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시클 프린트. 1: 도시와 자전거 생활 또는 갑과 을의 나라
로즈
2025-04-28 10:48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0회 연결
본문
바이시클 프린트. 1: 도시와 자전거 생활

도서명 : 바이시클 프린트. 1: 도시와 자전거 생활
저자/출판사 : 프로파간다 편집부, 프로파간다
쪽수 : 200쪽
출판일 : 2013-06-01
ISBN : 9788998143084
정가 : 15000
박흥용(만화가)
박정민(도쿄자전거디자인학교 학생)
빈도해(헤어스타일리스트, 낭만미장원 주인)
이순우(경륜훈련원 코치)
정웅(오월의종 베이커리 제빵사)
바이크버스(자전거 출퇴근 모임)
매니페스토 건축(건축가)
이다 킴머(작가, 작곡가, 모델)
암스테르담, 네덜란드(강문식)
뉴욕, 미국(제프리 키더)
포틀랜드, 미국(월넛 스튜디올로)
상하이, 중국(팩토리5)
서울, 한국(닐스 클라우스)
도쿄, 일본(민경현)
매뉴얼: 자전거 프레임
책 속 부록: 자전거 프레임 포스터
갑과 을의 나라

도서명 : 갑과 을의 나라
저자/출판사 :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쪽수 : 302쪽
출판일 : 2013-05-25
ISBN : 9788959062355
정가 : 13000
머리말: 갑을관계는 한국인의 숙명인가
1장 왜 한국인은 갑을관계에 중독됐나: 갑을관계의 역사
서열주의ㆍ갑을관계ㆍ관존민비 | 조선 말기의 공직 | 일제치하의 공직 | 미군정 치하의 공직 | 이승만 정권 치하의 공직 | 동빙고동은 ‘도둑 마을’ | 김지하의 《오적》 | 민에 군림한 관료 권위주의 | 관료 조직의 정치적 도구화 | 공무원 개혁의 조급주의와 영웅주의 | 공무원, 풀잎처럼 눕다 | 부패, 공직의 다른 이름 | 왜 부정부패는 합리적이었나 | 공복은 실현 불가능한 이상인가 | 정권과 관료 집단의 유착 | 법조계의 전관예우 | 대법관 출신 변호사 연봉 27억 원 | 전관예우는 한국 정치의 암 | “국감 향응은 거지 같은 관행” | 업자가 검사에게 술 사고 돈 줘야 되는 사회 | 갑 행세를 하지 않으면 왕따 | 산하기관한테 성접대까지 받는 공무원들의 나라 | 인정투쟁 잣대의 획일화
2장 갑을관계 문화가 낳은 사생아, 브로커: 브로커의 역사
브로커의 원조는 해방 정국의 통역관 | 군납 브로커ㆍ차관 브로커ㆍ착취 브로커ㆍ운전면허 브로커ㆍ부동산 브로커 | 브로커계의 쌍벽 부동산 브로커와 법조 브로커 | 금융 브로커ㆍ시험 브로커ㆍ민원 브로커ㆍ이민 브로커ㆍ취업 브로커 | 사건 브로커ㆍ정치 브로커ㆍ세무 브로커ㆍ진단서 브로커ㆍ비자 브로커ㆍ면허 브로커ㆍ철거 보상 브로커 | 친목회ㆍ계 모임ㆍ상조회ㆍ동창회의 활약 | 한 건만 성공하면 5대가 영화를 누린다 | 대학끼리 벌이는 부정 입학 품앗이 | 개업 변호사는 브로커 덕분에 먹고산다 | 병무청인가, 병무비리청인가 | 전 국민의 브로커화 | 한국은 브로커 공화국 | 건국 이래 최대의 법조 브로커 | 브로커 천국 코리아 | 문전 걸치기 전략 | 첫 만남에 “형님” 하며 친한 척 | 김재록은 브로커인가, 금융 전문가인가 | 브로커의 돈ㆍ청탁에 눈먼 판검사들 | 언제 어디에서 무슨 비리를 저지를지 모르는 상황 | 왜 브로커 양성화가 필요한가
3장 선물은 ‘가면 쓴 뇌물’인가: 선물의 역사
문화인류학자들의 선물 연구 | 부정부패와 선물 | 1950년대의 선물 스캔들 | 이기붕과 김두한 | 누구에게 아첨하려고 사과 상자를 들고 가는가 | 명절 선물 없애기 운동 | “선물 못 받으면 고독해진다” | 돗자리 사건과 피라미드형 화장품 선물 사건 | 일제 전기밥솥 선물 사건 | 미국 쇠고기 선물 사건 | 선거는 선물 축제 | YS시계 사건 | 먹고 먹히는 선물 사슬 관계 | 선물의, 선물에 의한, 선물을 위한 세상 | 블랙 앤드 화이트 티셔츠 사건 | 선물 경제에 발목 잡히다 | ‘선물 안 받기 운동’에서 ‘선물 주고받기 운동’으로 | 감동을 주는 선물 이야기 | 온라인 선물 경제의 가능성
4장 권력자의 갑질에 시달려온 을의 반란: 시위의 역사
한국인은 ‘심정’에 죽고 산다 | 해방 정국의 반탁 시위 | 하루 종일 기를 들고 나서는 사람들 | 국립서울종합대학안 파동 시위 | 대구의 기근 시위 | 3ㆍ1절 기념식 유혈 사태 | 이승만과 김구의 마지막 합작품 | 우의마의 시위 | 재일교포 북송반대 시위 | 2ㆍ28 대구 학생 시위 | 3ㆍ15 부정선거 항의 시위 | 너는 그날 무엇을 하고 있었느냐 | 갓난아기가 젖을 늦게 주어도 울면서 데모 | 한일회담 반대 시위 | 한일협정 반대 시위 | 3선 개헌 반대 시위 | 부정부패 규탄 시위 | 긴급조치 시대의 시위 | 1984년에서 1985년 사이에 벌어진 민주화 시위 | 1987년 6ㆍ10 시위 | 1990년대의 시위 | 홍보성 시위와 1인 시위 | 붉은 띠 시위와 촛불시위 | 삭발 투쟁 시위 | 여의도 농민 시위 사건 | 평화적으로 시위하면 보도가 안 된다 | 시위를 막는 전의경의 항변 | 전 경찰청장 허준영의 항변 | 시위와 성찰의 결합을 위하여
맺음말: 을의 반란은 시대정신인가
신자유주의가 갑을관계의 핵심인가 | 왜 갑을관계라는 말은 2004년부터 쓰였을까 | 인터넷과 손잡은 을의 반란 | 경제민주화엔 반대해도 갑의 횡포엔 분노한다 | 갑을관계를 외면한 연역적 개혁 | 조직을 앞세워 폭력을 행사하는 조폭 근성 | “억울하면 출세하라”는 각개약진 이데올로기 | 을에게 한순간 갑을 느껴보라는 마케팅 전략 | 서울과 지방의 갑을관계가 만든 내부 식민지 | 갑을관계를 미리 훈련하는 대학 서열 배틀 | 증오의 종언을 위한 을의 반란은 시대정신이다
주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