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의 결정적 한마디 또는 한방화장품의 문화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중앙은행의 결정적 한마디 또는 한방화장품의 문화사

로즈
2025-04-28 10:48 9 0

본문




중앙은행의 결정적 한마디
9788997453153.jpg


도서명 : 중앙은행의 결정적 한마디
저자/출판사 : 방현철, 이콘
쪽수 : 248쪽
출판일 : 2013-09-23
ISBN : 9788997453153
정가 : 14000

들어가며 006

제1장 어떻게 통화정책에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이 핵심적인 도구가 되었나? 015
미국 중앙은행 98년 역사상 첫 기자회견 017
말 한마디로 시장을 휘어잡은 드라기 유럽중앙은행 총재 024
'신비주의'를 벗어버린 중앙은행, 그들의 변신은 무죄? 028
투명한 중앙은행의 출현은 '소리 없는 혁명' 033
통화정책 수행의 핵심 도구로 등극한 '커뮤니케이션' 042
미디어가 중앙은행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매개체로 049
통화정책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효과가 있나? 054

제2장 글로벌 금융위기 후 중앙은행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059
세계 경제 대통령, 말로 세상을 다스린다 061
'인플레이션 파이터'가 아니라 '디플레이션 파이터'? 067
'블랙박스'를 열었다는 미국 연준의 물가 목표 제시 072
제로금리 바닥에 부닥친 선진국 중앙은행의 신(新)무기들 078
미래 전략을 미리 가르쳐 주기 시작한 중앙은행들 083
'에반스 룰(Evans' Rule)'의 등장 087
명목 GDP 목표제를 둘러싼 논쟁 092
제로금리가 불러온 중앙은행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혁신 098

제3장 금통위의 금리 결정 신호가 통화정책의 기대경로에 미치는 영향 103
통화정책의 기대경로를 논의할 필요성 105
통화정책과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기존 연구 109
합리적 기대 가설과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 115
1990년대 이후 중앙은행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성과의 축적 119
금리 결정 보도 분량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방법 126
미디어 금리 결정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들의 추이 132
미디어 금리 결정 보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137
충격효과와 총재의 성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142
금통위의 신호 발송(signaling)과 통화정책의 기대경로 150
한국에서 금리 결정 보도의 결정 요인은 무엇인가? 155

제4장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과 물가 기대: 금리 결정 뉴스가 전문가와 일반인의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159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161
중앙은행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선행 연구 166
중앙은행 커뮤니케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 관계에 대한 분석모형 172
기대인플레이션 지표로는 어떤 것들이 사용되나 173
미디어의 보도 분량에 대한 측정 방법 176
금리 결정 보도와 기대인플레이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179
일반 대중과 전문가의 기대인플레이션 관계 분석 183
금리 결정 뉴스가 일반 대중과 전문가의 기대인플레이션 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187
실증분석 결과의 시사점 190

제5장 한국은행의 바람직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략 193
박승 총재발(發) 'BOK 쇼크' 195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금리 올린 이성태 총재 200
2012년 7월 '양치기 한은'이라 비난받은 김중수 총재 204
정부의 정책금리에 대한 의견 개진이 큰 영향 209
금통위원들의 침묵과 한은 총재의 한마디 213
한국은행은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있어야 한다 217
한국은행은 될 수 있으면 미디어를 놀라게 하지 말아야 한다 219
한국은행 총재의 말이 '불변의 법칙'이 돼서도 안 된다 224
바람직한 한국은행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229

마치며 235
참고문헌 240




한방화장품의 문화사
9788975276668.jpg


도서명 : 한방화장품의 문화사
저자/출판사 : 김남일, 들녘
쪽수 : 284쪽
출판일 : 2013-04-05
ISBN : 9788975276668
정가 : 15000

1. 한방화장품 개괄
한방화장품의 역사문화 탐구를 시작하면서 16
한의학적으로 본 한방화장품의 효과 21
한의학에서 피부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25
한방 피부미용의 의의, 방법, 기능 29
한방 피부미용의 영역과 요법 33
한방화장품의 기준에 대해서 38

2. 우리 역사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과 피부 미용
단군신화에 나타난 쑥과 마늘의 피부미용 효과 42
쌍용총 고분벽화의 연지 화장한 여인들 45
선덕여왕과 모란꽃 향기 48
신라시대 기파랑과 피부미용 50
몸에서 향기가 난 신라시대의 국색 김정란 53
고려시대부터 민간에서 사용해온 해수욕 요법 56
『고려도경』에 나타난 고려시대 여인들의 모습 59
기황후의 성공 신화 62
조선 2대 임금 정종의 피부에 대한 인식 64
일본 사신 승전이 세조에게 바친 장렴 67
국혼에 지분 사용을 억제하고자 한 영조 71
숙종의 피부관리 방안 74
다리의 부기를 다스리는 인동차와 총과병 77
위맥과 안색을 연결 지어 질환을 파악하다 80
인종의 얼굴 상태를 이양병으로 진단하다 83
궁중 어의 유상의 얼굴 피부 치료 활동 85
피부소양증에 금은화차와 각종 차를 사용하다 88
진주가루로 화장 한 명성황후 91
1930년『별건곤』에 나오는 미용비법 94
옛 왕실에서 사용한 두 가지 피부미용 처방 98

3. 우리나라의 피부 미용과 문화
우리나라의 미인관 102
우리나라의 목욕문화 103
『견첩록』의 매분구에 대한 기록 105
관형찰색으로 순조의 얼굴을 살핀 홍욱호 109
한방화장품과 환경 113
음식과 피부미용 116

4. 한의학과 피부미용
한의학적 아름다움이란 120
한의학의 주름과 개선법-주름의 한의학적 해석 126
경락이론과 피부미용-12피부, 육경피부 134
여자포와 피부미용의 관계 138
한증요법과 피부 미용 141

5. 의서와 역사 기록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과 피부 미용
『향약구급방』의 피부 미용 내용 분석 146
『향약집성방』에 소개된 온천의 피부미용 효과 151
온천욕으로 피부관리를 했던 세종대왕 155
천문동으로 피부를 관리할 것을 상소하다 158
사람의 피부를 나무의 껍질에 비유한 장순손 166
피부 관리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 정조대왕 171
화장 문화의 보고,『 규합총서』177
『섭양요결』에 나오는 고본주의 피부미용 효과 187
얼굴을 윤택하게 하고 곱게 하는 화장법 190
음식과 피부미용의 관계 195
1955년에 간행된『미용, 이용 위생독본』199

6.『동의보감』과 한방화장품
『동의보감과 피부미용』204
피부미용 처방들 212
피부미용과‘정기신론’의 만남 218
피부 마사지법-수의재면법 223
반노환동과 피부미용 226
얼굴을 아름답게 하는 향기 229
향기요법 관련 기록 한 가지 232
몸에서 향기 나게 하는 법 235
향처방의 기록,‘ 향보’ 238
미용 비누-향비조 242

7. 한방화장품의 원료
피부를 즐겁게 해주는 돼지비계 효과 246
전염병 예방에 뛰어난 목욕 처방 247
얼굴의 피부에 사용하는 외용 단방들 250
얼굴을 아름답게 하는 단방들 253
장미이슬로 손을 씻은 김시국 256
수세미의 피부미용 효과 260
조두의 한의학적 활용 263
우리나라 고유의 천연화장품,‘ 미안수’ 266
피부미용에 활용된 동백꽃 270
한의사 이병택의 ‘미용치험례’ 273

에필로그 277
참고문헌 278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