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의 딸(상) 또는 일본건축사
땅끝
2025-04-24 13:25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회 연결
본문
대륙의 딸(상)

도서명 : 대륙의 딸(상)
저자/출판사 : 장융, 까치
쪽수 : 392쪽
출판일 : 2016-02-25
ISBN : 9788972914037
정가 : 13000
감사의 말
2003년 판 서문
가계도
연대표
1. 세 치 황금 나리꽃
군벌 장군의 첩(1909-1933)
2. 냉수도 달콤하답니다
만주족 의사와 결혼한 외할머니(1933-1938)
3. 모두 만주국이 지상천국이라고 하네
일본 통치하의 생활(1938-1945)
4. 자기 나라가 없는 노예
통치자가 몇 차례 바뀌다(1945-1947)
5. 쌀 한 말에 딸을 팝니다
새 중국을 위한 싸움(1947-1948)
6. 담연애
혁명적인 결혼생활(1948-1949)
7. 다섯 개의 산마루를 넘다
어머니의 장정(1949-1950)
8. 금의환향
가족과 비적들이 기다리는 쓰촨 성으로(1949-1951)
9. 주인이 출세하면 주인집 닭과 개도 우쭐대는 법이다
청렴결백한 남자(1951-1953)
10. 당신은 고난을 통해서 진정한 공산당원이 될 것이다
어머니가 혐의를 받다(1953-1956)
11. 반우파 투쟁 이후 누구도 입을 열지 않는다
침묵하는 중국(1956-1958)
12. 쌀 없이도 밥을 짓는다
대기근(1958-1962)
13. 천금같이 귀한 소녀
특권이라는 이름의 누에고치(1958-1965)
일본건축사

도서명 : 일본건축사
저자/출판사 : 세진사 편집부, 세진사
쪽수 : 262쪽
출판일 : 2015-03-27
ISBN : 9788971219362
정가 : 18000
저자서문
[제1장 종교(宗敎)-佛寺(불사)와 神社(신사)]
탑(塔)-사원(寺院)의 상징
고대(古代)의 대가람(大伽藍)
정토신앙(淨土信仰)의 건축(建築)
중세(中世)의 신양식(新樣式)-대불양(大佛樣)천축양(天竺樣)
중세(中世)의 신양식(新樣式)-선종양(禪宗樣)당양(唐樣)
대불양(大佛樣) 건축(建築)의 세부(細部)
선종양(禪宗樣) 건축(建築)의 세부(細部)
중세(中世)의 和樣(화양) 건축(建築)
금각(金閣)과 은각(銀閣)
중세(中世)의 조영기술(造營技術)
근세(近世)의 사원건축(寺院建築)
사원건축(寺院建築)의 구조(構造)와 세부(細部)
신사(神社)-신(神)이 머무는 곳
신사건축(神社建築)의 일반형식(一般形式)
양명문(楊明門)-하루종일의 문(門)
일본(日本)의 바로크(Baroque)
진수(鎭守)의 숲
직인(職人)의 세계(世界)
근세(近世)의 조영기술(造營技術)
[제2장 생활(生活)-주택(住宅)과 도시(都市)]
승문(繩門) · 미생시대(彌生時代)의 주거(住居)
미생(彌生) · 고분시대(古墳時代)의 주거복원자료(住居復原資料)
고대(古代)의 도성(都城)
평성경(坪城京)과 평안경(平安京)의 도시계획(都市計劃)
영락(寧樂)의 도읍지(都邑地)
내량시대(奈良時代)의 주택(住宅)
평안경(平安京)
침전조(寢殿造)
평안귀족(平安貴族)의 주공간(住空間)
중세도시(中世都市)의 서민주택(庶民住宅)
무토(武土)의 저택(邸宅)-중세(中世)에서 근세(近世)로
무가(武家)의 의식공간(儀式空間)
서원조(書院造)
서원조(書院造)와 목할(木割)
공가(公家)의 별장건축(別莊建築)-수기옥(數寄屋)
수기옥(數寄屋)의 기법(技法)
민가(民家)의 조형(造形)
민가(民家)의 지역적 특성(地域的 特性)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지방도시(地方都市)
일본(日本)의 근세도시(近世都市)
강호(江戶)의 도시(都市)
강호시대(江戶時代)의 교육시설(敎育施設)
[제3장 전쟁(戰爭)-성(城)과 성곽도시(城郭都市)]
희로성(姬路城)
성(城)의 발전(發展)
전투(戰鬪)와 성(城)
성(城)의 방어시설(防御施設)
현존(現存) 12천수(天守)와 그 형식(形式)
성(城)과 성곽도시(城郭都市)
성(城)과 어전(御殿)
[제4장 유희(遊戱)-수기(數寄)의 공간(空間)]
극소공간(極小空間)의 설계(設計)
다실(茶室)의 내부(內部) 디자인
초암다실(草庵茶室)
로지(露地)의 구성(構成)
능(能)
능(能) 무대(舞臺)
가무키(歌舞技)
가무키(歌舞技) 극장(劇場)
도원(島原)의 각방(角房)
유희공간(遊戱空間)의 디자인
스키(數寄)의 공간(空間)
스키(數寄)의 풍류세계(風流世界)
저자후기(著者後記)
참고문헌(參考文獻)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