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인) 서울 공부법 또는 종교와 민족, 실크로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IN(인) 서울 공부법 또는 종교와 민족, 실크로드

땅끝
2025-04-24 13:26 11 0

본문




IN(인) 서울 공부법
9791186217061.jpg


도서명 : IN(인) 서울 공부법
저자/출판사 : 김태희, 더디퍼런스
쪽수 : 372쪽
출판일 : 2015-02-02
ISBN : 9791186217061
정가 : 19800

책머리에
시작하며
제1장. 대입 공부, 바로 알자
1. 학습서에 담긴 불편한 진실
2. 고3 혁명은 가능한가
3. 상위 1%는 ‘제논의 역설’이 통한다
4. 공부, 머리인가 노력인가
5. 노력 없이 in서울 합격 없다
6. 학교 내신 성적만으로는 in서울 어렵다
7. 논술 실력만으로도 in서울 힘들다
8. 대입전형을 알아야 in서울 한다
9. in서울 하는 모든 키는 수능 성적이 쥐고 있다
10. 대입전형에 맞춰 전략적으로 공부해야 in서울 한다
11. 수능 공부로 in서울이 가능한 이유
12. 학교 공부에 열심인 학생이 in서울 한다
13. ‘수능 + 내신’ or ‘ 수능 + 논술’ = in서울 하는 지름길
14. in서울 하는 학생들은 이것이 다르다
15. 공부에 중요한 시기는 이때다
16. 성적은 불연속적으로 상승한다
17. ‘1 + 2 + 3’ vs. ‘2 + 2 + 2’
18. 고등학교 1학년은 공부의 틀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시기
19. 확증편향, 근거 없는 자신감이 수능을 망친다
20. 수능형 학생 vs. 내신형 학생
21. 학원 몰입식 공부 vs. 자기가 주도하는 공부
22. in서울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공부 전략
23. 대입전형 지원 전략을 성공적으로 짜는 방법
24. 현명한 부모가 아이를 대학 보낸다
25. 자기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으로 키워라
26. 가장 올바른 입시전략은 일관성과 지속성

제2장. 공부 잘하는 학생에게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과 공부법
1. 공부 잘하는 학생에게서 나타나는 특성
특성1. 뚜렷한 목표의식과 강한 성취동기
특성2. 집중력과 끈기
특성3. 자신만의 공부 요령을 터득
특성4. 실현 가능한 계획
특성5. 분석적ㆍ전략적 접근
공부 잘하는 학생들에서 얻을 수 있는 핵심 키워드3. 계획 + 분석 + 노력
2. 공부 잘하는 학생의 특별한 공부법
특별한 공부법1. 기출문제 공부의 중요성
특별한 공부법2. 수능 국어 과목
특별한 공부법3. 수능 영어 과목
특별한 공부법4. 수능 수학 과목
특별한 공부법5. 학교 내신 공부

제3장. 학습 효과를 높이는 공부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학습 능력은 어떻게 향상되는가
2. 학습 능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방법1. 배경지식을 쌓아야 한다
방법2. 집중해야 한다
방법3. 깊게 생각해야 한다
방법4. 부단히 반복학습해야 한다
방법5. 자기주도로 학습해야 한다
3. 학습 능력을 높이는 핵심 키워드3. 기억 + 이해 + 사고


제4장. 학습 효과를 높이고 성적을 끌어올리는 실천 학습법
1. 공부의 주체는 ‘나’
공부 잘하려면 올바른 공부 습관부터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수능 고득점은 학습 태도에 달렸다
수능 고득점은 공부 방법이 달라야 한다
2. 수능 고득점을 받기 위한 자기주도 학습의 포인트
포인트1. 수능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공부하라
포인트2. 찾아 살피는 공부를 하라
포인트3. 스스로 분석하고 평가하며 공부하라
3. 수능형 학생이 되려면 수능과 논술을 함께, 일찍부터 공부하라
논술 공부는 공부 습관과 학습 태도를 바꾸는 가장 좋은 학습이다
수능과 논술, 유사점과 차이점
왜 동시에, 한꺼번에 공부해야 하나
논술과 수능 영어ㆍ국어 평가 영역과의 합치 관계
수능 지문으로 이렇게 논술 공부하라
4. 수능 지문 읽는법
핵심(1) 핵심 주제어를 파악하고 중심 주장 글을 찾는다
핵심(2) 중요한 단어와 용어를 찾아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 파악한다
수능 국어와 영어 과목 지문 읽기의 핵심 정리
5. 수능 국어 공부의 핵심 포인트
관건은 독해력이다
비문학 문제 풀이의 포인트
문학 작품 문제 풀이의 포인트
6. 수능 영어 공부의 핵심 포인트
관건은 어휘력이다
문장 독해 요령
빈칸추론 문제 풀이의 포인트
7. 수능 수학 공부의 핵심 포인트
수학은 암기과목이다
기본문제는 통째로 외워라
단원별 기본공식의 전체 프레임을 모사(模寫)하라
8. 공부에 대한 궁금증 몇 가지
학습 계획은 어떻게 세우는 것이 효과적일까?
예습과 복습, 어느 것이 중요하고 또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
오답노트와 단권화 학습, 어떻게 할까
EBS 교재,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어휘와 어법은 어떤 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
교과서는 어떻게 공부하는 게 좋을까?
수능 답안 고를 때의 요령

끝맺으며
1. 왜 공부해야 하는가를 따져 묻는 당돌한 자식에게 건네는 옹색한 설득
이유1. 공부의 경제학_ 공부의 ‘때’를 놓치면 안 된다
이유2. 공부는 학생의 본분이자 특권이다
이유3. 공부는 부모에게 가장 큰 효도다
2. 수험생을 둔 부모가 자녀 교육에 관여코자 할 경우에 당부하는 조언 한 마디




종교와 민족, 실크로드
9788998742669.jpg


도서명 : 종교와 민족, 실크로드
저자/출판사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민족사
쪽수 : 415쪽
출판일 : 2016-06-30
ISBN : 9788998742669
정가 : 32000

1부 실크로드와 종교
1. 한(漢) · 당(唐) 시기의 서역불교와 그 동전(東傳) 경로
왕신(王欣) / 섬서사범대학 서부변강연구원 원장
2. 우전 불교사 논술
한종이 /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교수
3. 고대 실크로드 경제권의 변화와 대승불교의 발전
한지연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교수
4. 실크로드와 중국 이슬람 경학
하바오위 /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교수
5. 러시아에 소장된 감씨 고창(高昌) 시기의 발원문 연구
페이청궈 / 서북대학 교수

2부 실크로드와 민족
1. ‘고을에 들어가면 고을 풍속을 따르라’와 문화 형식의 전환 : 당대 중국에 들어온 중앙 · 서아시아 코카서스인 종교신앙의 변화
한샹 /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교수
2. 종교와 민족의 합류 : 중아시아 타지크인 종교 변화와 민족 형성 연구 분석
왕차오(王超) /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연구원
3. 청대 신장지역 한인의 민간신앙에 대한 연구와 분석
류홍 /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연구원
4. 중고시기의 불교와 민족간의 경계선
우홍린 / 섬서사범대학 중국서부변강연구원 교수

3부 실크로드와 문화
1. 누란 벽화 무덤에 대한 재검토
리칭 / 서북미술학원 교수
2. 압사라의 길, 비천의 문화 : 실크로드를 통해 본 8세기의 세계화
강희정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HK교수

3. 탁실라 박물관의 불교 예술품
나시르 칸(Nasir Khan) / 탁실라박물관 학예관
4. 제이드로드와 중국신화학의 새로운 콘텍스트 : 서왕모(西王母) 신화를 중 심으로
홍윤희 /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5. 산베이 돌사자와 불교문화
주진후이 / 서북미술학원 교수

4부 실크로드와 고고 · 문헌
1. 동투르키스탄[新彊] 출토 증일아함 산스크리트 사본 단편
정진일 / 괴팅겐학술원 교수
2. 티베트 문헌에 기술된 호탄불교 : 바셰(dBa' bzhed)와 둔황 출토 펠리오 티벳사본 호탄불교사(Li yul chos kyi lo rgyus)를 중심으로
차상엽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교수
3. 간다라의 최신 고고학적 발견들 : 파키스탄 탁실라(Taxila) 계곡의 바달푸르(Badalpur) 사원 사례 연구
아쉬라프 칸(Ashraf Khan) / 콰이드 아이 아잠대학 교수
4. 9세기 이전 간다라와 중국의 상호 문화교류 : 새로운 고고학적 근거들
나심 칸(M. Nasim Khan) / 페샤와르대학 교수
5. 일본의 서역연구 : 불교에 관련된 최근의 동향을 중심으로
야마구치 히로에(山口弘江) / 고마자와대학 교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