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MEON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SIMD 병렬 프로그래밍 또는 한국 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ARM MEON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SIMD 병렬 프로그래밍 또는 한국 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로즈
2025-04-28 10:48 10 0

본문




ARM MEON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SIMD 병렬 프로그래밍
9788965400707.jpg


도서명 : ARM MEON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SIMD 병렬 프로그래밍
저자/출판사 : 정영훈 , 최규달, 프리렉
쪽수 : 496쪽
출판일 : 2014-06-26
ISBN : 9788965400707
정가 : 32000

01장 안드로이드와 병렬 처리
1. 모바일 기기와 병렬 프로그램
1.1 모바일 기기의 요구 사항
1.2 병렬 프로그램을 활용한 요구 사항 충족
1.3 안드로이드 병렬 프로그램의 종류
1.4 SIMD 모델을 선택하는 이유
1.5 안드로이드 병렬 프로그램의 활용 분야
2. 안드로이드 SIMD 병렬 모델 NEON
2.1 NEON의 기본 개념
2.2 NEON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조
2.3 NEON의 특징과 장점
2.4 NEON의 활용 분야
2.5 NEON을 사용하는 이유: NEON과 일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비교
2.6 NEON 적용 과정
2.7 NEON 사용 방법
2.8 NEON 프로그램의 어려운 점
2.9 ARM NEON 병렬 프로그램의 역사
3. 모바일 기기의 전망

02장 안드로이드 SDK의 이해와 환경구축
1. 안드로이드
1.1 안드로이드의 역사
1.2 안드로이드의 버전
1.3 안드로이드의 성공 요인과 특징
2. 안드로이드 SDK
2.1 안드로이드 SDK의 구성
2.2 안드로이드 SDK의 최소 사양
2.3 안드로이드 개발에 필요한 도구들
3. SDK 설치하기
3.1 JDK 설치하기
3.2 이클립스와 안드로이드 SDK 설치하기
4.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4.1 AVD(에뮬레이터) 설정하기
4.2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03장 안드로이드 NDK의 이해와 환경구축
1. 안드로이드 NDK
1.1 안드로이드 NDK란
1.2 안드로이드 NDK의 기능
1.3 NDK의 장단점
1.4 안드로이드의 내부 구조
1.5 Java와 NDK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차이
1.6 NDK의 구성
1.7 NDK의 최소 사양
2. NDK 설치하기
3. 이클립스에 설정하기

04장 JNI의 이해
1. JNI란
2. JNI 문법
3. 자바에서 JNI(네이티브 코드) 호출
4. JNI 자료형 선언
5. JNI 배열
6. JNI에서 자바 클래스와 함수
7. 대용량 메모리 전달
8. Android.mk 파일
9. Application.mk 파일
10. JNI를 마치며

05장 스마트폰으로 애플리케이션 업로드
1. USB 업데이트
2. 이클립스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업로드

06장 NEON의 기본 개념
1. NEON의 자료형
2. NEON 벡터의 크기
3. NEON 레지스터
4. ARM과 NEON 명령어
5. NEON 벡터 자료형
6. NEON의 레인
7. NEON의 연산
8. NEON의 플래그
9. NEON 함수 형식: 내장 함수
10. NEON 연산의 제한
11. NEON 함수 사용하기
11.1 헤더 파일 설정
11.2 Application.mk 파일 설정
11.3 Android.mk 파일 설정
11.4 CPU에서 NEON 함수의 사용 가능 여부 확인
12. 이클립스에서 NEON 실행하기
13. NEON의 기본 개념을 마치며

07장 NEON 로드와 저장 함수
1. NEON 로드 함수
1.1 단일 로드 함수
1.2 복수 로드 함수
2. NEON 저장 함수
2.1 단일 저장 함수
2.2 복수 저장 함수
3. 이 장을 마치며

08장 NEON 산술 연산과 확장
1. NEON의 기본 산술 연산
1.1 더하기 함수
1.2 빼기 함수
1.3 곱하기 함수
1.4 나눗셈
1.5 인접 레인 더하기 함수
1.6 최댓값 함수
1.7 최솟값 함수
1.8 NEON의 산술 연산 정리
2. NEON의 산술 연산 확장
2.1 Long 더하기 함수
2.2 Wide 더하기 함수
2.3 포화 더하기 함수
2.4 Narrow 더하기 함수
2.5 벡터 2개의 평균 구하기 함수
2.6 Long 빼기 함수
2.7 Wide 빼기 함수
2.8 포화 빼기 함수
2.9 Narrow 빼기 함수
2.9 빼기 후 평균 함수
2.11 Long 곱하기 함수
2.12 곱한 후 가감 함수
2.13 Long 인접 레인 더하기 함수
2.14 Long 인접 레인 누계 함수
2.15 인접 레인 최댓값과 최솟값 함수
2.16 산술 연산 확장에 대하여
3. 연습 예제: GetSum( ) 함수

09장 NEON 레인 설정과 조회
1. NEON 레인 설정
1.1 레인 추출 함수
1.2 레인 설정 함수
1.3 비트 패턴을 이용한 레인 초기화 함수
1.4 특정 레인으로 벡터 초기화 함수
1.5 레인 브로드캐스트 함수
1.6 레인 설정 함수를 마치며
2. NEON 레인 조회
2.1 레인 조회 함수
2.2 레인 조회 확장 함수
2.3 레인 조합 함수
2.4 레인 교환 함수
2.5 레인 조회 함수를 마치며

10장 NEON 비트와 시프트 연산
1. 비트 연산
1.1 NEON 논리 연산 함수
1.2 비트 단위 선택 함수
1.3 부호 비트 변환 함수
1.4 그 외 비트 관련 함수
2. NEON 시프트 연산
2.1 NEON Shift 함수
2.2 오른쪽 Shift 함수
2.3 왼쪽 Shift 함수
2.4 Shift 후 삽입 함수
2.5 나눗셈 구현
3. 비트와 시프트 연산을 마치며

11장 NEON 비교 연산과 절댓값
1. 비교 연산
1.1 같음(==) 비교 함수
1.2 크거나 같음(>=) 비교 함수
1.3 작거나 같음(<=) 비교 함수
1.4 큼(>) 비교 함수
1.5 작음(<) 비교 함수
1.6 테스트 비트 함수
1.7 비교 연산을 마치며
2. 연습 예제: NeonSelect( ) 함수
3. 절댓값
3.1 절댓값 함수
3.2 절대 차이 함수
3.3 절대 차이 누계 함수
3.4 절댓값 비교
3.5 절댓값 연산을 마치며
4. 연습 예제: NeonABS( ) 함수
5. 연습 예제: 최댓값 함수

12장 NEON 변환 연산
1. NEON 변환 연산
1.1 벡터 결합 함수
1.2 벡터 분할 함수
1.3 벡터 레인 축소 함수
1.4 벡터 레인 확대 함수
1.4 실수 형변환 함수
1.5 NEON 변환 연산을 마치며
2. NEON 재해석 함수
3. 연습 예제: 표준편차 함수

13장 NEON 수학, 이항, 스칼라 연산
1. 수학 연산
1.1 역수 함수
1.2 역수 제곱근 함수
1.3 역수 확장 함수
1.4 역수 제곱근 확장 함수
1.5 역수를 이용한 나누기 연산
2. NEON 이항 연산
2.1 벡터 교환 함수
2.2 인터리브와 디인터리브
3. NEON 스칼라 연산
3.1 스칼라 곱하기
3.2 스칼라 벡터 Long 곱하기
3.3 스칼라 곱하기 누계
3.4 스칼라 벡터 곱하기 누계
4. 연습 예제: 4×4 행렬 연산
5. 연습 예제: 4×4 행렬의 연산 속도 개선

14장 NEON 활용
1. 흑백 이미지 변환
2. Fade In, Fade Out
3. Sharpen 필터
4. Sharpen 필터 성능 개선
5. Sharpen 필터 + OpenMP

15장 ARM 아키텍처
1. ARM 아키텍처
2. ARM 명령어
3. ARM 파이프라인
4. 분기 예측
5. Cortex-A9
6. ARM 아키텍처의 중요성

16장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1. 최적화란
2. 최적화 과정
3. 최적화 적용
3.1 최적화 옵션 사용
3.2 ARM 프로세서와 아키텍처 지정을 통한 최적화
3.3 자동 벡터화를 이용한 최적화
3.4 OpenMP와 NEON의 조합
3.5 파이프라인 명령어 제어
3.6 루프 구문 최적화
4. 최적화를 마치며

부록
1. NEON 어셈블리 명령어
2. 인라인 어셈블리어




한국 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9788958287872.jpg


도서명 : 한국 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저자/출판사 : 노태돈 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엮음, 사계절
쪽수 : 740쪽
출판일 : 2014-09-18
ISBN : 9788958287872
정가 : 45000

간행사

1부 연구의 흐름과 과제
동이 연구의 맥락과 과제 _ 서의식
한국 고대 건국 신화의 이해 방향 _ 문창로
한국 고대 국가와 율령(律令) _ 홍승우
조공ㆍ책봉을 둘러싼 논의와 고대 대외관계사 연구: 견당사(遣唐使)의 시대를 중심으로 _ 고미야 히데타카
청동기시대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 문제를 둘러싼 최근 연구 동향 _ 송호정
고구려 왕릉 연구의 어제와 오늘 _ 이도학
의자왕과 백제 멸망에 대한 새로운 시각 _ 김영관
발해사 연구의 길 _ 송기호
발해 도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_ 윤재운

2부 개념과 이론
한국사에서 민족의 개념과 형성 시기 _ 기경량
공동체론 _ 김창석
고대 개발론 _ 김재홍
수장제론(首長制論)의 기초적 이해 _ 홍기승
한국 고대의 교역사 연구에 있어서 개념의 문제 _ 박남수
낙랑군 연구와 식민주의 _ 오영찬
가야(加耶),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 _ 윤선태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귀족’ 개념의 도입 과정 _ 이재환
역사 연구 방법으로서의 유형화: 이기백의 사상사 연구를 중심으로 _ 김수태
일본 ‘동아시아’ 용어의 함의 _ 이순근

3부 새로운 주제의 모색
고대사 연구와 현대성: 고대의 ‘귀화인’, ‘도래인’ 문제를 중심으로 _ 이성시
역사 지리에서 공간 구조로 _ 박성현
한국 고대 공간사 연구의 가능성 모색 _ 여호규
한국 고대사에서 바닷길과 섬 _ 강봉룡
한국 고대 여성사 연구 현황과 연구의 진전을 위한 제언 _ 김영심
한국 고대사 연구를 위한 베트남 자료의 활용 _ 권오영
고조선 및 시조 인식의 계승 관계 _ 조법종
고구려 불교의 의례와 수행에 관한 고찰(考察) _ 리차드 맥브라이드
신라시대 인간관계 양상의 변화와 청해진(淸海鎭) _ 고경석
중국 산시성 시안의 일본승 구카이(空海) 기념물 _ 권덕영

노태돈 교수 약력 및 연구 논저
필자ㆍ간행위원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