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을 위한 자바 또는 코스모스 블랙홀 엔진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사물인터넷을 위한 자바 또는 코스모스 블랙홀 엔진

땅끝
2025-04-24 13:26 12 0

본문




사물인터넷을 위한 자바
9791158390280.jpg


도서명 : 사물인터넷을 위한 자바
저자/출판사 : 양성일, 위키북스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6-02-26
ISBN : 9791158390280
정가 : 28000

▣ 01장: 사물인터넷과의 만남

1-1 사물인터넷 소개
사물인터넷이란?
- 유사 기술
- 사물의 의인화
- 센서
- 통신
- 액추에이터
임베디드 시스템
-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 임베디드 시스템의 종류
사물인터넷 동향
- 스레드 그룹(Thread Group)
- 올신 얼라이언스
- 오픈 인터커넥트 컨소시엄
- 산업 인터넷 컨소시엄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 블루투스 SIG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소개
- 6LowPAN
- DTLS
- CoAP
- MQTT
- XMPP
- AMQP
- DDS
- LWM2M
- IEEE 802.15.4
- NFC
- ANT
- ZigBee
- 블루투스
- BLE
1-2 자바 임베디드
자바 ME 임베디드
- GCF
- MEEP 8
- Device I/O API
자바 SE 임베디드
- 자바 가상 머신
- 자바 SE 임베디드 프로파일
자바 임베디드 스위트
그 밖의 자바 임베디드 솔루션
- 임베디드를 위한 이벤트 프로세싱
- 자바 카드
- 안드로이드

▣ 02장: 개발 환경 만들기

2-1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
- 아두이노
- 라즈베리 파이
- 비글보드
자바의 라즈베리 파이 지원
2-2 라즈베리 파이에 자바 설치하기
호스트 컴퓨터에 자바 SE 임베디드 설치
- 다운로드
- 압축 풀기
- 디렉터리 구조
- 환경변수 설정
자바 SE 임베디드 패키징
- jrecreate 명령어
- 도움말 옵션(--help, -h)
- 디렉터리 지정 옵션(--dest, -d)
- 자바 가상 머신 옵션(-vm)
- 프로파일 옵션(--profile, -p)
- 확장 옵션(--extension, -x)
- 디버그 옵션(--debug, -g)
- 그 밖의 옵션
자바 실행 환경 만들기
- 예제 설명 및 라이브러리 선택
- 프로파일 선택
- 자바 실행 환경 만들기
네트워크 설정 및 자바 실행 환경 구성
- 라즈베리 파이의 고정 IP 설정
- 라즈베리 파이의 SSH 활성화
- PUTTY 설치
- WinSCP 설치
- 자바 실행 환경 설치
2-3 개발 환경 구축
통합 개발 환경 설치
- 넷빈즈 설치
- 자바 실행 환경 설정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디버깅
- 프로젝트 생성 및 코드 작성
- 실행 및 디버깅

▣ 03장: 사물 만들기

3-1 준비하기
하드웨어 플랫폼
- 자동 제어
- 사물 만들기
- 라즈베리 파이
- ARM
- GPIO
전자 부품
- 전압과 전류
- 저항
- LED(Light Emitting Diode)
- 브레드보드
- 점퍼선
3-2 Device I/O
Device I/O 설치
- 소스코드 다운로드
- 자바 SE 임베디드에 설치
- Device IO를 호스트 PC에 복사
- Device IO 라이브러리를 클래스 경로에 추가
- Device IO 설정 파일 자동 복사 설정
- Hello World(LED 깜박이기)
Device I/O 살펴보기
- Device I/O 아키텍처
- Device I/O API
3-3 GPIO 다루기
7 세그먼트 표시하기
버튼 입력 받기
푸시 버튼의 이벤트 수신
- 이벤트 모델
3-4 아날로그 입출력
SPI 통신
라즈베리 파이의 SPI 활성화
MCP 49X1 소개
MCP 4911을 이용한 LED 밝기 조정
MCP3002 소개
가변 저항 값 읽기
폴링
3-5 UART 통신
UART
라즈베리 파이의 UART 설정 변경
아두이노 통신
- UART 연결
- 아두이노 스케치 개발
- 에코 클라이언트 개발
PC와의 연결
- USB 시리얼 케이블
- 드라이버 설치
- USB 시리얼 케이블 연결
- 에코 서버 개발
- 예제 실행
3-6 단순한 자동 제어 만들기
회로도
관제점 관리자
- 관제점
- DI(Digital Input) 관제점
- DO(Digital Output) 관제점
- AI(Analog Input) 관제점
- AO(Analog Output) 관제점
- 관제점 관리자
- 명령어 처리기
UART CLI 만들기
- UART 콘솔
- 프로그램 실행

▣ 04장: 사물과 대화하기

4-1 CoAP을 이용해 대화하기
CoAP란?
- CoAP 구조
- 사물과 대화하기
- CaAP 메시지
- CoAP 요청과 응답
- CoAP의 URI
- CoAP 메서드
Californium
- Californium 클래스
- 넷빈즈 프로젝트에 Californium 라이브러리 추가
- 클라이언트 프로젝트 생성
Hello CoAP
- CoAP 서버 구현
- HelloWorld CoAP 클라이언트 구현
- HelloWorld CoAP 실행
비동기 호출
리소스 감시
- CoAP 서버 예제에 감시 기능 지원 추가
- 감시 CoAP 클라이언트
- 감시 실행
리소스 탐색
- 리소스 탐색 클라이언트
- 탐색 실행
`자동 제어 CoAP 서버 만들기
- JSONP
- 관제점 리소스
- 관제점 CoAP 서버
- CoAP 서버 실행
- CoAP 테스트를 위한 Copper
- Copper 설치
- 자동제어 CoAP 서버 실행
- Copper를 통한 자동 제어 실행
4-2 MQTT 비동기 메시징 시스템 활용
MQTT란?
- MQTT 네트워크 구조
- 통신을 위한 단계
- 토픽
- 필터링
- QoS 및 보안
ActiveMQ
- ActiveMQ 설치
- MQTT 활성화
- ActiveMQ 실행
Paho
- Paho 클래스
Hello MQTT
- 라이브러리 추가
- 전송 클라이언트(Publisher)
- 수신 클라이언트(Subscriber)
- 실행
토픽 필터링을 이용한 전송자 구분
- 토픽 정의
- 에코 클라이언트
- 전송 클라이언트
- 에코 실행
자동 제어 서버의 MQTT CLI 만들기
- MQTT 명령어 처리기
- MQTT 콘솔
- 빅데이터 처리기
- MQTT CLI 실행
JMS와의 연동
- ActiveMQ의 JMS 활성화
- JMS와 MQTT 간 토픽 및 메시지 매핑
- JMS 콘솔
- 프로그램 실행
HTML5의 웹 소켓을 이용한 연동
- ActiveMQ의 웹 소켓 지원
- Paho 자바스크립트 파일 다운로드
- 웹소켓을 이용한 Paho 자바스크립트 클래스
- 웹 콘솔 사용자 인터페이스
- AngularJS
- 웹 클라이언트 프로젝트 생성
- 뷰(View)
- 컨트롤러(Controller)
- 구글 크롬 설치
- 프로그램 실행




코스모스 블랙홀 엔진
9791156340744.jpg


도서명 : 코스모스 블랙홀 엔진
저자/출판사 : 임한식, 해드림출판사
쪽수 : 226쪽
출판일 : 2015-04-30
ISBN : 9791156340744
정가 : 16000

머리말
Ⅰ. 첨성대
1. 첨성대의 기능
2. 첨성대에서 태양을 관측하는 방법
3. 첨성대는 낮 12시와 보름밤 12시 자동알림 기능이 있다
4. 야간에 별의 움직임을 관측하여 시각을 알림
5. 첨성대에서 24절기를 측정하는 방법
6. 첨성대가 기능을 상실한 이유
7. 첨성대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Ⅱ. 태양계의 행성들의 공통적인 현상 설명
1. 행성이 공전하는 원리
2. 행성이 자전하는 원리
3. 위성이 자전하는 원리
4. 블랙홀이란 무엇인가?
5. 블랙홀 엔진의 탄생
6. 블랙홀 엔진의 작동 조건
7. 태양계 블랙홀 엔진의 작동
8. 전하를 띄는 행성
9. 행성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할 때 멀어지지도 가까워지지도 않고 그 자리에서 공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0. 행성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인 이유
11. 공전궤도 경사각이 생기는 이유
12. 태양계 행성들의 자전 방향
13. 행성 지구와 위성의 크기 비교
14. 태양계 행성의 물리량(표Ⅰ)
15. 태양계 행성의 물리량(표Ⅱ)
16. 기체형 행성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순서
17. 암석형 행성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순서
18. 행성 외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 되어 거의 동시에 행성이 완성되다
19. 태양의 탄생

Ⅲ. 태양계가 만들어지는 과정 요약
Ⅳ. 우리은하에서 원시태양계가 분리되는 과정
1. 은하단을 중심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는 우리은하
2. 우리은하 외곽에 태양계 고리가 만들어지다
3. 우리은하에서 태양계의 고리가 끊어지며 분리되다
4. 원시태양계의 자전과 블랙홀이 만들어지는 과정 설명
5. 태양계 블랙홀 엔진의 가동과 찌그러진 공 모양의 원시태양계

Ⅴ. 태양계의 생성 과정과 순환 원리
오르트구름
1. 오르트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
카이퍼 벨트(Kuiper Belt)
2. 카이퍼 벨트가 만들어지는 과정
명왕성
3. 명왕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4. 누워서 자전하는 명왕성
5. 명왕성과 카론은 쌍둥이별
6. 명왕성과 카론이 대기를 공유하는 원리
해왕성
7. 해왕성의 대기와 고리가 생기는 원리
8. 해왕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9.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이 역주행하는 원리
천왕성
10. 천왕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11. 천왕성이 역회전하는 원리
12. 천왕성은 자기장의 축이 자전축에 비해 약 59° 기울어져 있는 이유
13. 천왕성의 위성들이 찌그러진 이유
14. 천왕성의 고리가 생기는 원리
15. 천왕성의 고리가 빠르게 변하는 이유
토성
16. 토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17. 토성이 많은 위성을 거느린 이유
18. 토성의 최대위성 타이탄에 대기가 있는 이유
19. 토성의 위성과 고리가 만들어지는 원리
20. 토성이 태양계에서 평균 밀도가 가장 작은 이유
21.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도 위성과 고리가 있다
목성
22. 목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23. 목성의 많은 대기와 고리가 만들어지는 과정
24. 목성이 빠르게 자전을 하는 이유
25. 목성이 태양계에서 가장 강력한 자기장을 갖고 있는 이유
26. 목성의 육각형 구름이 만들어지는 원인
27. 목성에 줄무늬의 띠와 밝은 줄무늬 대가 생기는 원인
28. 목성의 대적반(Great Red Spot:혹은 대적점)이 만들어지는 이유
소행성대
29.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가 만들어지는 과정
30. 트로이 소행성군이 만들어지는 과정
화성
31. 화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32. 화성에 대기가 희박한 이유
33. 화성의 위성이 공 모양을 갖추지 못한 이유
34. 화성에 자기장이 희박한 이유
35. 화성에 마른 호수가 만들어진 원리
36. 화성의 올림푸스 화산과 마리네리스 협곡이 만들어지는 과정
37. 화성이 붉은 이유
38. 화성의 많은 모래와 흙이 존재하는 이유
39. 화성의 위성 포보스(Phobos)와 데이모스(Deimos) 화성에 한쪽면만 보이며 공전하는 이유
지구
40. 지구의 순환과정과 여러 현상들

41. 지구와 달이 만들어지는 과정
42. 지구와 달의 나이
43. 지구의 바위, 돌, 자갈, 모래, 흙이 존재하는 이유
44. 물의 기원이 지구와 혜성이 다른 이유
45. 지구의 많은 소금과 물, 풍성한 대기가 존재하는 이유
46. 달의 밀도와 암석의 구성성분이 지구와 서로 다른 이유
47. 달의 앞, 뒤가 다른 모습으로 지구에 한쪽 면만 보이며 공전하는 이유
48. 달의 뒷면에 크레이터가 많은 이유
49. 달의 핵이 지구 쪽으로 치우친 이유와 달의 내부가 액체인 이유
50. 달에 암석과 모래, 흙이 존재하는 이유
51. 달에는 자기장이 없는 이유
52. 달은 지구와 다르게 풍성한 물과 대기가 없는 이유
금성
53. 금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54. 금성이 고밀도의 대기를 갖는 이유
55. 금성이 다른 행성들과 다르게 반대로 자전을 하는 이유
56. 금성의 북쪽에 고원지대로 구성된 이유
57. 금성의 자기장이 미약한 이유
수성
58. 수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59. 수성이 약한 자기장을 보유하는 이유
60. 수성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비슷한 이유
61. 달과 비슷한 수성에 크레이터가 적은 이유
62. 수성에 저밀도의 대기와 얼음이 존재하는 이유
태양
63. 원시 태양의 탄생
64. 수소 핵융합을 시작으로 거대한 태양의 탄생
65. 태양계 행성들의 공전 속도 변화
66. 태양의 흑점과 행성의 자기장
67. 태양의 나이는 약 5억 8천만 살이다

Ⅵ. 우주의 여러 현상을 블랙홀 엔진 이론으로 설명
1. 빅뱅 우주론 설명
2. 인플레이션 이론과 무한 팽창하는 우주
3. 우주에는 암흑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4. 중력렌즈 현상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5. 보이드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6. 태양계는 은하계의 미래 모습이며, 은하계는 태양계의 과거의 모습이다
7. 고무줄 같은 우주 나이
8. 블랙홀에서 강한 X선이 방출되는 이유
9. 쌍성계
10. 적색거성과 백색왜성
11. 쌍성계가 은하계 항성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이유
12. 변광성이란 무엇인가?
13. 퀘이사란 무엇인가?
14. 중성자별과 펄사란 무엇인가?
15. 블랙홀 제트 현상 설명
16. 게성운은 초신성이 폭발한 잔해가 아니고 어린 신생성단이다
17. 블랙홀이 별이나 다른 은하를 삼키는 현상은 무엇인가?
18. 두 개의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이 존재할 수 있을까
19. 은하계에서 별의 질량이 클수록 수명이 짧은 이유

Ⅶ. 우주의 탄생 과정과 순환 원리
Ⅷ. 다음에 나올 책 ‘지구의 대멸종과 빙하기’를 준비하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