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시대 우리한국사 또는 종교와 사회진보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세계화시대 우리한국사 또는 종교와 사회진보

땅끝
2025-04-24 13:26 12 0

본문




세계화시대 우리한국사
9791156120520.jpg


도서명 : 세계화시대 우리한국사
저자/출판사 : 김당택, 푸른역사
쪽수 : 500쪽
출판일 : 2015-08-31
ISBN : 9791156120520
정가 : 19500

● 머리말 ... 004
● 서장 _ 한국사의 시대구분 ... 010

제1장
고대 귀족사회
-------------------------------------
01
고조선 ... 022

02
고구려·백제·신라 귀족국가의 성립 ... 028
고구려 / 백제 / 신라

03
귀족국가의 상호 항쟁 ... 050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의 싸움 / 고구려의 남하와 백제·신라 /
신라의 한강유역 점유와 고구려·백제 / 백제의 신라 공격과 김춘추의 외교

04
통일신라 ... 066
신라와 백제·고구려·당의 전쟁 / 왕권의 전제화와 귀족의 반발 / 신라와 발해

05
신라의 골품제도 와해와 후삼국 ... 082
왕위계승을 둘러싼 귀족 간의 갈등 / 신라인의 당나라 진출 /
후백제 / 태봉과 고려

제2장
중세 양반사회
-------------------------------------
06
고려 양반국가의 성립 ... 102
고려의 통일 / 광종의 왕권강화 / 과거제도 실시와 양반의 등장 /
과거 출신 관리와 호족 출신 관리

07
국왕과 문신 ... 118
과거 출신 관리의 정치적 주도권 장악 / 숙종·예종대의 여진정벌 /
인주 이씨는 왕실의 비호세력 / 묘청과 김부식

08
무신정권 ... 134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 최씨정권 /
무신정권과 민란 / 몽고에 대한 항쟁

09
고려와 원 ... 153
원의 부마국이 된 고려 / 왕실의 분열 / 원에 대한 반발

10
문신과 무신의 갈등 ... 169
공민왕대의 문신과 무신 / 우왕대 무신의 정치적 주도권 장악 /
문신과 이성계의 결합 / 이성계의 위화도회군

11
조선의 성립 ... 181
왕조의 개창 / 왕자의 난 /
세종대의 집현전과 의정부 / 세조의 찬탈

12
양반의 도덕성 경쟁 ... 197
세조대의 정치에 대한 부정 / 연산군대의 사화 /
조광조의 집권 / 당파의 성립

13
일본·후금(청)과의 전쟁 ... 211
일본과의 전쟁 / 광해군과 인조반정 / 후금(청)과의 전쟁

14
국왕과 당쟁 ... 224
효종의 북벌론 / 현종과 예송 / 숙종의 환국 /
영조의 탕평책 / 정조와 노론

15
세도정치와 대원군 ... 245
세도정치의 전개 / 천주교 박해 / 청에 대한 인식의 변화 /
대원군의 집권 / 프랑스·미국과의 충돌

16
개항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 264
개항과 개화정책 / 임오군란과 청의 정치적 간섭 / 개화파의 개혁 시도 / 외교의 다변화 /
동학농민군의 활동 / 갑오개혁에서의 신분제도 폐지

제3장
근대 시민사회
-------------------------------------
17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 298
조선왕조의 시련 / 독립협회 / 대한제국

18
대한제국의 멸망과 3·1운동 ... 313
대한제국을 둘러싼 러·일의 각축 / 을사조약 / 대한제국의 대응 /
의병항쟁과 애국계몽운동 / 식민지로의 전락 / 3·1운동

19
일제 식민지배 아래서의 한국인 ... 336
일제의 식민정책 / 친일파 /
국내에서의 저항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 / 중국에서의 무장투쟁

제4장
현대 민주사회
-------------------------------------
20
해방과 분단 ... 360
해방 직후의 정치세력 / 소련군 점령하의 북한 / 미군정과 남한사회 /
신탁통치문제 / 5·10선거

21
두 개의 한국 ... 380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25전쟁

22
이승만정부 ... 393
자유당의 창당 / 한일회담 /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
이승만의 독재정치 / 4월혁명 / 민주당정부의 출범

23
박정희정부 ... 410
5·16군사정변 / 한일국교정상화 / 베트남 파병 / 유신체제

24
민주화의 진전 ... 427
광주민주항쟁 / 전두환정부와 6·10항쟁 /
노태우정부의 소련·중국과의 수교 / 김영삼의 하나회 해산 / 김대중의 북한 방문

25
세계 속의 한국 ... 444
노무현·이명박·박근혜정부 / 국제협력의 증대 / 한국문화의 확산

26
북한의 변화 ... 455
주체사상의 형성 / 권력의 세습 / 핵문제

● 종장 _ 세계화시대와 한국사 ... 470




종교와 사회진보
9788971104866.jpg


도서명 : 종교와 사회진보
저자/출판사 : 송재룡 , 김성건 , 전명수 , 정승안 , 유광석 ,, 다산출판사
쪽수 : 210쪽
출판일 : 2015-06-30
ISBN : 9788971104866
정가 : 13000

서론: 왜 종교가 중요한가? / 송재룡
Ⅰ. 종교와 사회발전에 대한 고전적 논의: 간략한 계보
Ⅱ. 종교와 사회발전: 20세기 후반 이후의 논의
Ⅲ. 한국의 종교와 사회진보에 대한 연구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제1부 이론적 연구

제1장 종교와 발전에 관한 이론적 검토: 종교사회학을 중심으로 / 김성건
Ⅰ. 서론: 사회 발전이론 속의 종교의 ‘주변화’
Ⅱ. 종교와 발전: 지성사적 고찰
1. 1950년대 이래 출현한 연구의 세 가지 경향
2. 1970년대를 풍미한 정통 세속화 이론과 마르크스주의적 발전사회학의 한계
3. 1980년대 종교의 부흥이 촉발한 새로운 연구의 방향들
4. 1990년대 초 ‘문화-발전 학파’(문화 발전주의)의 대두
Ⅲ.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제2장 한국의 종교와 정치참여 / 전명수
Ⅰ. 문제제기
Ⅱ. 종교의 정치참여에 대한 기존 논의들과 쟁점
Ⅲ. 종교의 정치참여의 두 유형과 실제: 정교유착과 정교갈등
1. 정교유착의 이면: 국가조찬기도회를 중심으로
2. 정교갈등의 양면: 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Ⅳ. 정치참여로서의 선거와 종교의 관계
Ⅴ. 종교인의 정치참여에 대한 국민인식과 정치발전을 위한 한국종교의
역할과 과제
Ⅵ. 결 론
참고문헌

제3장 한국에서의 불교사회운동과 사회발전 / 정승안
Ⅰ. 대승불교와 한국 민주주의와의 만남
Ⅱ. 종교와 사회발전의 이론적 논의
1. 사회발전과 종교의 관련성
2. 종교와 사회발전 그리고 갈등
3. 불교사회운동과 사회발전
Ⅲ. 한국 불교사회운동의 흐름
1. 불교사회운동의 전사
2. 민중불교운동의 시기
3. 1980년대 불교사회운동의 시기구분
Ⅳ. 1980년대 불교사회운동에 대한 평가
1. 1980년대 민중불교운동에 대한 양면적 평가
2. 변혁운동의 부문운동으로서의 불교청년운동
3. 대중운동의 활성화와 불교청년운동의 범위
4. 사회과학과 불교와의 편협한 만남
5. 불교사회운동의 이념적 분화
Ⅴ. 마치며
참고문헌

제4장 한국의 종교인구 현황과 문제점: 인구센서스와 해외 데이터베이스의 비교 / 유광석
Ⅰ. 서 론
Ⅱ. 인구센서스의 한계
Ⅲ. 해외 데이터베이스들의 종교범주화
Ⅳ. 결론: 종교센서스의 필요성
참고문헌

제2부 경험적 연구

제5장 사회진보와 종교의 역할 / 최현종
Ⅰ. 들어가는 글
Ⅱ. 사회진보와 종교의 역할에 대한 기존 연구들
Ⅲ. 연구방법 및 데이터
Ⅳ.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나가는 글
참고문헌

제6장 최근 한국사회의 종교와 도덕 / 장형철
Ⅰ. 들어가는 말
Ⅱ. 종교와 도덕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 이론들과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자 료
2. 변인 구성
3. 분 석
Ⅳ. 분석결과
1. 분산분석과 주요 변수들에 대한 상관분석
2. 회귀분석 Ⅰ: 종교의 유무가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3. 회귀분석 Ⅱ: 믿음의 강도와 삶에서 종교의 중요도가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Ⅴ. 한국사회 안에서 종교와 도덕의 관계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제7장 종교와 섹슈얼리티 그리고 가족 / 최현종
Ⅰ. 들어가는 글
Ⅱ. 종교와 섹슈얼리티/가족 관련 태도에 대한 기존 연구들
Ⅲ. 종교와 사회진보 팀의 조사결과 분석
Ⅳ. 논의: 한국 개신교의 섹슈얼리티/가족 관련 보수적 태도를 중심으로
Ⅴ. 요약 및 나가는 글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