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개술 또는 풍석 서유구 연구(하)
땅끝
2025-04-24 13:26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정법개술

도서명 : 정법개술
저자/출판사 : 방륜거사, 비움과소통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5-10-27
ISBN : 9791160160291
정가 : 12000
서 언(序言)
一. 정토(淨土)의 뜻
1. 정토란 무엇인가
2. 시방정토(十方淨土)
3. 정토의 종류
二. 극락의 윤곽
1. 의정장엄(依正莊嚴)
가. 극락국의 정보장엄(正報莊嚴)
- 중생세간청정(衆生世間淸淨)
나. 의보장엄(依報莊嚴)
- 기세간청정(器世間淸淨)
2. 사십팔원(四十八願)
3. 삼위(三位)의 염불행태
三. 정토를 수행하는 방법
1. 신 (信)ㆍ원(願)ㆍ행(行)
세 가지 자량(資糧)
2. 십선(十善)을 닦는 것이
정토의 근본이다
3. 도리에 충실하고 직분을 다하라
4. 널리 공덕을 닦아
원왕생(願往生)하는 데 회향하라
5. 임종 때 신중히 하라
가. 병이 깊어 위독할 때
나. 명이 다한 후
다. 중음(中陰)을 구도(救導)하라
라. 망자를 천도하는 법
四. 지명염불(持名念佛)
1. 실상(實相), 관상(觀相), 지명(持名) 삼자(三者)의 비교
2. 각종 지명(持名) 방법
가. 고성념(高聲念)
나. 묵념(?念)
다. 금강념(金剛念)
라. 각조념(覺照念)
마. 관상념(觀想念)
바. 추정념(追頂念)
사. 예배념(禮拜念)
아. 기십념(記十念)
자. 십구기념(十口氣念)
차. 정과념(定課念)
카. 사위의중개념(四威儀中皆念)
타. 염불념개념(念佛念皆念)
五. 극락국토에 왕생하려는 원(願)을 세워라
1. 발원의 중요성
2. 고인(古人)의 발원문과 발원의식
가. 고인의 발원문
1) 연지대사(蓮池大師) 발원문
2) 자운참주(慈雲懺主) 발원문
3) 대자(大慈)보살 발원문
4) 간단한 우리말 발원문
나. 발원시의 의식
(중략)
六. 나머지 이야기
1. 불국토에 태어나지 않으면
반드시 악도에 떨어진다
2. 정토종(淨土宗)은 말법 세상에
독보(獨步)할 것이다
3. 혹업(惑業)을 끊지 않아도 성인의 무리에
참예할 수 있다
4. 다른 사람의 비웃음을 두려워하지 말라
5. 산란한 마음으로 염불하여도 역시
공효(功效) 가 있다
6. ‘아’ (阿) 자만 있으면
나머지 자도 구족하다
7. 그때그때마다 염불하고,
늙고 병들 때까지 기다리지 말라
8. 도솔정토(兜率淨土)에 대한 나의 소견
9. 염불은 선(禪)ㆍ율(律)ㆍ교(敎)ㆍ밀(密)의
작용을 포괄하였다
10. 정법의 깊은 뜻은
부처님만이 다 아신다
11. 자성미타(自性彌陀)나 유심정토(唯心淨
土)의 이론을 오해하지 말라
12. 이(理)와 사(事)를 아울러 중시하라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차라리
사(事)를 중히 하라
13. 정토법은 재가인의 유일한 법문이다
14. 극락의 뜻
15. 수행인은 어찌하여 반드시
극락국토에 왕생해야 하는가
16. 정토는 다른 이를 제도하려는
대승법이다
17. 염불법문은 이행법(易行法)이다
부록1 정종심요淨宗心要
1. 세존께서 오직 아미타불 본원의 바다를 설하셨다
2. 아미타경 종요宗要
3. 대승무량수경 종요
4. 허운 노화상 설법의 정업심요淨業心要
부록2 정수첩요淨修捷要 206
풍석 서유구 연구(하)

도서명 : 풍석 서유구 연구(하)
저자/출판사 : 김왕직 , 이민주 , 송지원 , 문석윤 , 이봉규 ,, 사람의무늬
쪽수 : 420쪽
출판일 : 2015-11-30
ISBN : 9791155501375
정가 : 25000
* 간행사 ·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 이 책을 내면서
* 「贍用志」를 통해 본 楓石의 건축론 · 김왕직 ·
1. 서론
2. 배치와 평면 형식
3. 건물의 비례
4. 지붕잇기
5. 온돌 제도
6. 창호 제도
7. 결론
* 楓石의 복식 분류와 ‘鄕居養志’ · 이민주 ·
1. 머리말
2. 경화세족(京華世族)으로서의 서유구 집안
3. 17~18세기 의생활 문화
4. 서유구의 복식 분류
5. 서유구와 향거양지
6. 맺음말
*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음악 생활 · 송지원 ·
1. 머리말
2. 조선 후기 문인 지식층의 음악 활동
3. 「유예지」와 조선 후기 음악
4. 맺음말
* 楓石 徐有? ·「養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문석윤 ·
1. 서론
2. 「보양지」 목차 구성에 나타난 기본 구조와 성격
3. 「보양지」 인용 문헌 분석 : 주요 인용 서목(引用書目)과 인용 빈도
4. 『수양총서(壽養叢書)』와의 관련성 문제
5. 「보양지」 형성 과정의 재구성
6. 풍석의 안설(按說)에 대한 분석
7. 「보양지」 편성의 특징
8. 맺음말
*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禮學과 經濟觀 · 이봉규 ·
1. 서론
2. 서유구 예학의 연원
3. 「향례지(鄕禮志)」의 예식 내용과 특성
4. 「예규지(倪圭志)」의 경제관과 실학적 특색
5. 맺음말
*『풍석 서유구 연구(하)』 집담회
*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