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빨간인문학 또는 유럽 사상사 산책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청소년 빨간인문학 또는 유럽 사상사 산책

로즈
2025-04-28 10:48 10 0

본문




청소년 빨간인문학
9791157231003.jpg


도서명 : 청소년 빨간인문학
저자/출판사 : 키라 버몬드, 내인생의책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4-10-02
ISBN : 9791157231003
정가 : 12000

추천의 글
머리말

PART1 내 몸이 변하고 있어요

PART2 내 몸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PART3 자존감을 높여요

PART4 호르몬과 뇌가 내 감정을 조절한다고요?

PART5 나도 내 기분을 모르겠어요

PART6 나도 저 애들과 놀고 싶어요

PART7 첫사랑에 빠진 것 같아요

PART8 사람마다 성적 지향이 다를 수 있어요

PART9 연애 잘하는 법을 알고 싶어요

PART10 성관계에 대해 알고 싶어요

감사의 글
이제부터가 시작입니다
10대 청소년을 위한 사이트
찾아보기




유럽 사상사 산책
9788993952520.jpg


도서명 : 유럽 사상사 산책
저자/출판사 : 이와타 야스오, 옥당
쪽수 : 316쪽
출판일 : 2014-03-27
ISBN : 9788993952520
정가 : 19800

▣ 글을 시작하며_서양철학의 뿌리를 찾아 떠나는 여행

1부 철학의 시작, 그리스를 말하다
1장_그리스인, 문명의 꽃을 피우다
자유와 평등을 자각하다 | 그리스 정신, 지중해 세계를 지배하다 | 페르시아 전쟁의 승리 | 크세르크세스와 데마라토스의 대화 | 《일리아스》와 《아가멤논》, 그리스 정신의 결정체 | 불완전한 것은 존재할 가치가 없다 | 가장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그려내다
2장_사상의 시작, 호메로스가 간다
호메로스에 관한 역사적 진실 | 호메로스의 신, 영웅의 세계를 투영하다 | 새로운 영웅의 등장 | 호메로스의 영웅들
3장_그리스 비극, 인생의 의미를 노래하다
그리스 비극의 탄생 | 죄와 벌의 굴레에 종지부를 찍다 | 운명과는 싸우지 말자
4장_그리스인의 합리성, 철학을 낳다
철학의 탄생 | 크세노파네스, 신을 말하다 | 파르메니데스, ‘생각이 곧 존재다? | 데모크리토스, ‘영혼의 평정이 곧 행복이다? | 최고의 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
5장_어떻게 살 것인가?
소크라테스의 질문 | 삶의 궁극적 근거, 로고스 | 플라톤, ‘정의란 무엇인가’ | 세계를 인식하는 근거, 선의 이데아 | 아리스토텔레스, ‘행복이란 무엇인가’ |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2부 성경, 유럽의 생각을 엿보다
◆ 구약성서 속으로
1장_유대인, 드라마 같은 역사가 시작되다
신앙의 아버지, 아브라함 | 가장 사랑하는 것을 바쳐라 | 십계명, 이스라엘의 민족성을 만들다 | 구세주 여호와를 만나다 | 번영과 멸망, 이스라엘의 굴곡진 운명
2장_〈창세기〉 속 신의 모습
무에서 시작된 우주 창조의 의미 | 자신을 본뜬 모습으로 인간을 창조하다 | 우상을 만들지 마라
3장_성서 속 예언자들
예언자들이 말하는 새로운 신의 모습 | 아모스, 다시 윤리로 돌아가라 | 호세아, 하나님의 구원을 역설하다 | 바벨론 유수, 유대인의 선민사상을 뒤흔들다

◆ 신약성서 속으로
4장_예수, 짧은 생을 마치다
예수의 탄생 | 예수는 왜 살해당해야 했을까
5장_예수는 무엇을 말하는가?
율법 대신 사랑을 | ‘착한 사마리아인’, 사랑의 본질을 말하다 | 잃은 아들을 되찾은 아버지 |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용서하라 | 신은 왜 히틀러를 단죄하지 않았을까? | 힘 있는 자에게도, 힘 없는 자에게도 평등하라 | 천국은 우리 가운데 있다 | 철저히 자신을 버려라
6장_바울, 이방인의 사도가 되다
최초의 신학자, 바울 | 박해자에서 충실한 추종자로 | 스스로 죽고 그리스도 안에 살다 | 바울, 율법주의의 철옹성을 부수다

3부 쉽게 읽는 서양철학사
1장_중세 기독교 철학자, 인간과 신을 논하다
아우구스티누스, ‘인간의 존재와 신의 삼위일체’ | 아퀴나스, 이성과 신앙의 균형을 꾀하다 | 중세 말 격변기, 오컴이 등장하다 | 종교개혁의 대표자, 루터
2장_이성주의, 이성의 힘으로 진리를 밝히다
데카르트, 흔들리지 않는 진리를 확립하다 | 데카르트의 ‘신의 존재 증명’ | 칸트, 형이상학을 다시 세우다 | 선한 의지와 근본악
3장_경험주의, 인식의 바탕은 경험에 있다
흄, 인과율을 고찰하다 | 인격의 동일성 비판, 여전히 남은 자아의 문제
4장_사회철학, 세상을 움직이다
왕권의 제어와 민주주의의 태동 | 페르마의 왕권신수설 | 인간의 자유와 소유권의 성립 | ‘공공의 선’과 국민주권 | 헤겔과 마르크스, 그리고 기독교의 종말론 | 현대의 역사적 상황 | 롤스, ‘자유란 무엇인가?’
5장_실존철학, 존재의 의미를 묻다
키에르케고르, 실존의 관념을 이끌어내다 | 부조리로의 도약 | 니체, 신의 죽음과 초인의 등장 | 영원회귀, ‘긍정의 최고의 방정식’ | 하이데거, 인간의 존재와 존재망각 | ‘발현론’, 존재와 인간의 근원적 공속성 | 레비나스, 전체주의와 대학살 극복 모색 | 보답을 바라지 않는 선의 | 책임과 연대, 인간을 완성하는 가치

▣ 옮긴이의 글_철학의 바다에서 헤엄치는 방법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