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의학 또는 비평이론과 수필평설을 통한 현대 수필창작 이론
로즈
2025-04-28 10:48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전쟁과 의학

도서명 : 전쟁과 의학
저자/출판사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역사문화원, 허원미디어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3-12-27
ISBN : 9788992162609
정가 : 16000
책머리에 ㆍ4
서론 인간과 전쟁 : 정치학자가 본 전쟁 | 구대열(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1. 들어가는 말 ㆍ14
2. 국가에게 전쟁이란 무엇인가 ㆍ15
3. 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ㆍ20
4. 인간성과 전쟁은 관련이 있는가 ㆍ23
5. 인간은 전쟁의 참상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ㆍ25
6. 맺는말 : 인간은 전쟁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ㆍ28
1부 전쟁과 의학의 함수관계
1. 전쟁과 의학연구 | 김옥주(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1. 들어가는 말 ㆍ35
2. 선사시대의 전쟁과 의학 ㆍ37
3. 그리스-로마 시대의 전쟁과 의학 ㆍ38
4. 중세 시대부터 17세기까지의 전쟁과 의학 ㆍ44
5. 18~19세기의 전쟁과 의학 ㆍ47
6. 제1차 세계대전 시기의 의학 ㆍ50
7. 전쟁과 의학 : 20세기의 악마적 동맹 ㆍ52
8. 맺는말 ㆍ58
2. 전쟁과 외과학의 발전 | 김석화(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1. 들어가며 ㆍ63
2. 로마 시대의 외과학과 전쟁 ㆍ64
3. 수혈과 소독이 바꾼 전쟁 양상 ㆍ68
4. 다양한 외과 분과 학문의 출발 ㆍ71
5. 한국전쟁과 의술의 발전 ㆍ76
6. 베트남전과 헬리콥터 이송 ㆍ81
7. 맺는말 : 미래 전쟁에서 외과학의 모습은 어떨까 ㆍ83
3. 전쟁 속의 간호의 역사 | 김정은(서울대학교 간호대학)
1. 전쟁과 근대 간호 ㆍ88
2. 외국의 전쟁과 간호 ㆍ89
3. 한국전쟁과 간호 ㆍ98
4. 영화 속의 간호사 ㆍ99
5. 맺는말 ㆍ102
2부 역사 속의 전쟁, 역사 속의 의학
1.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년)과 아테네 역병 | 성영곤(관동대학교 사학과)
1. 동시대의 역사가 투키디데스 ㆍ107
2. 펠로폰네소스 전쟁 ㆍ110
3. 아테네 역병 ㆍ114
4. 히포크라테스 전설 ㆍ120
5. 아테네 역병과 전쟁의 추이 ㆍ124
6. 그리스 문화에 새겨진 아테네 역병 ㆍ131
2. 나폴레옹전쟁과 근대의학의 발전 | 이재담(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1. 혁명과 전쟁 그리고 새로운 의학 ㆍ139
2. 나폴레옹과 파리의 의사들 ㆍ144
3. 군진의학 ㆍ152
4. 나폴레옹의 지병과 사인에 얽힌 이야기 ㆍ159
5. 전쟁과 의학: 나폴레옹 시대를 통한 프랑스 의학의 변용 ㆍ163
6. 요약 ㆍ169
3부 문학작품과 회고록을 통해 본 전쟁, 의학, 의료인
1. 세계 명작 속의 전쟁과 의학 | 김애양(은혜산부인과)
1. 전쟁을 다룬 세계 명작소설들 ㆍ176
2. 독가스에 대하여 ㆍ180
3. 독가스와 항암제 ㆍ188
4. 전쟁이 전파하는 매독에 대하여 ㆍ191
5. 한국전쟁과 자궁경부암 ㆍ197
2. 회고록을 통해서 본 의료인들의 6·25전쟁 체험 | 김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역사문화원)
1. 머리말 ㆍ201
2. 검토 대상 의료인 19명의 주요경력 ㆍ204
3. 6·25전쟁 초기 피난 여부 ㆍ213
4. 북한군 치하 서울 생활 ㆍ222
5. 9·28 서울 수복 이후의 갈등 ㆍ231
6. 1·4후퇴 이후 전상환자 치료 ㆍ237
7. 선진국
의학이 한국 의료인에게 끼친 영향 ㆍ249
8. 맺는말 ㆍ256
결론
전쟁과 의학, 그 패러독스 | 황상익(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1. 전쟁에 대한 의료인의 대응 ㆍ262
2. 전쟁의 피해 ㆍ272
3. 전쟁은 허용될 수 있는가 ㆍ284
비평이론과 수필평설을 통한 현대 수필창작 이론

도서명 : 비평이론과 수필평설을 통한 현대 수필창작 이론
저자/출판사 : 박양근, 수필과비평사
쪽수 : 386쪽
출판일 : 2013-07-06
ISBN : 9788998524746
정가 : 19800
서문
제1부
01 여성 욕망과 여성 담론
02 욕망과 해체로서 글쓰기
03 수필의 랑그와 파롤
04 우화적 수필과 원형적 등장인물
05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수필
제2부
01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로서 수필읽기
02 미셸 푸코의 담론과 싸움 담론
03 바슐라르의 공간과 작가의식
04 라캉의 담론과 수필화자의 서술
05 바흐친의 크로노토프, 수필의 시공과 등장인물
제3부
01 상상의 4가지 질문
02 수필 해석의 관점, 시점, 시선
03 수필의 환유, 은유, 풍유, 인유
04 메를로 퐁티의 몸말과 교감
05 구경하는 생生과 가다머의 해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