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야생화 재배관리 매뉴얼 또는 식물혹 보고서
땅끝
2025-04-24 13:26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회 연결
본문
실전 야생화 재배관리 매뉴얼

도서명 : 실전 야생화 재배관리 매뉴얼
저자/출판사 : 박노복 , 정연옥, 푸른행복
쪽수 : 384쪽
출판일 : 2016-05-13
ISBN : 9791156370413
정가 : 26800
머리말 4
야생화 재배
제1장 야생화의 정의
1. 야생식물의 특성 _13
2. 야생식물 재배 시 고려 사항 _15
3. 야생화의 분류 _16
4. 우리나라의 야생식물 생산 동향 _18
5. 관상 가치 및 상업성이 높은 야생식물 _19
제2장 야생화의 재배 환경
1. 광(Light) _22
2. 온도(Temperature) _23
3. 수분(Water) _23
4. 식물의 군락 _24
5. 군락 내의 재군락 _24
6. 기후와 식물 _25
7. 식물 생육 환경과 생육 형태 _25
제3장 야생화 심는 법
1. 노지심기 _28
2. 화분에 심기 _31
3. 포기심기 _38
제4장 물주기와 비료 시비법
1. 식물과 토양 속의 물 _39
2. 식물에 소용되는 물 _40
3. 물주기의 포인트 _41
4. 노지에서 물주기 _43
5. 화분 식물의 물주기 _43
제5장 식물에 필요한 양분
1. 필수 다량 원소 _46
2. 필수 미량 원소 _46
3. 비료 _47
4. 비료의 작용 _48
5. 비료의 종류와 특성 _50
6. 시비의 기본 _51
7. 야생화의 비료 주는 법 _53
제6장 옮겨심기
1. 옮겨심기의 목적 _54
2. 옮겨심기의 시기와 방법 _55
제7장 식물의 번식법
1. 실생 번식 _57
2. 삽목 번식 _59
3. 삽목의 적기 _60
4. 삽목용토 _60
5. 삽수의 준비 _61
6. 삽목 방법 _61
7. 포기나누기 _62
8. 포기나누기의 적기 _628
제8장 식물의 생육과 환경 요인
1. 온도와 생육 _65
2. 호흡작용에 의한 소모 _67
3. 고온과 식물 생육 _69
4. 광과 생육 _70
5. 차광과 생육 _73
6. 월동과 건조 피해 _74
7. 저온의 해 _75
8. 결빙의 해 _76
제9장 토양과 식물 생육
1. 토양의 역할 _78
2. 좋은 토양 조건 _82
3. 이상적인 토양 _82
4. 화분 토양의 선택 _83
5. 야생화에 적합한 토양 _84
6. 토양의 종류와 특성 _85
7. 분의 종류와 선택 _88
제10장 사계절의 손질과 관리
1. 봄 관리 _92
2. 여름 관리 _93
3. 가을 관리 _95
4. 겨울철 관리 _96
제11장 병해충 방제
1. 병해 발생과 대책 _100
2. 충해와 그 대책 _102
제12장 식물의 보존과 보호
1. 천연기념물 _104
2. 희귀식물 _112
3. 멸종위기 야생식물 _114
4. 야생화의 생육 특성 _125
5. 야생화 규격 및 가격 _128
야생화 화분 재배
01 골무꽃 _146
02 구절초 _150
03 금낭화 _154
04 노루오줌 _159
05 돌단풍 _163
06 동의나물 _167
07 두루미꽃 _172
08 둥굴레 _176
09 물매화 _180
10 미나리아재비 _182
11 바위솔 _186
12 병아리난초 _190
13 보춘화 _194
14 산마늘 _197
15 새우난초 _202
16 석곡 _207
17 세뿔석위 _210
18 쑥부쟁이 _213
19 앵초 _216
20 용담 _220
21 우산나물 _224
22 윤판나물 _228
23 은방울꽃 _231
24 자란 _235
25 조개나물 _240
26 족도리풀 _243
27 지네발란 _247
28 천남성 _250
29 콩짜개덩굴 _254
30 큰꽃으아리 _258
31 투구꽃 _262
32 패랭이꽃 _266
33 풀솜대 _270
34 하늘매발톱 _274
35 할미꽃 _277
36 해국 _282
37 홀아비꽃대 _285
야생화 화단·노지 재배기술
01 감국 _290
02 곰취 _293
03 구절초 _297
04 기린초 _301
05 꽃창포 _304
06 맥문동 _307
07 배초향 _313
08 백리향 _316
09 벌개미취 _319
10 범부채 _322
11 부처꽃 _325
12 붓꽃 _328
13 비비추 _331
14 산수국 _334
15 삼백초 _338
16 석곡 _341
17 석산 _345
18 섬기린초 _348
19 섬초롱꽃 _352
20 수선화 _354
21 수크령 _357
22 쑥부쟁이 _360
23 옥잠화 _363
24 원추리 _366
25 참나리 _369
26 창포 _373
27 층꽃나무 _376
28 털머위 _378
29 하늘매발톱 _381
식물혹 보고서

도서명 : 식물혹 보고서
저자/출판사 : 임효순 , 지옥영, 자연과생태
쪽수 : 392쪽
출판일 : 2015-01-19
ISBN : 9788997429486
정가 : 37000
균혹 11
균을 원인으로 형성되는 균혹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발생 부위가 넓어 지상부 전체에서 나올 때가 많다. 습도가 높으면 발생량이 많으며 한 번 발생하면 지속되는 경향이 있고 잎에서 나올 경우, 유엽보다는 성엽에서 형성된다.
진딧물혹 57
진딧물혹에는 진딧물혹, 면충혹, 뿌리혹벌레혹, 이혹이 있다. 이들의 혹은 5~6월에 주로 나오며 기주식물의 한쪽이 크게 신장해 주머니 형태를 만들 때가 많다. 혹 안에는 수십 마리의 진딧물류와 배설물, 탈피각, 밀랍 등이 섞여 있고, 진딧물 포식자인 꽃등에 유충, 풀잠자리 유충, 노린재 등이 함께 있는 경우도 있다. 나무에서 혹을 만드는 진딧물류는 여름~가을에 2차 기주(초본류)에서 혹을 만들지 않고 지내다가 기주식물로 돌아오는 종류가 대부분이다.
응애혹 123
응애혹에는 혹응애와 응애가 만드는 혹이 있다. 혹응애혹은 잎에서 주로 발견되며 다양한 형태의 작은 혹이 잎 전체에 퍼진다. 발생기간이 길어 봄부터 가을까지 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혹응애는 일반 응애와 달리 다리가 두 쌍이며 몸이 길쭉하다.
파리혹 167
파리가 원인이 되어 형성되는 혹으로 여름에 많이 보인다. 잎, 순, 줄기에서 주로 나오고 1년 1세대 혹은 성충을 보기 힘든 경우가 많다. 혹파리류가 대부분이고 굴파리, 꽃파리, 과실파리의 일부 종이 혹을 만든다.
벌혹 277
벌혹에는 혹벌혹과 잎벌혹이 있다. 완전 밀폐형 혹으로 지름 2~5㎜의 작은 혹이 대부분이고 목본에서만 발생한다. 참나무류에서 나오는 혹은 봄에는 수꽃이나 잎에서 양성세대 성충을 만들어 번식하고 가을에는 줄기, 가지, 잎맥에서 단성세대 성충을 만들며 세대교번을 하는 종류가 많다.
기타 혹 365
나방, 총채벌레, 딱정벌레, 선충 등이 원인이 되어 형성되는 혹이며, 나무가 스스로 만드는 혹이 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