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또는 발길 닿는 곳마다 인연이었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또는 발길 닿는 곳마다 인연이었네

로즈
2025-04-28 10:48 9 0

본문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9788926845721.jpg


도서명 :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저자/출판사 : 김창훈, 한국학술정보
쪽수 : 624쪽
출판일 : 2013-08-30
ISBN : 9788926845721
정가 : 45000

제1장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역사적 배경
1. 광복운동 19
2. 한국 독립에 관한 국제적 약정 22
3. 국토의 분단 26
4. 모스크바 협정 31
5. 미?소 공동위원회 33
6.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 39
7.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출현 42

제2장
이승만 정부의 외교(1948∼1960)
1. 정부 승인 획득 외교 49
2. 안보 외교의 시작 52
3. 한국전쟁 56
4. 정전협정 64
5. 제네바 정치회담 71
6. 이승만 정부의 통일 정책 74
7. 한?일 회담의 시작과 평화선 선포 78

제3장
허정 과도정부와 장면 내각의 외교(1960∼1961)
1. 대미(對美) 안보와 유엔 외교의 강화 86
2. 대일(對日) 외교의 강화 89

제4장
박정희 정부의 외교(1961∼1979)
1. 정통성 확보 외교 96
2. 한?일 국교정상화 98
3. 한국군의 월남 파병 102
4. 동(東)베를린 북한 공작단 사건 111
5. 닉슨 독트린 114
6. ‘7?4 남북공동성명’ 118
7. ‘6?23선언’과 평화통일 3대 원칙 122
8. 대(對)공산권 외교의 시작 126
9. 아프리카 세력의 등장과 외교의 다변화 128
10. 김대중 납치 사건 131
11. ‘리마’ 비동맹 전체 외상회의 135
12. 판문점 도끼 만행과 북한의 마약밀수 사건 140
13. 유엔총회에서의 한국문제 토의 지양 145
14. 박동선 사건 149
15. 경제발전과 국위 선양 154

제5장
전두환 정부의 외교(1980∼1987)
1. 미국과의 우호관계 증진 164
2. 문세광 사건과 한?일 관계 개선 167
3. 공산권 진출 172
4. 대(對)비동맹국 외교의 강화 175
5.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178
6. KAL기 격추 사건 180
7. ‘아웅 산 묘소’ 폭파 사건 184

제6장
노태우 정부의 외교(1987∼1992)
1. 북방외교 194
2. ‘7?7선언’ 198
3. KAL기 폭파 사건?서울올림픽?평양 축전 201
4. 미국의 통상 압력 209
5. 남북대화의 재개 214
6. 한?러시아 관계 발전 217
7. 한반도 비핵화 선언 223
8.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 226
9. 대(對)아?태지역 외교 강화와 APEC 232
10. 중국과의 국교 수립 237

제7장
김영삼 정부의 외교(1993∼1998)
1. 북한의 핵 문제 250
2. 경부고속전철의 차종 결정 258
3. 김일성 사망 이후의 남?북 관계 264
4.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참여 268
5. ‘우루과이 라운드(UR)’ 타결과 세계무역기구 출범 271
6.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피선 277
7.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 280
8. 한?미 행정협정(SOFA)의 개정 문제 284
9. 새 재외동포 정책 287
10.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92
11. ‘월드컵 축구대회’의 한?일 공동 유치 300
1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05
13. 한반도 4자회담 309

14. 황장엽 북한 노동당 비서의 망명 312
15. 환경 외교 316
16. 김영삼 정부의 통일 정책 320
17.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요청 324

제8장
김대중 정부의 외교(1998∼2003)
1. 통화위기의 극복 333
2. 김대중 정부의 대북 정책 338
3. 평화체제 구축 노력 345
4. 주변 4대 강국과의 외교 강화 348
5. 소떼 북송과 금강산 관광 360
6. 북한 미사일 실험발사 유예와 페리 보고서 365
7.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 369
8.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375
9. 제3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380
10. 한?미 정상회담 385
11.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서명 390
12. 남?북한 철도와 도로 연결 396
13. 북한의 핵개발 문제 402

제9장
노무현 정부의 외교(2003∼2008)
1. 국군의 이라크 파병 414
2. 2005 부산 APEC 회의 420
3. 반기문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취임 424
4. 북한의 탄도 미사일 실험발사와 핵실험 430
5. 제19차 남북 장관급회담 438
6. 아시아 횡단철도망 건설을 위한 정부 간 협정 442
7.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현황과 한?미 FTA 타결 450
8. 전시(戰時) 작전통제권 전환 문제 456
9. 한?중 수교 15주년 463
10. 2007년 남북정상회담 469
11. 지구 온난화와 환경 외교 476
12. 북한의 인권문제 483
13. 베이징 6자회담 489

제10장
이명박 정부의 외교(2008∼2013)
1.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502
2. 한?일, ‘과거사’ 딛고 ‘신시대’를 맞다 507
3. 한국군의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511
4. 천안함 폭침(爆沈) 사건 유엔 안보리에 회부 517
5.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연기 525
6.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 사건 529
7. 서울 G20 정상회의 개최 538
8. 외규장각 왕실의궤 145년 만의 귀환 545
9. 한?EU FTA 발효 553
10. 평창의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 558
11. 한?미 군사동맹에서 다원적 전략동맹으로 격상 563
12. 남?북?러 천연 가스관 연결 사업 572
13. 한국 무역 ‘1조 달러 시대’를 열다 578
14. 한?중 국교수립 20주년을 맞아 584
15. 2012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 개최 589
16. 북한의 자칭 인공위성 ‘광명성 3호’ 발사 실패 595
17.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601
18. 한국, 유엔 안보리 재진출 성공 608

맺음말 615
참고문헌 619
부록: 외교부 조직표 622




발길 닿는 곳마다 인연이었네
9788997763047.jpg


도서명 : 발길 닿는 곳마다 인연이었네
저자/출판사 : 최향미, 벗나래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4-03-25
ISBN : 9788997763047
정가 : 15000

프롤로그 _ 여행은 나를 찾아가는 출발점이다
1. 잊혀진 고대 바위 도시에서 만난 나바테안의 후손들 - 페트라, 요르단
2. 유럽 최고의 온천에서 몸과 마음을 치유하다 - 비스바덴, 독일
3. 신비로움으로 가득한 이 시대 최고의 지상 낙원 - 세이셸, 세이셸공화국
4. 아랍 문화의 전통과 기질을 간직한 아라비안 나이트의 나라 - 사나, 예맨
5. 그림 형제가 자라난 여유로운 동화 마을 - 슈타이나우, 독일
6. 전쟁의 상처를 이겨내고 필수 여행 코스가 된 메콩 델타 - 호치민, 베트남
7. 타워 브릿지에서의 수줍은 입맞춤 - 런던, 영국
8. 별들이 쏘곤대는 홍콩은 정말 홍콩 가지 - 홍콩, 중국
9. 낭만의 도시에서 정든 도시가 된 카사블랑카 - 카사블랑카, 모로코
10. 가난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의 천국 - 다카, 방글라데쉬
11. 세계 3대 축제, 맥주의 향연 옥토버 페스트 - 뮌헨, 독일
12. 떠오르는 중동 최대의 영화제, DTFF - 도하, 카타르
13. 가면 너머 중세로의 시간여행, 베니스 카니발 - 베니스, 이탈리아
14. 검은 대륙, 월드컵 열기로 휩싸이다 - 알제, 알제리
15. 겨울정취 가득한 크리스마스 마켓과 글루 와인 - 프랑크푸르트, 독일
16. 중세의 기사가 말을 타고 달려올 것만 같은 성스러운 도시 -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17. 러시아인의 어머니 모스크바, 스파시바 모스크바 - 모스크바, 러시아
18. 바이킹의 나라, 스칸디나비아의 도시를 만나다 - 스톡홀롬, 스웨덴
19. 라인 폭포와 호반의 도시를 거닐다 - 취리히, 스위스
20. 나를 키워준 멜버른, 넌 감동이었어 - 멜버른, 호주
21. 유럽 최남단에서 구슬픈 파디에 젖다 - 리스본, 포르투갈
22. 위대한 종합예술의 결정판, 태양의 서커스 - 몬트리올, 캐나다
23. 와플과 홍합으로 대표되는《 플란더스의 개》와 <스머프> 의 고향 - 브뤼셀, 벨기에
24. 클림트, 자허 케이크와 사랑에 빠지다 - 비엔나, 오스트리아
25. 고야와 플라멩코의 슬픈 이중주 - 마드리드, 스페인
26. 파리지앵과의 어느 멋진 날 - 파리, 프랑스
27. 열심히 일한 당신, 그리스로 떠나라 - 산토리니, 그리스
28. 나미비안의 소울 메이트와 함께 한 황홀한 데이트 - 케이프타운, 남아프리카공화국
29. 자유로운 영혼들의 도시에서 맛본 칼스버그 맥주 - 코펜하겐, 덴마크
30. 인류 문명의 살아 있는 야외 박물관, 동서양을 잇는 다리 - 이스탄불, 터키 스머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