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남의 철학 또는 처음 읽는 부여사
땅끝
2025-04-24 13:26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만남의 철학

도서명 : 만남의 철학
저자/출판사 : 김상봉 , 고명섭, 길
쪽수 : 716쪽
출판일 : 2015-07-25
ISBN : 9788964451175
정가 : 35000
머리말을 대신하여 : 회상과 감사 ― 김상봉 7
《서론》 홀로주체성의 섬에서 서로주체성의 숲으로: 김상봉 철학의 여정 ― 고명섭 17
《제1부》 주체 ― 철학의 첫걸음 65
물음의 시작 74 / 마르크스와의 만남 80 / 정치를 버리고 철학을 83 / 고전어와의 만남 86 / 칸트의 『최후 유작』 88 / 나는 임신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93 / 자기의식과 존재사유 96 / 개인과 주체 그리고 시민 103 / 표현과 실현의 일치인 진리 109 / 『나르시스의 꿈』과 탈식민주의의 문제 114 / 서양적 자유의 이념에 대하여 125 / 홀로주체성과 서로주체성 사이에서 137 / 숭고와 해탈 148 / 호메로스, 서양 정신의 시원 153 / 그리스 종교의 고유성 158 / 서양 정신과 음악의 문제 162 / 법의 홀로주체성 176 / 철학의 지역성과 보편성 181 / 자기상실의 여러 양상에 대하여 187 / 보는 것과 듣는 것 195 / 서로주체성의 이념 206
《제2부》 만남 ― 철학의 심화 219
서로주체성, 이념인가 현실인가 223 / 기독교와 서양 정신의 홀로주체성 232 /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대하여 245 / 공동체에 대한 오해, 차이와 타자성에 대한 집착 251 / 지난 20년의 지적 상황에 대하여 261 / 차이의 철학에 대하여 274 / 언어와 철학 279 / 언어와 존재이해 288 / 언어와 주체 297 / 한국어와 주체성 314 / 국가와 서로주체성 319 / 만남의 상처 336 / 기쁨의 철학과 슬픔의 철학 363 / 서로주체성의 관점에서 본 쾌락과 기쁨 383 / 감정 또는 감성의 문제 406 / 빚지고 있음과 긍지 420 / 철학과 교양의 관계 432 / 인문학과 총체성의 문제 443 / 만남의 총체성을 위하여 459 / 관점주의와 진리 그리고 만남 475
《제3부》 공동체 ― 철학의 전개 485
근현대 민중항쟁사의 정점인 5ㆍ18 489 / 5ㆍ18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 대하여 501 / 사건의 초월성과 눈물의 직접성 사이에서 510 / 권리에서 만남으로 515 / 5ㆍ18의 소박성? 527 / 사랑의 정치학 540 / 하늘나라의 계시 547 / 국가의 폭력과 시민의 폭력에 대하여 555 / 주권폭력에 대하여 564 / 호남 차별 572 / 남북통일과 민족주의 585 / 근대적 국민국가를 넘어서 597 / 동일성의 국가를 넘어서 607 / 타자에 대한 응답 속에서 생성되는 주체성 620 / 주권의 분할과 주권의 서로주체성 626 /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책의 내력 632 / 노동자 경영권 638 / 주주자본주의 643 / 총수자본주의 650 / 주식회사의 소유권과 노동자 경영권 654 / 독일의 노사 공동결정제도 663 / 시장과 전장 671 / 학벌사회 ― 절망과 희망 사이에서 686
찾아보기 697
처음 읽는 부여사

도서명 : 처음 읽는 부여사
저자/출판사 : 송호정, 사계절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5-09-21
ISBN : 9788958289074
정가 : 18000
머리말 4
1 | 우리 역사 속 부여의 의미 11
고려 시대의 부여사 인식 ㆍ 조선 시대의 부여사 인식 ㆍ 일제강점기의 부여사 인식
해방 이후 부여사 인식
2 | 부여의 기원 42
부여라는 이름에 대해 ㆍ 부여의 건국설화, 동명 설화 ㆍ 부여를 세운 종족, 예맥
부여의 건국 시기 ㆍ 탁리국의 위치 ㆍ 첫 부여국, 북부여 ㆍ 동부여에 대한 고찰
3 | 부여의 성쇠 65
부여의 영역 ㆍ 부여와 고구려의 세력 경쟁 ㆍ 중국과 밀접한 교류 ㆍ 부여의 왕성
부여의 멸망과 부흥 운동
4 | 부여의 제도 100
중앙의 통치 조직 ㆍ 지방 통치 조직 ㆍ 부여와 삼국 초기의 정치체제 ㆍ 신분제도
5 | 부여인의 생활 123
가족 ㆍ 신앙 ㆍ 경제 ㆍ 예술 ㆍ 주거 ㆍ 법률 ㆍ 장례
6 | 부여와 중국 동북 지방의 고대 문화 139
초기 부여의 문화와 변천 ㆍ 바이진바오-한수 문화 ㆍ 시퇀산 문화 ㆍ 파오쯔옌식 문화
라오허선 유적 ㆍ 시차거우 유적 ㆍ 차이란 묘지 ㆍ 부여 관련 고고 문화의 명명
맺음말 167
주 171
연표 208
참고 문헌 211
사료 212
찾아보기 24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