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한 제국 또는 한암선사연구
땅끝
2025-04-24 13:25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거룩한 제국

도서명 : 거룩한 제국
저자/출판사 : 정태식, 페이퍼로드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5-11-13
ISBN : 9791186256091
정가 : 18000
머리말
서론
제1부 | 복음주의의 역사
제1장. 영국 청교도 혁명
제2장. 복음주의와 미국: 신 이스라엘 건설 프로젝트
제3장. 개신교 근본주의의 출현: 종교의 정치화
1. 1차 세계대전과 모더니즘 논쟁
2. 1970~80년대 근본주의와 정치 우익의 동맹
3. 9/11 사태와 근본주의의 미국 패권주의와의 동맹
제2부 | 부시의 테러와의 전쟁: 정치와 종교의 반동적 지형 변화
제4장. 부시의 근본주의적 정책: 정치의 종교화
1. 부시의 종교 체험
2. 9/11 테러와 선악 대립 구도 재등장
3. 선악 구도의 전통과 정치적 활용
4. ‘공동체 종교’의 부활과 국가 비극의 치유
5. 보복 전쟁을 통한 미국의 도덕성과 정치적 우월성 회복
제5장.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와의 성전(聖戰)
1.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에 대한 선제적 공격
2. 악의 축 이라크 후세인 정권과의 종교전쟁
3. ‘테러와의 전쟁’은 ‘의로운 전쟁’이었는가?
제3부 | 오바마의 종교 친화 정책과 보수 우익의 반격
제6장. 오바마와 종교의 공적 담론으로의 초대
1. 오바마의 복음주의 수용과 포용
2. 오바마와 라인홀드 니버: 미국에 대한 성찰과 비판
제7장. 오바마의 종교성 논란과 우파의 도전
1. 오바마의 포스트모던적인 신앙 여정
2. 오바마의 멘토 라이트 목사의 반미 발언 논쟁
3. 티파티 운동과 정치·종교 우익의 도전
제4부 | 진보적 복음주의의 정치 사회적 동력
제8장. 복음주의의 사회 참여로의 성대한 복귀
1. 신복음주의의 등장과 시카고 복음주의 선언
2. 평화를 위한 오순절 행진과 복음주의 갱신 운동
3. 진보적 복음주의의 사회적 부상과 민주당과의 제휴
제9장. 미국 국가주의에 대한 진보적 복음주의의 도전
결론
※부록: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종교와 정치·경제의 긴장과 타협
B.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
1. 종교와 세속화 논쟁: 분화론과 사유화론
2. 종교의 공적 재등장과 탈사유화
주(註)
참고문헌
한암선사연구

도서명 : 한암선사연구
저자/출판사 : 한암사상연구원, 민족사
쪽수 : 592쪽
출판일 : 2015-05-25
ISBN : 9788998742485
정가 : 32500
발간사 … 4
1. 漢岩의 자전적 구도기 「一生敗闕」 …………………… 윤창화
[요약문] ………………………………………………………………………… 14
Ⅰ. 서두 … ……………………………………………………………………… 15
Ⅱ. 資料의 발견 경위 … ……………………………………………………… 16
Ⅲ. 「一生敗闕」의 作者와 筆寫者 …………………………………………… 18
1. 作 者 …………………………………………………………………… 18
2. 筆寫者 …………………………………………………………………… 19
Ⅳ. 「一生敗闕」 全文 판독 …………………………………………………… 21
1. 原 文 …………………………………………………………………… 21
2. 飜 譯 ……………………………………………………………………… 25
Ⅴ. 「一生敗闕」의 內容 분석과 漢巖의 悟道과정 ………………………… 31
Ⅵ. 呑虛 撰 「漢巖碑銘」과의 相異點 … …………………………………… 50
Ⅶ. 맺는말 … …………………………………………………………………… 52
부록 : 「一生敗闕」 年譜와 「一生敗闕」 필사본 …………………………… 54
2. 方漢岩과 曹溪宗團 ……………………………………………… 김광식
[요약문] ………………………………………………………………………… 62
Ⅰ. 서언 … ……………………………………………………………………… 64
Ⅱ. 조선불교 禪敎兩宗의 교정 ……………………………………………… 66
Ⅲ. 朝鮮佛敎 禪宗의 종정 …………………………………………………… 70
Ⅳ. 조선불교 조계종의 종정 … ……………………………………………… 76
Ⅴ. 대한불교의 종정 …………………………………………………………… 83
Ⅵ. 한암의 종정에 나타난 성격 ……………………………………………… 89
Ⅶ. 결어 … ……………………………………………………………………… 91
3. 한암의 건봉사결사와 念佛參禪無二論 ……………… 김호성
[요약문] ………………………………………………………………………… 96
Ⅰ. 머리말 ……………………………………………………………………… 98
Ⅱ. 『寒巖禪師法語』의 사료적 가치 ………………………………………… 101
Ⅲ. 건봉사, 염불결사에서 수선결사로 ……………………………………… 107
Ⅳ. 염불과 참선의 둘이 아닌 관계 ………………………………………… 115
1. 염불과 참선에 대한 정의 ……………………………………………… 117
2. 염불과 참선의 무이론(無二論) ……………………………………… 121
(1) 자성미타와 염불선 ……………………………………………… 121
(2) 고성염불 비판 ……………………………………………………… 125
Ⅴ. 맺는말 … …………………………………………………………………… 132
4. 漢岩의 一鉢禪 ……………………………………………………… 고영섭
[요약문] ………………………………………………………………………… 140
Ⅰ. 문제와 구상 ………………………………………………………………… 143
1. ‘반고씨 이전’과 ‘참다운 성품’ ……………………………………… 147
2. 천고의 학과 삼춘의 앵무새 ………………………………………… 150
Ⅱ. 율사와 선사의 살림살이 ………………………………………………… 159
1. 質直한 성품과 高明한 학문 ………………………………………… 159
2. 유장한 선풍과 활달한 교풍 ………………………………………… 163
3. 守拙의 살림살이 … …………………………………………………… 171
Ⅲ. 일발선풍의 지형도 ………………………………………………………… 175
1. 一鉢의 함의 … ………………………………………………………… 175
2. 물러나는[藏?] 참여 ………………………………………………… 176
3. 나아가는[巧語] 침묵 ………………………………………………… 180
4. 胸襟과 把?의 활구 …………………………………………………… 183
Ⅳ. 정리와 맺음 ………………………………………………………………… 186
1. 법화와 행리의 응축 …………………………………………………… 186
2. 장종과 교어의 확산 …………………………………………………… 187
5. 漢岩禪師의 서간문 고찰 …………………………………… 윤창화
[요약문] ………………………………………………………………………… 190
Ⅰ. 서두 ………………………………………………………………………… 191
Ⅱ. 서간문의 개요와 성격 …………………………………………………… 192
Ⅲ. 각 서간문 고찰 …………………………………………………………… 194
Ⅳ. 맺는말 ……………………………………………………………………… 250
6. 寒巖禪師의 「參禪曲」 …………………………………………… 김종진
[요약문] ………………………………………………………………………… 254
Ⅰ. 머리말 ……………………………………………………………………… 257
Ⅱ. 서지적 고찰 ………………………………………………………………… 259
1. 『寒巖禪師法語』의 형성과정 재구 … ……………………………… 260
2. 『寒巖禪師法語』의 편찬의식과 사회역사적 맥락 ………………… 264
3. 「참선곡」의 작자?발기인?필사자 그리고 텍스트 ………………… 268
Ⅲ. 상호텍스트성과 관습시적 성격 ………………………………………… 273
1. 「회심곡」 「자책가」 「백발가」와의 상호텍스트성 …………………… 275
2. 『수심결』 및 경허가사와 한암 법문과의 상호텍스트성 … ……… 278
3. 불교가사의 구성 원리와 상호텍스트성 … ………………………… 287
Ⅳ. 맺는말-문화사적 의의 …………………………………………………… 290
7. 漢巖禪師의 看話禪思想 … ……………………………………… 인경
[요약문] ………………………………………………………………………… 294
Ⅰ. 머리말 … …………………………………………………………………… 296
Ⅱ. 전편의 체계와 사상 … …………………………………………………… 297
1. 체계 ……………………………………………………………………… 298
2. 思想 ……………………………………………………………………… 301
Ⅲ. 후편의 체계와 사상 … …………………………………………………… 306
Ⅳ. 맺는말 … …………………………………………………………………… 315
8. 漢巖의 宗祖觀과 道義國師 ………………………………… 김광식
[요약문] ………………………………………………………………………… 318
Ⅰ. 서언 … ……………………………………………………………………… 321
Ⅱ. 1910~1920년대 종조문제의 인식 ……………………………………… 323
Ⅲ. 한암의 종조관 피력 … …………………………………………………… 331
Ⅳ. 결어 … ……………………………………………………………………… 339
9. 鏡虛의 지음자 漢岩 ……………………………………………… 윤창화
[요약문] ………………………………………………………………………… 346
Ⅰ. 서두 … ……………………………………………………………………… 348
Ⅱ. 경허와 한암의 조우(遭遇) ……………………………………………… 348
1. 첫 번째 만남 … ………………………………………………………… 348
2. 두 번째 만남 … ………………………………………………………… 357
3. 세 번째 만남 … ………………………………………………………… 357
Ⅲ. 경허의 인가(印可) ………………………………………………………… 362
Ⅳ. 경허의 지음자 한암 … …………………………………………………… 364
Ⅴ. 한암의 경허 승화(昇華) 작업 …………………………………………… 372
Ⅵ. 맺는말 … …………………………………………………………………… 380
10. 한암의 格外關門과 看話 …………………………………… 변희욱
[요약문] ………………………………………………………………………… 384
Ⅰ. 한암의 선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 …………………………………… 386
Ⅱ. 敎外別傳 …………………………………………………………………… 388
Ⅲ. 無說法門과 격외지 … …………………………………………………… 393
Ⅳ. 一句法門과 간화, 그리고 격외지 … …………………………………… 397
Ⅴ. 경허와 한암의 간화 인연 ………………………………………………… 402
Ⅵ. 관문 ‘경허’와 ‘한암’을 돌파하는 법 … ………………………………… 411
1) 한암이 던진 관문 … ………………………………………………… 411
2) 어떻게 경허와 한암의 선을 새길 것인가? ………………………… 411
3) 어떻게 해야 선지식의 의도에 사무칠 수 있을까? … …………… 414
11. 한암 선사의 선문답과 공안 ……………………………… 윤창화
[요약문] ………………………………………………………………………… 418
Ⅰ. 선문답의 의의와 역할 … ………………………………………………… 420
Ⅱ. 선문답의 성격과 그 분류 ………………………………………………… 423
Ⅲ. 한암 선사의 선문답 … …………………………………………………… 425
Ⅳ. 맺는말 … …………………………………………………………………… 465
12. 한암과 만공의 同異, 그 행적에 나타난 불교관 …… 김광식
[요약문] ………………………………………………………………………… 470
Ⅰ. 서언 … ……………………………………………………………………… 472
Ⅱ. 한암과 만공의 행적 … …………………………………………………… 476
Ⅲ. 한암 및 만공 노선의 성격 … …………………………………………… 481
1. 종단관 …………………………………………………………………… 482
2. 교육관 …………………………………………………………………… 487
3. 개혁관 …………………………………………………………………… 494
Ⅳ. 한암 및 만공 가르침의 특성 … ………………………………………… 501
Ⅴ. 결어 ………………………………………………………………………… 508
13. 『경허집』 편찬, 간행의 경위와 변모 양상 … …… 이상하
[요약문] ………………………………………………………………………… 512
Ⅰ. 머리말 … …………………………………………………………………… 514
Ⅱ. 『경허집』 편찬, 간행의 경위 ……………………………………………… 515
Ⅲ. 『경허집』 漢巖筆寫本과 禪學院本의 차이 …………………………… 521
1) 한암필사본에만 있는 작품 …………………………………………… 522
2) 선학원본에만 있는 작품 : 73제 98수 ……………………………… 523
3) 선학원본에서 제목에 글자 출입만 있는 경우 … ………………… 524
4) 제목과 편차가 달라진 경우 … ……………………………………… 525
Ⅳ. 『경허집』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 …………………………………… 529
Ⅴ. 맺는말 … …………………………………………………………………… 538
14. 漢巖과 呑虛의 불교관 … …………………………………… 고영섭
[요약문] ………………………………………………………………………542
I. 문제와 구상 … …………………………………………………………… 545
II. 생사와 해탈의 통로 … …………………………………………………… 549
III. 한암과 탄허 가풍의 동처 ………………………………………………… 555
1. 한암의 일발 선풍 ……………………………………………………… 556
2. 탄허의 향상일로 선풍 ………………………………………………… 563
IV. 한암과 탄허 가풍의 부동처 … ………………………………………… 568
1. 한암의 해탈관 … ……………………………………………………… 569
2. 탄허의 생사관 … ……………………………………………………… 574
V. 오대산문의 살림살이 ……………………………………………………… 580
VI. 정리와 맺음 ………………………………………………………………… 58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