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 또는 선교형 교회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 또는 선교형 교회

땅끝
2025-04-24 13:26 10 0

본문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
9791195190676.jpg


도서명 :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
저자/출판사 : 이병창, 말
쪽수 : 381쪽
출판일 : 2015-09-17
ISBN : 9791195190676
정가 : 15000

서문- 철학 문답을 시작하면서 ······················································································
안녕, 청년들! 11 상식을 전복하는 철학의 어려움 12
개인주의, 욕망의 자유를 넘어 14

1부_대중조작과 삐딱하게 읽기
1강 경험 금지선을 넘는 용기 ·····················································································
우리에게는 왜 꿈이 없을까? 19 안녕들 하십니까? 20 졸속 사회 23
경험 금지선 25 불온한 꿈 29
2강 프레임 전쟁에 갇히지 않기 위해 ······································································ 33
생각의 복사기가 있나요? 33 생각의 중요성 34 저항적 의식 35
얼보이는 복사기 37 프레임 전쟁 39 삐딱하게 보기 40
3강 괴벨스의 대중조작 분석 ·······················································································
담양 소쇄원의 미학 45 실증주의의 한계 48 뉴라이트의 궤변 49
괴벨스의 대중선동 기술 53 유대인 박해의 논리와 두려움 55

2부_힐링보다 원인 치유가 먼저
4강 《아프니까 청춘이다》 유감 ··················································································· 59
코스모스 59 김난도의 《아프니까 청춘이다》 60 당신은 몇 시? 62
서부 개척정신 63 유자와 탱자 65
5강 위로에서 마음 치유로 ··························································································· 7
마음 치유로서 힐링 67 불교적 지혜 69 레크리에이션과 마음 치유 71
기호적 소비 74 쾌락을 조장하는 국가 76 정신적 힐링의 필요성 78
3부_진리의 인식과 변증법
6강 사이의 공동체를 향하여 ·······················································································
로세토를 아시나요? 83 새로운 공동체의 꿈 85
사이의 공동체 88 사람의 아름다움 91
7강 양비론의 장난 ·········································································································
진리와 진실 93 세월호 특별법과 양비론 94 뉴라이트의 역사 왜곡과 양시론 95
후기구조주의와 눈 위의 안경 97 구조주의적 무차별성 99
8강 구조주의 극복의 길 ····························································································
직관주의와 변증법 103 자기 모순적 인식 105
인식틀의 확장과 해탈의 길 108 모순에 직면하는 용기 112
9강 변증법의 길과 과학적 인식 ·············································································· 115
박정희 평가와 객관성 115 김지하의 오적 116
‘하나님은 유언비어를 통해 말한다’ 118 염원과 진실 121
미래의 관점에 서서 122 염원의 눈으로 보자 124

4부_한국의 사이비 실용주의
10강 꺼삐딴 리의 기회주의적 실용주의 ································································ 129
시험 유감 129 장학금 확충은 실용적인가? 130 실용주의와 백묘흑묘 132
꺼삐딴 리 135 비정상 시대의 사이비 실용주의 137
11강 수명 20년짜리 인간 제품 ··············································································· 141
월정사 약사보살상 141 대학의 실용교육화 143 20년짜리 공장 제품 146
순수학문 강조하는 독일 대학 교육 148
장자의 쓸모 있는 빈 배 150 오타쿠 문화 152
12강 변태적 도구주의 ································································································
학문은 이루기 힘들다 155 원칙주의와 무위사상 비판 157
본래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158 변태적 도구주의 160
사용가치가 교환가치에 종속된 변태 사회 161 악의 진부성 163

5부_남에게 피해 주지 않는 개인주의 가능한가?
13강 자유경쟁의 허상 ································································································
가을과 삼겹살 169 육법당 171 자본주의와 학벌 사회 175
공정한 경쟁이 없는 현실 자본주의 176
오직 승리와 효율성이 목표인 자본주의 179
14강 민주주의라는 쇼 ································································································
앙데팡당 전과 인상파 화가 181 개인주의는 냉혹한 이기주의 182
민주주의와 개인주의 184 대의제 민주주의와 관료국가 186
자유민주주의는 쇼 190 폭력으로 유지되는 미국의 민주주의 191
민주주의의 역설, 종북몰이 193
15강 무늬만 자유 ········································································································
개인주의의 또 다른 지반인 자유의 딜레마 195 아큐 같은 한국의 장군들 198
근대 개인주의와 욕망의 해방 201 비합리적 충동 202
푸코와 훈육 204 사랑의 꿈만 허가 받은 근대적 개인 207

6부_공동체주의와 사회주의
16강 아테네와 스파르타 ····························································································
조직을 폭력이라 말할 수 있나? 213 굴러먹던 자와 더불어 사는 자 215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217 조합과 단체 219
공동체주의 옹호한 아테네의 철학자들 223 폴리스적 존재와 세계시민 225
17강 마이클 샌델의 서사적 공동체 ······································································· 229
인권이라는 드림(dream) 229 인권의 이름으로 이슬람, 사회주의 국가 비판 232
마이클 샌델과 존 롤스의 논쟁 233 합의나 계약이 불가능한 것 236
공동체적 가치의 근원은? 239 역사적 사명과 서사적 가치 240
18강 무정부주의와 프랑켄슈타인 ············································································ 245
프랑켄슈타인과 괴물 245 괴물 자본주의 살려보려는 무정부주의 246
코뮌주의의 두 가지 흐름 249 생협운동과 소유 개념 251
프루동, 소유는 도둑질이다 252 협업과 자치의 원리 254
영화 《랜드 앤드 프리덤》 257 무정부주의의 한계, 분열과 정체 260
19강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청사진 ·········································································· 265
역사의 희비극 265 역사의 종말 267 마르크스의 프루동 소유론 비판 269
민주를 넘어 자치로 273 무정부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결합 276
20강 사회주의, 왜 무너졌을까? ·············································································· 279
폭력의 무기력 279 사회주의의 경제적 문제점 281
사회주의적 생산의 새로운 가능성 283 개혁 개방보다 더 급한 것 285
21강 사회주의에 희망이 있는가? ··········································································· 287
독일 예나, 도심 한가운데 있는 공장 굴뚝 287 《프라하의 봄》과 자유주의적 지식인 288
정치판이 필요 없는 사회주의 국가 293 지식인과 전문기술 노동자의 소외 296
당의 관료화 298 두 가지 관료주의 302 영구혁명 304

7부_새로운 철학을 찾아서
22강 홍대 클럽문화와 히피 문화 ··········································································· 309
홍대 클럽문화와 쾌락의 자유 309 사유의 열린 틀 310
전문기술 노동자의 출현 312 비트와 히피 문화 314 관료적 억압과 성적 자유 317
대마초와 명상을 통한 도피 318 마르쿠제 철학과 성 에너지 321
23강 모스트모던 자유주의의 실상과 한계 ··························································· 325
쾌락의 자유 325 근대적 자유주의와 포스트모던 자유주의 326
포스트모던 합의주의 328 포스트모던 자유주의의 실상 330
포스트모던 자유주의자를 지배한 욕망과 두려움 334
24강 들뢰즈, 생명력에 권력을 ················································································· 337
종말적 인간과 쥐구멍 속에서의 자유 337 들뢰즈의 미시적 생명력의 해방 339
생명력에 권력을! 341 도스토옙스키의 《악령》과 자발적 의지 342
25강 라캉, 욕망의 타자성과 공동체 ······································································ 345
프로이트와 라캉의 차이 345 욕망의 타자성 346 사랑의 리비도와 공동체 349
개체의 자립성 억압하는 타자적 욕망 350 노동과 유희, 그리고 사랑 353
26강 두려움을 모르는 자유 ······················································································ 355
들뢰즈와 라캉의 결합 355 사람의 자주성 356
동학사상의 자발성과 공동체적 선 360 자주성에 이르는 길 363
항상 기뻐하는 혁명적 낙관주의 364 두려움을 모르는 자유 366
철학 문답을 마무리하면서 ·························································································
사토리 세대 371 곡신불사(谷神不死)), 사회주의는 죽지 않았다 372
조선공산당의 분파 투쟁 374 나약한 지식인의 고질병 376
사이의 공동체와 자주성 378 노아의 방주 380




선교형 교회
9788928636198.jpg


도서명 : 선교형 교회
저자/출판사 : 잉글랜드 성공회 선교와 사회문제 위원회, 비아
쪽수 : 312쪽
출판일 : 2016-05-23
ISBN : 9788928636198
정가 : 15000

한국어판 인사말
캔터베리 대주교 서문
안내
들어가며
1.변화하는 상황
2.『새 땅 개척하기』 이후
3.교회 개척이란 무엇인가
4.교회의 새로운 표현
5.선교형 교회를 위한 신학
6.선교형 교회를 위한 몇 가지 방법
7.선교형 교회를 위한 지원 프레임
8.권고사항
참고도서
해설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