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현의 갈등이야기 또는 돌궐 유목제국사 552~745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신창현의 갈등이야기 또는 돌궐 유목제국사 552~745

땅끝
2025-04-24 13:26 8 0

본문




신창현의 갈등이야기
9791186500071.jpg


도서명 : 신창현의 갈등이야기
저자/출판사 : 신창현, 공감의기쁨
쪽수 : 144쪽
출판일 : 2015-12-23
ISBN : 9791186500071
정가 : 20000

Prologue 갈등관리 10년을 돌아보며 6

1. 경험에서 배운다 10
호남고속철도 계룡산 국립공원 통과

2. 환경보존이 개발이다 14
용인시 죽전지구 대지산 택지개발

3. 호미로 막을 수 있을 때 막자 20
청주 원흥이방죽 택지개발

4. 나눠 먹으면 된다 26
시화호 북측간석지 개발

5. 군사시설도 주민기피시설이다 32
송파구 특전사령부 이천시 이전

6. 고향이 갖는 무형의 가치도 보상하자 38
용산 미군기지 평택시 이전

7. 군사시설도 시장이 반대하면 못한다 44
국군기무사령부 과천시 이전

8. 주민기피시설은 이미 있던 곳에 하자 ① 50
충남 홍성군 광역화장장 현대화

9. 주민기피시설은 이미 있던 곳에 하자 ② 56
울산시 추모공원 신설

10. 주민기피시설은 이미 있던 곳에 하자 ③ 62
부산시 제2추모공원 신설

11. 주민기피시설은 이미 있던 곳에 하자 ④ 66
경주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건설

12. 세 번 만에 성공한 주민기피시설 입지 선정 72
이천시 광역 소각장 건설
13. 참여와 투명성이 성공의 열쇠다 78
경기도 구리시 소각장 건설

14. 꿩 먹고 알 먹는 기피시설 빅딜 84
광명시 소각장과 서울시 하수처리장 공동 이용

15. 우리나라 최초의 시민배심원제 도입 90
울산시 북구 음식물 자원화시설 설치

16. 자율이 강제보다 낫다 96
김해시 대포천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유예

17. 시민이 지지하면 못할 일이 없다 102
서울시 청계천 복원

18. 100퍼센트 만족은 없다 108
경부고속철도 KTX역사 명칭

19. 양보할 명분을 주어야 양보한다 114
서울시 구로구와 금천구 행정구역 조정

20. 절차가 공정하면 결과에 승복한다 120
경상북도 청사 이전

21. 찬반 동수 공동조사단의 한계 126
영월 동강댐 건설

22. 환경운동의 종교화는 바람직한가 132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터널

Epilogue ‘하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할 것인가’ 138




돌궐 유목제국사 552~745
9788958289814.jpg


도서명 : 돌궐 유목제국사 552~745
저자/출판사 : 정재훈, 사계절
쪽수 : 672쪽
출판일 : 2016-04-22
ISBN : 9788958289814
정가 : 42000

책머리에 _4

서론 1. 무대: 통합된 초원과 오아시스 세계 _13
2. 자료: 한문 자료와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의 비교 _22
3. 지향: ‘고대 유목제국론’의 재검토 _27
4. 내용: 아사나 권력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소멸 _35

제1편 돌궐 건국 전사
-아사나 건국 신화의 역사화

1장| 건국 신화 기록의 정리와 내용의 재배열
1. 신화 기록 내용 _42
2. 신화 기록의 비교와 내용의 재배열 _53

2장| 아사나 원류 연구에 대한 재검토와 신화 내용의 재구성
1. 아사나 원류 연구에 대한 재검토 _65
2. 이리 신화소로 연결된 사료 (A)와 (B)의 내용 재구성 _75
3. 사료 (C)와 (A)의 내용 재구성 및 아사나의 원주지 비정 _98

3장| 6세기 전후 톈산 산맥 주변 정세와 아사나의 등장
1. 톈산 산맥 주변 세력들의 충돌과 아사나의 형성 _108
2. 아사나의 세력화 과정: 대장장이에서 카간으로 _118

제2편 돌궐 제1제국 552~630
-거대 유목제국으로의 발전과 한계

1장| 지역 단위 유목 국가에서 거대 유목제국으로의 발전 552~579
1. 몽골 초원 장악과 아사나 중심 국가의 성립 _134
2. 급속한 대외 팽창과 거대 유목제국으로의 발전 _170
3. 교역 국가로의 지향과 제국 체제의 정비 _191

2장| 유목제국의 해체와 중국 의존적인 유목 국가로의 위축 579~630
1. 아사나 종실의 내분과 제국의 균열 _224
2. 돌궐의 분립과 수조 중심 질서로의 편입 _257
3. 수말 당초 동돌궐의 질서 재편과 당조의 대응 _293

제3편 당조의 기미지배 630~687
-당조의 유목 세계 질서 재편과 돌궐의 대응

1장| 패망 이후 돌궐의 존재 양상 630~646
1. 돌궐의 대규모 투항과 당조의 지배 구조 _330
2. 돌궐의 고비 남부로의 이주와 실패 _357

2장| 당조의 기미지배 체제 도입과 돌궐의 내적 변동 646~687
1. 돌궐의 기미지배 체제 편입과 아사나의 약화 _379
2. 아사덕 주도의 돌궐 부흥 운동과 아사나의 부활 _397

제4편 돌궐 제2제국 687~745
-유목 세계의 분절화와 아사나의 부침

1장| 돌궐의 유목 세계 재통합과 발전 687~715
1. 돌궐의 몽골 초원 귀환과 아사나 중심 국가의 재건 _418
2. 카프간 카간의 대외 확장과 대결 구도의 심화 _440

2장| 돌궐의 당조에 대한 저항과 타협 715~741
1. 돌궐의 와해 위기와 빌게 카간의 수습 _471
2. 돌궐의 당조 중심 질서로의 편입과 한계 _499

3장| 돌궐의 붕괴와 아사나의 소멸 741~757
1. 아사나·아사덕 연합 권력의 해체와 돌궐의 붕괴 _551
2. 아사나의 당조 투항과 소멸 _563

에필로그 돌궐이 만들어낸 세계와 그 유산 _579

부록Ⅰ.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
1.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 소개 _600
2.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의 번역 _620
〈퀼 테긴 비문〉, 〈빌게 카간 비문〉, 〈톤유쿠크 비문〉

Ⅱ. 돌궐 군주 세계표 _642

찾아보기 _64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