 대처: 구조개혁 성공으로 세계를 시장경제로 바꾸다 - 121
5. 로널드 레이건: 핵전쟁을 종식(終熄)시켜 세계를 평화롭게 만들다 - 130
6. 넬슨 만델라: ‘인종분리정책’ 폐지 이끌어 인종차별 없는 나라를 만들다 - 138
4부 누가 베푸는가? - 149
1. ‘자발적 베풂’의 원조는 기독교 - 151
2. 경주 최 부잣집: “사방 백 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 159
3. 이종환: “세계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주인공을 찾습니다.” - 166
4. 앤드루 카네기: “부자인 채로 죽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 175
5. 알프레드 노벨: “인류에게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들에게 상을 주라.” - 184
6. 빌 게이츠: “기부하면 기뻐진다.” - 192
5부 어떤 나라는 왜 변하고, 어떤 나라는 왜 변하지 않는가? - 201
1. 아일랜드: 해외자본 유치로 17년 만에 소득 5만 달러대로 진입한 나라 - 203
2. 스웨덴: ‘복지국가 모델’에서 ‘작은 정부’로 바뀐 나라 - 208
3. 아르헨티나: 포퓰리즘 열병(熱病)으로 경제가 끝없이 추락해 온 나라 - 220
4. 필리핀: 부의 편재(偏在)로 성장이 더딘 나라 - 225
5. 북한: 70년 동안 사회주의 고수(固守)하다 ‘쪽박’ 찬 나라 - 230
6부 역대 정부의 정책은 왜 아쉬움을 남겼는가? - 241
1. 김대중 정부 ①: 구조개혁은 왜 성공하지 못했을까? - 243
2. 김대중 정부 ②: ‘영세상인을 위한 임대차보호법’은 누구에게 도움이 되었을까? - 249
<부록> : ‘전월세 상한제’는 결코 도입되어서는 안 된다 - 254
3. 노무현 정부: 반시장정책으로 주택가격을 낮췄을까? - 259
4. 이명박 정부: 휘발유 가격 100원 낮춰 서민들에게 도움 주었을까? - 267
7부 노동시장은 왜 유연해야 하는가?: 여섯 나라 이야기 - 275
1. 미국: 해고가 쉬워 노동시장이 가장 유연한 나라 - 277
2. 영국: 노동개혁으로 노동시장이 유연하게 된 나라 - 283
3. 독일: 고용보호 완화로 ‘일자리 기적’을 이룩한 나라 - 292
4. 일본: 잘못된 노동 관행으로 비정규직을 양산(量産)한 나라 - 301
5. 뉴질랜드: ‘고용계약법 도입’만으로 노동시장이 유연해진 나라 - 308
6. 한국: 고용보호와 노동규제 강화로 노동시장이 지속적으로 경직된 나라 - 314
8부 웰빙시대 가꾸기 - 325
1. 전국을 하나의 관광도시로 만들어 소득 5만 달러 시대를 앞당기자 - 327
2. 우리도 이제 주말농장을 도입할 때가 되었다 - 334
3. 규제 풀어 생활체육시설을 확충하자 - 339
4. 규제 풀어 장묘문화(葬墓文化)를 바꾸자 - 343
9부 신변잡기身邊雜記도 ‘대한민국 가꾸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 353
1. ‘행정착오’ 방지에 기여한 행정소송 이야기 - 355
2. 정치가들, 교수들, 목사들에 의해 망가져가는 ‘올바른 말투’ - 357
3. ‘통일적금통장 갖기 운동’ ①: 부부가 함께 추진한 이야기 - 365
4. ‘통일적금통장 갖기 운동’ ②: 신문에 소개된 이야기 - 370
5. H군의 몽둥이 - 373
6. 육아 일기: 아들놈의 울음소리 - 378
7. 암 투병기: “저렇게 훌륭한 의술도 하나님의 은혜다!” - 384 부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