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통으로 읽는 한국사. 5: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또는 약초 텃밭가꾸기
땅끝
2025-04-24 13:25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회 연결
본문
알기 쉽게 통으로 읽는 한국사. 5: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도서명 : 알기 쉽게 통으로 읽는 한국사. 5: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저자/출판사 : 이진경, 시공주니어
쪽수 : 316쪽
출판일 : 2015-01-20
ISBN : 9788952780577
정가 : 14800
《마사코의 질문》을 통해서 본 일제 강점기
1장 일제의 침략에 맞서 항일 운동을 펼치다
1. 일제의 을사조약 강제 체결에 맞서 싸우다
* 이토 히로부미를 응징해 독립 정신을 드높인 안중근
2. 일제, 조선 총독부를 설치해 무단 통치하다
* 일제의 무단 통치 아래에서 고통받은 농민들
3. 일제의 무단 통치에 맞서 3?1 운동이 일어나고 임시 정부가 수립되다
* 일제의 총칼에 맞서 싸운 소녀, 유관순
대한민 선생님의 보충 노트 - 독도는 우리 땅!
2장 식민 정책에 맞서 민족 운동이 전개되다
1. 문화 통치로 우리 민족을 이간질하고 경제 수탈을 강화하다
* 산미 증식 계획으로 더욱 비참해진 농민들
2. 나라 안에서 여러 갈래의 민족 운동이 일어나다
* 소작농들이 이긴 암태도 소작 쟁의
3. 나라 밖에서 무장 독립 투쟁이 일어나다
* 간토 대지진 때 벌어진 한국인 대학살
4. 민족 말살 정책에 맞서며 광복을 준비하다
* 민족 운동가에서 친일파로 변절한 최남선
대한민 선생님의 보충 노트 - 일제 강점기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3장 광복된 뒤 나라가 나누어지다
1. 광복을 맞이하고, 또다시 혼란을 겪다
* 민족 독립과 통일에 평생을 바친 김구
2. 남한과 북한에 단독 정부가 수립되다
* 민족의 비극, 제주도 4?3 사건
3. 6.25 전쟁으로 민족 모두 큰 고통을 겪다
* 6.25 전쟁 속에서도 희망을 갖고 열심히 산 부산 피란민들
대한민 선생님의 보충 노트 - 일제에 나라와 민족을 판 친일 세력
4장 대한민국, 전쟁의 상처를 딛고 발전하다
1. 독재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 체제를 다지다
* 민주화의 길을 연 6월 민주 항쟁
2. 고통과 위기를 이겨 내며 경제 발전을 이루다
* 어두운 노동자들 삶에 불을 밝혀 준 전태일
3. 남북, 적대 관계에서 화합과 통일을 향해 가다
* 우리와 똑같이 존중받아야 할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 가정
대한민 선생님의 보충 노트 - 대한민국 정치?경제 10대 뉴스
약초 텃밭가꾸기

도서명 : 약초 텃밭가꾸기
저자/출판사 : 손현택, 지식서관
쪽수 : 448쪽
출판일 : 2016-06-25
ISBN : 9788978131872
정가 : 22500
머리말_06
이 책을 읽는 방법_10
야생에서 종자 채종 시 약초 잎 구별하기_12
01. 약초텃밭 만들기_15
02. 소문난 약초식물 키우기_33
원지_34/ 지모_39/ 홍화(잇꽃)_46/ 삽주(창출, 백출)_51/ 개똥쑥_57/ 황금(속썩은풀)_62/ 익모초_68/ 꿀풀(하고초)_73/ 배초향(곽향)_78/ 지황_83/ 중국패모(패모)_88/ 삼백초_93/ 약모밀(어성초)_98/ 구절초 _103/ 천궁_108/ 참당귀(당귀)_114/ 백선_119/ 비수리(야관문)_125
03. 뿌리를 약용하는 텃밭약초작물_131
산해박_132/ 시호_137/ 전호(아삼)_142/ 사상자_147/ 구릿대_152/ 바디나물(전호)_157/ 승마_162/ 지치(자초)_168/ 인삼_173/ 현삼_178/ 단삼_184/ 잔대(사삼)_189/ 고삼_195/ 황기_200/ 맥문동_205/ 소리쟁이_213/ 둥굴레_218/ 용담_225
04. 나물로도 판매하고 약초로도 먹는 특용텃밭작물_231
참나물_232/ 참취_237/ 곰취_242/ 갯취_247/ 고려엉겅퀴(곤드레나물)_252/ 섬쑥부쟁이(섬취나물)_257/ 씀바귀_262/ 머위(봉두채)_269/ 독활_274/ 양하_279/ 얼레지_284/ 어수리(단모우방풍)_289/ 고수_294/ 갯기름나물(방풍나물, 빈해전호)_299/ 영아자(미나리싹)_304/
05. 덩굴 및 수생 약용식물 작물_315
마(참마)_316/ 쥐방울덩굴_321/ 박주가리_326/ 하수오(적하수오)_331/ 나도하수오_336/ 큰조롱(백하수오)_341/ 만삼_346/ 미래덩굴(발계)_351/ 갈대(노근)_356/ 흑삼릉(삼릉)_361/ 택사 & 질경이택사_366/ 마름(능실)_371/ 퉁퉁마디(함초)_376
06. 목본 약용식물 작물_383
마가목_384/ 두충_389/ 가시오갈피_394/ 음나무(엄나무)_399/ 두릅나무_404/ 산수유_409/ 산겨릅나무(산청목)_414/ 뽕나무(오디)_420/ 느릅나무(유근피)_425/ 초피나무(제피, 산초)_430/ 헛개나무_435/ 옻나무_440
찾아보기_44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