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덕분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또는 한자지도사 급수수험자를 위한 한자학전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당신 덕분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또는 한자지도사 급수수험자를 위한 한자학전서

로즈
2025-04-28 10:48 9 0

본문




당신 덕분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9791155550182.jpg


도서명 : 당신 덕분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저자/출판사 : 최종수, 이지출판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4-04-05
ISBN : 9791155550182
정가 : 13000

차례

프롤로그 _ 당신의 향기 04

찔레꽃 향기, 맑은 마음으로

찔레꽃 향기, 맑은 마음으로 12
비닐하우스 개그콘서트 17
말은 마음의 등불 21
사랑을 이고 오신 만두 할머니 24
무지개 수제비, 일곱 빛깔 사랑을 먹다 27
홍시&김치 피자? 30
신부님 고추 좀 따올랑가? 33
행복한 돼지 세 자매 36
영구 없다! 영구 없다! 40


천국에도 자장면이 있을까요

당신 사랑 48
실패를 통해 가까워진 하느님과의 거리 50
부성애 결핍증 말기환자의 고백 55
어머니의 선물 63
신부님, 천국에도 짜장면이 있을까요 67
아버지 사랑, 김봉희 신부님 70
영혼의 고향 78
오늘 밤 두 번 울고 말았다 84
젊은 사제 그대여! 87
씨를 뿌리는 마음 90
축복받은 팔복성당 92
아름다운 이별 96
이별의 눈물, 그 거룩한 사랑 100
사제를 울린 일곱 빛깔의 칸타타 103
팔복성당에서 띄우는 하늘편지 110

은총의 시간 _ 빼까일기

원주민 지역에서 시작한 공동체 해외연수 122

사랑의 집 _ 마돈나하우스

시골에서 천국처럼 - 성직자·평신도 공동체 마돈나하우스 154
부채춤에서 피어난 사랑
- 피터보르 한인순교자성당의 장애우와 은퇴 사제를 위한 잔치 한마당 186

내 생명은 어디에서 왔는가

우주의 하느님 196
내 생명은 어디에서 왔는가? 197
자연은 잠시 빌려 쓰는 것 200
오난다가 부족의 헌법 203
누가 철새들의 군무를 훼방 놓는가 208
인디언처럼 살기 211
영혼의 땅 인도 -간디 아쉬람과 데레사 수녀 발자취 순례 220

미룰 수 없는 꿈과 사랑

블루베리 따는 신부 232
농촌환경사목을 자원하며 234
그리운 사람들과 함께 하는 시간 236
만나생태마을 238
생태건축 목조주택학교 개원을 꿈꾸며 240
갈매봉에서 희망의 새해를 242
유혹, 이길 수 없는 싸움 245
이끌어 주소서 248
흙부대집(황토집)을 짓다 250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집 254

그리운 벗에게

기적의 토종벌 258
첫 마음으로 262
아름다운 선물 265
똥돼지, 탑차 천장에 끼다 272
만나 블루베리 277
그리운 벗에게 281
신부님, 꿈만 같아요 285




한자지도사 급수수험자를 위한 한자학전서
9788981456771.jpg


도서명 : 한자지도사 급수수험자를 위한 한자학전서
저자/출판사 : 진태하, 서예문인화
쪽수 : 1167쪽
출판일 : 2014-08-25
ISBN : 9788981456771
정가 : 90000

序 文 Ⅰ. 緖 論 1. 漢字의 起源 1 半坡遺跡址의 位置와 時代 2 半坡遺跡址의 人種과 生活 3 半坡遺跡址의 陶器上 刻劃符號 4 半坡陶符와 他遺跡址의 陶符 比較 5 結言 2. 漢字에 대한 새로운 認識 1 漢字는 어떤 文字인가 2 漢字의 名稱 再考 3 表意文字와 表音文字의 差異點 4 漢字 古韓契 의 特性과 學習方法 5 漢字 古韓契 의 造字方法과 過程 Ⅱ. 漢字의 變遷 1. 漢字 書體의 變遷 1 甲骨文 2 古 3 金文 4 篆書 5 隸書 6 楷書 7 行書 8 草書 2. 中國 簡化字의 硏究와 受容 1 序 言 2 中國의 文字改革 原因 3 文革 이전의 漢字 改革運動 4 文革 이후의 漢字 改革運動 5 中國文字 精簡化의 實體 6 簡化의 方法 7 結 言 Ⅲ. 六 書 1. 六書의 槪略 2. 象形字 1 純體象形 1 天體에 대한 象形字 2 地理에 대한 象形字 3 人稱에 대한 象形字 4 人體에 대한 象形字 5 動物에 대한 象形字 6 植物에 대한 象形字 7 家屋에 대한 象形字 8 衣服 ... 序 文 Ⅰ. 緖 論 1. 漢字의 起源 1 半坡遺跡址의 位置와 時代 2 半坡遺跡址의 人種과 生活 3 半坡遺跡址의 陶器上 刻劃符號 4 半坡陶符와 他遺跡址의 陶符 比較 5 結言 2. 漢字에 대한 새로운 認識 1 漢字는 어떤 文字인가 2 漢字의 名稱 再考 3 表意文字와 表音文字의 差異點 4 漢字 古韓契 의 特性과 學習方法 5 漢字 古韓契 의 造字方法과 過程 Ⅱ. 漢字의 變遷 1. 漢字 書體의 變遷 1 甲骨文 2 古 3 金文 4 篆書 5 隸書 6 楷書 7 行書 8 草書 2. 中國 簡化字의 硏究와 受容 1 序 言 2 中國의 文字改革 原因 3 文革 이전의 漢字 改革運動 4 文革 이후의 漢字 改革運動 5 中國文字 精簡化의 實體 6 簡化의 方法 7 結 言 Ⅲ. 六 書 1. 六書의 槪略 2. 象形字 1 純體象形 1 天體에 대한 象形字 2 地理에 대한 象形字 3 人稱에 대한 象形字 4 人體에 대한 象形字 5 動物에 대한 象形字 6 植物에 대한 象形字 7 家屋에 대한 象形字 8 衣服에 대한 象形字 9 道具에 대한 象形字 2 增體象形 3 省體象形 3. 指事字 1 純體指事 2 增體指事 3 省體指事 4 變體指事 4. 會意字 1 會意字의 構成要素 2 會意字의 構成方式 3 增體象形字와 會意字의 區別法 4 會意字와 生活 意識의 反映 5 重疊繁體字의 發生 6 異體繁體字의 特徵 7 異體會意字의 學習方法 5. 形聲字 1 形聲字의 定義 2 形符의 特徵과 機能 3 聲符의 特徵과 機能 4 形聲字와 聲符의 聲韻關係 5 形聲字의 結構 分析 6 形聲字의 形符와 聲符의 位置 7 形聲字의 假借 聲符 8 形聲字의 擬聲 聲符字 9 形聲字中 兼義聲符字 10 不成字 聲符考 6. 轉注·假借字 Ⅳ. 部首에 대한 올바른 學習 1. 올바로 알아야 할 部首 名稱 2. 214 部首의 字源 풀이 3. 部首를 알기 어려운 漢字 Ⅴ. 新千字文 1. 新千字文 序 陳泰夏 2. 敬賀를 넘어 快擧인 『新千字文』 辛奉承 3. 新千字文 陳泰夏 4. 傳統的 美德과 現代的 意識을 確立한 『新千字文』 李潤新 5. 新千字文贊 沈在箕 Ⅵ. 漢字의 빠른 學習을 위한 分析 1. 잘못 쓰기 쉬운 漢字 2. 一字多音字 破音字 3. 漢字 어휘중 通用되는 글자 4. 本訓과 달리 쓰이는 漢字 5. 漢字의 字數 一覽表 6. 區別이 아리송한 漢字 7. 字形이 混同되기 쉬운 漢字 8. 部首의 位置가 바뀌어도 통용되는 漢字 9. 部首의 位置가 바뀌면 뜻이 달라지는 漢字 10. 象形字에서 파생된 글자 11. 漢字語中 疊語의 用例 12. 三字同形 會意字 13. 固有語로 알기 쉬운 漢字語 14. 漢字로는 어떻게 쓰나 15. 漢字中 累增字에 대하여 16. 千字文 의 訓音中 問題點 17. 손 手 과 팔 臂 의 異形字 18. 발 足 과 다리 股 의 異形字 19. 甲骨文으로 본 짐승의 종류 20. 甲骨文으로 본 穀食의 종류 21. 甲骨文에 竹 字가 있는가 22. 韓國의 姓氏 四字成語 Ⅶ. 漢字 學習 資料 1. 漢字의 筆順 2. 類意 結合字 3. 反意 對稱 結合字 4. 反對의 뜻을 가진 漢字 5. 잘못읽기 쉬운 漢字語 6. 業務用漢字 7. 漢字 俗談 8. 漢字 成語 9. 同訓異字一覽表 10. 簡化漢字 略字 表 11. 漢字中의 長音字 12. 日本 가나 假名 의 起源 13. 中國 簡化字의 획수 索引表 14. 韓 中 日의 書體 比較 15. 口訣表 16. 敎育漢字 1 800字 의 代表訓音 17. 宗族 系譜圖 18. 北韓의 敎育漢字 3 000字 一覽表 19. 二十四節氣와 七十二候 20. 數字로 시작하는 單語 21. 數의 單位 22. 中國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漢字 500字 23. 中國의 外來語 表記 漢字語彙 24. 中國料理에 쓰이는 漢字表記 25. 韓 中 컴퓨터用語 26. 韓國 歷代王朝年表 27. 中國 歷代王朝의 皇帝 諡號 및 이름 28. 中國 歷代年號 索引 29. 中國의 省 自治區 直轄市의 略稱 30. 韓國 大學校名의 漢字 英文 表記 31. 月의 別稱 32. 六十甲子年表 附錄. 韓國 漢字地名 總覽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