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3 또는 문화와 경제의 행복한 만남
땅끝
2025-04-24 13:25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회 연결
본문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3

도서명 :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3
저자/출판사 : 김남미, 나무의철학
쪽수 : 264쪽
출판일 : 2015-10-05
ISBN : 9791158510145
정가 : 14000
들어가며
맞춤법은 머릿속 질서를 따르는 일이다
1장. 어휘가 바뀌면 맞춤법이 달라진다
1. *각 티슈 vs *곽 티슈 vs 갑 티슈
2. 술 한잔 vs 술 한 잔
3. 숟가락 vs *숫가락
4. 소나무 vs *솔나무
5. 수돗물 vs 수도세
6. 장마비 vs 장맛비
7. 천장 vs *천정
2장. 우리말의 복병, 겹받침
1. 넓고 vs 밟고
2. 업써 vs 업꼬
3. *귀치 않다 vs *귀챦다 vs 귀찮다
4. 닭 vs 맑게
5. 않아 vs 안아
3장. 머릿속 사전은 알고 있다
1. 닭장 vs 닥짱
2. 안다 vs 안따
3. 학여울의 발음
4. 갈 데가 없다
5. 물고기 vs 불고기
6. 연애 vs 연예
4장 왜 국어사전에서 찾을 수 없을까?
1. 돌아가다 vs 돌아 가다
2. 안일하다 vs 안이하다
3. 완전 좋다?
4. 간편하게 vs 간편케 vs *간편게
5. *뿌셔뿌셔 vs 제크
문화와 경제의 행복한 만남

도서명 : 문화와 경제의 행복한 만남
저자/출판사 : 이철환, 나무발전소
쪽수 : 368쪽
출판일 : 2015-05-15
ISBN : 9791186536001
정가 : 15000
1부. 도전받는 자본주의 체제
자본주의의 변천 과정
신자유주의의 심화와 그 후유증
금융자본주의의 전개 과정과 그 후유증
재정악화와 파탄위기의 확산
제 4세대 자본주의 개념과 탄생 배경
2부. 병든 경제의 여러 모습
무기력경제_고용 없는 성장의 딜레마
탐욕경제_이기심과 도덕적 해이의 만연
지하경제_ 탈세와 자금세탁의 온상
종속경제_ 우월적 지위의 남용
갈등경제_경제와 사회균열의 징후들
장벽경제_개천에서 용나기 어려운 세태
패권경제_기축통화의 횡포와 에너지 전쟁
훼손경제_지구를 위협하는 인간의 도발
과시경제_허례허식과 낭비의 조장
선심경제_뜨거워지는 복지논쟁
투기(로또)경제_꺼지지 않는 거품들
양극화경제_소득격차와 경제력 집중심화
고령화 경제, _활력을 잃어가는 경제사회
3부.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시장 기본질서의 올바른 확립
인간존중의 조직문화와 사회풍토 정착
‘경쟁의 시대’에서 ‘협력의 시대’로
기업과 금융기관의 윤리경영 강화
사회안전망의 확충과 질적 내실화
4부. 문화와 경제의 상호보완 관계
문화와 경제는 상호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문화는 경제가 간과한 인간의 자긍심을 고양시킨다
문화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창출한다
문화는 새로운 성장동력이다
문화 자체로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기업과 문화예술은 호혜적 관계이다
문화와 경제의 접목을 성공시킨 도시들 사례
5부. 문화의 생성과 진화, 문화충돌과 융합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의 생성과 고대문화
신과 인간이 공존한 문화, 그리스· 로마 문화
신 중심의 시대, 암흑기의 중세문화
인간성의 회복, 르네상스시대의 개막
‘왕과 귀족의 문화’에서 ‘대중문화’의 시대로
문화· 문명의 충돌과 문화전쟁
동서양 갈등과 종교 갈등으로 인한 문화충돌
문화의 소비기호 차이로 인한 충돌
문화의 융합과 다문화
6부. 문화는 우리를 어떻게 힐링해 주는가?
인생의 답이 있다, 문학의 세계
아름다운 선율은 참혹한 전쟁도 멈추게 한다, 음악의 세계
상상력과 창의력 충전소, 그림과 건축의 세계
잔잔한 미소와 눈물의 샘, 스크린 속의 세계
오감으로 즐기는 문화, 음식과 기호품의 세계
호기심도 채우고 힐링도 한다, 세계로 떠나는 여행길
삶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 종교의 세계
7부. 행복경제와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위하여
행복이란 무엇일까?
행복을 측정하는 지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대한민국은 얼마나 행복한가?
창의성과 신뢰 인프라는 교육혁신으로부터
중산층이 탄탄해야 경제도 살고 문화도 산다
따뜻한 사회와 영속기업을 담보하는 기부문화
문화 콘텐트와 공연산업의 재발견
소유의 문화에서 체험의 문화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