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또는 씨알 함석헌 평전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또는 씨알 함석헌 평전

땅끝
2025-04-24 13:25 6 0

본문




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9791159330278.jpg


도서명 : 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저자/출판사 : 노용무, 수필과비평사
쪽수 : 255쪽
출판일 : 2016-05-30
ISBN : 9791159330278
정가 : 18000

Ⅰ. 시로 보는 함민복 읽기

1. 시로 읽는 함민복을 시작하며 13
2. 희망아, 이 창녀야 15
3. 그날 나는 슬픔도 배불렀다 35
4. 위험한 수업 45
5. 당신 생각을 켜놓은 채 잠이 들었습니다 57
6. 흔들린다 78

Ⅱ. 자본주의의 약속, 그 절망과 반란의 글쓰기
-함민복의 《자본주의의 약속》론

1. 함민복 시의 문제성 105
2. 의미의 선회 혹은 알레고리적 반란 106
3. 자본주의의 약속과 질서 114
4. 근대와 반근대의 경계 121
5. 절망과 반란, 그 경계적 글쓰기 127

Ⅲ. 뻘의 상상력과 근대성에 대한 사유
-함민복의 《뻘에 말뚝 박는 법》을 중심으로

1. 서론 133
2. 《뻘에 말뚝 박는 법》의 대화적 상상력 135
3. 수직적 상상력의 구조-수직으로 뻘에 말뚝 박기 142
4. 수평적 상상력의 구조-수평으로 뻘에 말뚝 박기 148
5. 결론 154

Ⅳ. 허구와 실재의 경계에 놓인 시학
-함민복론

1. 매트릭스와 자본주의, 그 형용할 수 없는
미혹과 폭력의 다른 이름 159
2. 인간과 가축 또는 인간과 시스템 161
3. 허구와 실재 혹은 시뮬레이션과 리얼리티 166
4. 아버지와 텔레비전 그리고 지성의
시대와 감성의 시대 170
5. 경계의 소멸과 경계인의 고독 177

Ⅴ. 길과 그림자로 이어진 뻘의 상상력
-함민복의 《말랑말랑한 힘》론

1. 서론 185
2. 길, 길 위의 다양한 삶과 그 궤적 187
3. 그림자, 존재의 이분법과 타자성 197
4. 뻘, 말랑말랑한 힘과 물컹한 말 205
5. 결론 214

Ⅵ. 장소의 기억과 사물의 존재
-함민복의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론

1. 서론 219
2. 공간의 장소화와 장소의 관념화 221
3. 존재의 투사와 존재성의 현현 230
4. 궁극의 사물성, 수직과 수평의 논리 238
4. 결론 245




씨알 함석헌 평전
9788959405657.jpg


도서명 : 씨알 함석헌 평전
저자/출판사 : 이치석, 시대의창
쪽수 : 488쪽
출판일 : 2015-07-30
ISBN : 9788959405657
정가 : 20000

들어가는 말

제1부 꿈을 꾸다

1장 용천 바닷가에서
감탕물을 먹고
혼자 방을 쓸던 아이
‘나’를 기다리던 길

2장 다섯 뫼 그늘에서
고읍역에 내려서
꿈을 트는 ‘나’

3장 동경에서 생긴 일
‘인생대학’ 입학식
우치무라의 세례
한 편의 영화
사회주의를 거부한 “가슴”

4장 변방에 나타난 목자
남강의 숲
어느 겨울밤의 교실
두 손으로 가린 얼굴
마지막 수업

5장 《성서조선》과 함께
겨울철 성서 모임
‘의’를 구하기
‘루비콘 하河’를 건널 때
‘조선 사람’ 그리기
헌신지교憲臣之交
지나가는 사람들 중에

6장 풀 아래 머리를
셸리와의 해후
서울행을 준비하다가
평양 송산으로
빼앗긴 꿈
서대문형무소로 가면서

제2부 꿈으로부터

7장 반역의 무대
해방의 행진곡을 따라
한 개의 짐을 지고
삼팔선을 넘을 때
한 선
들사람의 사랑
한국 기독교를 향해서
‘씨’와 ‘알’을 말하다
‘생각하는 백성’을 찾아서

8장 서풍의 노래 부르며
무너진 모래탑
혁명의 계절에
세계 여행 길에서
민중을 깨워야 한다
민족을 사랑하는 도리
반드시 해야 하는 싸움
장차 오는 세계를 위해

9장 어머니의 목걸이 찾기
씨알의 소리 내기
저항이 아니라 도전
씨알의 헌법 지키기
씨알 공동체 살리기
전태일 살리기
씨알교육의 터 닦기
한 사람의 힘

10장 꽃 지고 잎 나리어
저녁 나룻가에 서서
사탄의 간첩
민중을 배워야
흙덩이가 돼서라도
변질된 씨, 똥 묻은 명함

11장 높은 봉 구름 위에
그 발길이 올 때
악, 우리가 싸워야 할 것
씨알이 믿지 말아야 할 것
나는 님의 갈대 피리
내 몸을 실험용으로

덧붙이는 글?씨알을 찾아서
찾는 자
씨알 이야기 ‘더 읽기’
낭만주의자의 터전
세상은 밤이더라
엉겅퀴 찔레 밭에서
꿈으로

나오는 말
함석헌 연보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