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마라 아내여 또는 노인요양병원 완화치료 임상지침서
로즈
2025-04-28 10:48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3회 연결
본문
울지 마라 아내여

도서명 : 울지 마라 아내여
저자/출판사 : 나태주, 푸른길
쪽수 : 176쪽
출판일 : 2014-02-13
ISBN : 9788962912494
정가 : 11000
책머리에
1부
울지 마라 아내여?2 / 울지 마라 아내여?1 / 아내는 이런 사람이다 / 완성 / 당신 안의 그 여자 / 공깃돌 / 아내?4 / 아내 없는 날 / 두 여자 / 개밥 / 무밥 / 등판 / 아내에게 말한다 / 일상사 / 개처럼?2 / 개처럼?1 / 풍경 / 꿈 깨어 쓰다 / 그 날 이후 / 몽당연필 / 기왕지사 / 딸그락 각시 / 잡은 손 / 해동갑 / 희망 / 수호천사 / 아직은 아니다 / 아내?3 /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 부탁?2 / 부탁?1 / 부부?2 / 부부?1 / 비원 / 울던 자리 / 빚
2부
나는 아직도 아내가 그립다 / 관객을 위하여 / 그냥 준다 / 차거지 / 가을 흰구름 아래 / 패착 / 사랑 / 시계에게 밥을 먹인다 / 대화 / 평화 / 해찰 / 화이트 크리스마스 / 가족사진 / 아름다운 짐승 / 봄 / 안쓰러움 / 고욤감나무를 슬퍼함 / 첫눈 / 노 / 울림 / 친구 / 무인도 / 그리운 시절 / 삼동 / 병원놀이 중 / 찌개 / 식탁 / 썩은 시인 / 장백산 제일온천 / 나는 파리에 가서도 향수를 사지 않았다 / 기도 / 약혼 / 대천 해수욕장
3부
행복 / 비 오는 아침 / 애기호박 / 아내?2 / 아내?1 / 민애의 노래책 / 비애집 / 연약함도 때로는 힘입니다 / 제비 / 변방?45 / 우리 아기 새로 나는 이빨은 / 난초를 가까이 하며 / 지구를 한 바퀴 / 아기를 재우려다 / 메꽃 / 엄마의 소원 / 갈꽃 핀 등성이마다 / 자목련꽃 꽃그늘 / 철쭉꽃 / 산철쭉을 캐려고 / 동국 / 겨울 아낙 / 5월 / 홍시 / 된장국 / 돌계단 / 봄 통화 중 / 간호 / 자는 여자 / 석류꽃 / 새각시 구름 / 귀로 / 초행
부록_ 아내, 김성예의 글
붕어빵 / 연 / ‘비단강’을 첫 글자 운으로 / 영산홍 / 우리 남편 / 시인 아내의 기도
노인요양병원 완화치료 임상지침서

도서명 : 노인요양병원 완화치료 임상지침서
저자/출판사 : Jerry L. Old , Daniel Swagert, 북마크
쪽수 : 424쪽
출판일 : 2014-09-30
ISBN : 9791185846057
정가 : 22000
지은이 서문
발간사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장 의학박사 윤해영
옮긴이 서문 편집위원장 손덕현
추천사1.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김춘진
추천사2. 국회의원 문정림(국회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추천사3. 대한병원협회장 박상근
Section 1_ 완화의료란…
제1장 완화의료의 정의
제2장 완화의료의 철학-치료에서 안락으로
제3장 ‘진단과 완치’에서 ‘고통 완화’로
제4장 역사적 고찰: 무엇이 바뀌었는가?
Section 2_ 임종 돌봄에 대한 다문화적 접근
제5장 다양한 인구를 고려한 계획 설정
제6장 미국의 흑인 문화와 임종
제7장 죽음과 임종에 대한 히스패닉계 사람들의 관점
제8장 유대인 문화의 이해
제9장 아시아인들의 애도문화
제10장 무슬림의 장례문화
제11장 다문화 간 문화적 교류의 형성
Section 3_ 환자에게 다가가기
제12장 나쁜 소식의 전달
제13장 가족회의
제14장 분노 다스리기
제15장 영적 진단
제16장 현실적인 희망 제시하기
제17장 말기 질환 환자의 연명치료 중지(DNR)과 자연사 허용권(AND)
제18장 사전의료의향서
제19장 의사결정 능력
제20장 목표 설정
제21장 호스피스 논의
제22장 자녀들에게 나쁜 소식 전하기
제23장 환자의 기도요청
제24장 사망선고
제25장 사망진단서의 작성
제26장 주변인에게 환자의 사망 소식 알리기
제27장 문상편지 쓰기
제28장 사별 가족 관리
Section 4_ 기대 수명 예측하기
제29장 “내가 얼마나 살까요?”
제30장 호스피스에 관한 가이드라인
제31장 의사의 기대여명 예측
제32장 완화의료 수행지수
제33장 특수한 질환들: 비암성 질환
section 5_ 완화의료의 제공
제34장 병원의 완화의료 병동
제35장 병원에서의 완화의료 자문
제36장 완화의료 제공에서 호스피스의 역할
제37장 요양원에서의 호스피스
Section 6_ 임종 돌봄 서비스
제38장 임박한 죽음 증후군
제39장 임종 자각
제40장 임종 섬망
제41장 애도: 정상 애도반응과 병적 애도반응
Section 7_ 통증 이외의 증상 조절
제42장 성공 확률 극대화를 위한 조언
제43장 호흡곤란, 공기 기아(Air Hunger), 공기 부족
제44장 구강관리 기초
제45장 임종기의 발열
제46장 동요와 불안
제47장 성적 욕구
제48장 영적·실존적 고통
제49장 메스꺼움과 구토
제50장 현기증
제51장 딸꾹질
제52장 피로
제53장 식욕 부진
제54장 변비
제55장 섬망
제56장 설사
제57장 요실금
제58장 우울증
제59장 낫지 않는 상처
제60장 가려움증
제61장 불면증
제62장 악몽
Section 8_ 통증 조절
제63장 오피오이드에 관한 미신
제64장 제한적 통증 치료의 법적 의무
제65장 통증 조절 원칙
제66장 통증 진단
제67장 오피오이드 진통제 간 전환(동등진통제 투여량)
제68장 오피오이드 투여량 확대
제69장 오피오이드 부작용 조절
제70장 오피오이드 금단
제71장 모르핀
제72장 하이드로코돈
제73장 옥시코돈
제74장 메타돈
제75장 가바펜틴
제76장 날록손
제77장 메페리딘: 비추천 진통제
제78장 프로폭시펜
제79장 신경차단술
제80장 유사중독
Section 9_ 완화 중재
제82장 경관급식
제83장 완화 항암제 요법
제84장 완화적 방사선 치료
제85장 항암제 요법의 ‘반응률’
제86장 인공호흡기 중단
제87장 장폐색
제88장 임종 신음
제89장 적극적 상처 치료
Section 10_ 소아환자
제90장 소아 환자
제91장 신생아
제92장 소아 중환자실
제93장 소아의 생명유지치료 중단
제94장 청소년 임종 환자
Section 11_ 의료기록 작성하기
제95장 완화의료 기록
제96장 호스피스/완화의료 원무 관리
Section 12_ 임종 윤리
제97장 윤리적 문제와 법적 문제
제98장 재촉된 죽음: 이중효과의 원리
제99장 무의미한 치료: 멈춰야 할 때
제100장 자기 관리와 직무 소진 예방
부록
색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