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케터 따라 하기, 그 첫 번째 이야기 또는 네트워크 트러블슈팅 가이드
로즈
2025-04-28 10:48
1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회 연결
본문
글로벌 마케터 따라 하기, 그 첫 번째 이야기

도서명 : 글로벌 마케터 따라 하기, 그 첫 번째 이야기
저자/출판사 : 안동원, 북랩
쪽수 : 332쪽
출판일 : 2014-07-31
ISBN : 9791155852927
정가 : 15000
프롤로그ㆍ4
CHAPTER 1 뭐, 동물약품을 수출하라고?ㆍ11
헤드헌터의 전화ㆍ12
수출에 적합한 체질로 개선시켜라ㆍ14
새로운 시장은 인맥을 동원해 개척하라ㆍ16
대박 시장은 대한민국 밖에 있다ㆍ19
눈앞에 펼쳐진 거대한 목장ㆍ21
가슴 뛰는 신선한 충격ㆍ23
우물 밖 세계 시장을 보라ㆍ25
매미는 겨울에 내리는 눈을 알 수 없다ㆍ28
새로운 난관에 봉착하다ㆍ29
우리나라는 만족하기에 너무 좁다ㆍ32
미래는 미리 준비해야ㆍ34
나뭇가지를 묶어서 때려라ㆍ35
멀리 가려면 손잡고 함께 가라ㆍ36
북 치고 장구 치고ㆍ38
300만 불짜리 열정ㆍ40
CHAPTER 2 바이어, 그리고 협상ㆍ43
특명, 바이어의 지갑을 열어라ㆍ44
협상 스킬 알아보기ㆍ55
비즈니스의 모든 것이 협상이다ㆍ79
계약도 협상의 일부분ㆍ87
바이어 잘 꼬시기ㆍ94
빅바이어를 발굴하는 비결ㆍ114
바이어를 꼬시기 위한 TIPㆍ 128
전시회 120% 활용하기ㆍ140
CHAPTER 3 경영진, 그리고 마인드ㆍ153
수출 마인드로 전환하기ㆍ154
해외에 공장, 지사 설립하기ㆍ180
우리끼리 경쟁은 하지 말자ㆍ201
CHAPTER 4 글로벌 인재, 그리고 마케팅ㆍ207
글로벌 인재로 거듭나기ㆍ208
글로벌 인재 사장 되기ㆍ266
꿈과 희망을 찾고 있는 글로벌 인재에게ㆍ285
에필로그ㆍ306
부록 Q&A 글로벌 마케터에 대해 궁금한 것들ㆍ311
저자 후기ㆍ328
네트워크 트러블슈팅 가이드

도서명 : 네트워크 트러블슈팅 가이드
저자/출판사 : 장혁, 에이콘출판
쪽수 : 592쪽
출판일 : 2013-01-01
ISBN : 9788960773813
정가 : 40000
1장 TCP/IP 기본 개념
___1.1 TCP/IP 개요
______1.1.1 TCP/IP의 역사와 표준화 조직
______1.1.2 TCP/IP 표준과 RFC, IETF
___1.2 OSI 7계층과 TCP/IP(DoD) 계층 모델
___1.3 TCP/IP 5계층 모델
___1.4 캡슐화/역캡슐화, SAP
___1.5 3계층 네트워크 구성
___1.6 정리
2장 이더넷 물리 계층과 장애 처리
___2.1 물리 계층
___2.2 물리 계층 정의
___2.3 이더넷 인코딩 방식
______2.3.1 복귀 코딩 방식인 NRZ-L과 NRZ-I
______2.3.2 10Mbps 이더넷에 사용하는 맨체스터 방식
______2.3.3 100Mbps, 1Gbps 이더넷이 사용하는 블록 코딩 방식
___2.4 이더넷의 물리 계층 전송 매체
______2.4.1 UTP 케이블
______2.4.2 광케이블
______2.4.3 UTP, 광케이블 종류에 따른 표준 명칭
___2.5 케이블 테스터를 사용한 점검 방법
______2.5.1 와이어맵
______2.5.2 케이블 길이
______2.5.3 감쇠
______2.5.4 반송 손실
______2.5.5 근단 누화
______2.5.6 원단 누화
______2.5.7 등위 원단 누화
___2.6 현장에서의 에피소드
___2.7 사용 전 검사와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 인증제도
______2.7.1 사용 전 검사의 구내 통신 선로 설비 공사 검사 기준
______2.7.2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 인증제도
___2.8 정리
3장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과 장애 처리
___3.1 데이터 링크 계층
___3.2 이더넷 프로토콜
______3.2.1 이더넷(DIX 2.0) 프레임과 IEEE 802.3 이더넷 프레임
___3.3 이더넷 주소 방식(MAC 주소)
___3.4 이더넷 자동 협상 기능
______3.4.1 링크 테스트 펄스
______3.4.2 100Base-T/1000 Base-T 패스트 링크 펄스
______3.4.3 베이스 링크 코드 워드
______3.4.4 3가지 협상 모드
______3.4.5 자동 협상과 듀플렉스 미스매치
___3.5 이더넷 통신 방식 CSMA/CD와 충돌 에러
______3.5.1 충돌 에러의 발생과 동작 방식
______3.5.2 CSMA/CD 알고리즘 동작
______3.5.3 장비에서의 충돌 에러 확인
______3.5.4 늦은 충돌 에러
___3.6 장비에서 살펴본 이더넷 에러의 유형과 원인
______3.6.1 이더넷 스위치의 FCS
___3.7 IFG와 이론적 최대 전송률
______3.7.1 네트워크 장비의 처리 성능 산정
___3.8 이더넷 표준 IEEE 802.3 시리즈
___3.9 케이블이나 커넥터 부분 장애 처리
___3.10 시스코 스위치의 ErrDisable 메시지
______3.10.1 Errdisable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원인
___3.11 이더넷 허브와 스위치
______3.11.1 이더넷 허브
______3.11.2 이더넷 스위치
___3.12 MAC 플러딩 공격과 방어
______3.12.1 MAC 플러딩의 개념
______3.12.2 MAC 스푸핑 공격
______3.12.3 MAC 스푸핑 공격 방어
___3.13 무차별 모드의 동작과 감지
______3.13.1 무차별 모드의 개념
______3.13.2 무차별 모드의 감지
___3.14 정리
4장 VLAN, 802.1pQ 장애 처리와 FCoE, DCB
___4.1 VLAN
______4.1.1 가상 랜
___4.2 IEEE 802.1pQ 트렁크 또는 태깅
______4.2.1 IEEE 802.1pQ, 트렁크 포트를 이용한 통신
______4.2.2 IEEE 802.1pQ 프레임 구조
______4.2.3 IEEE 802.1pQ 태그 정보 필드 구성
___4.3 VLAN, Trunk 포트를 통한 상호 통신
______4.3.1 VLAN 간 상호 통신
______4.3.2 액세스 포트와 트렁크 포트의 VLAN ID 처리 동작
___4.4 트렁크 VLAN 할당과 장애 처리
______4.4.1 라우팅 이중화 구간 구성
___4.5 FCoE와 DCB
______4.5.1 FCoE
______4.5.2 FCoE 프레임 포맷
______4.5.2 DCB
___4.6 정리
5장 2계층 스위치 루핑 방지 기술
___5.1 STP와 RSTP의 개념
______5.1.1 스위치 이중화 구성과 루핑
______5.1.2 루핑 발생의 영향
___5.2 STP 동작
______5.2.1 STP 연산 파라미터
______5.2.2 BPDU
______5.2.3 STP 포트 상태
______5.2.4 STP 연산 절차
___5.3 RSTP 동작
______5.3.1 RSTP와 STP
______5.3.2 RSTP 포트 상태와 역할
______5.3.3 RSTP BPDU
______5.3.4 RSTP 연산 방식
___5.4 WAF 이중화 구간의 STP 조정
______5.4.1 새시 가상화 기술
___5.5 정리
6장 PVST+ 동작과 장애 처리
___6.1 PVST+ 동작과 STP, RSTP 상호 연동
______6.1.1 포트의 역할에 따른 시스코 스위치의 트패닝 트리 동작 방식
______6.1.2 VLAN 종류와 관련 용어 정의
______6.1.3 VLAN 식별과 PVST+ SSTP TLV
___6.2 PVST+의 네이티브 VLAN에 따른 논시스코 스위치와의 연계
______6.2.1 네이티브 VLAN이 VLAN 1인 경우 프레임 전송
______6.2.2 네이티브 VLAN이 VLAN N인 경우 프레임 전송
______6.2.3 시스코 스위치가 네이티브 VLAN으로 802.1Q 트렁크 포트를 통해 MST 스위치와 연결되는 경우
___6.3 네이티브 VLAN 변경과 시스코 스위치 포트 타입 불일치
______6.3.1 네이티브 VLAN에 따른 시스코와 논시스코 스위치의 동작 특성
______6.3.2 SW-2의 논시스코 연결 링크를 VLAN 2 액세스 포트로 변경
___6.4 불일치 포트 타입
______6.4.1 불일치의 종류
______6.4.3 타입 불일치 발생 예
___6.5 주니퍼 스위치와 시스코 PVST+ 상호 연동
______6.5.1 주니퍼 STP/RSTP와 시스코 PVST+ 상호 연동
______6.5.2 주니퍼 스위치의 VSTP
___6.6 정리
7장 루핑 장애와 루프 회피 구성
___7.1 스패닝 트리 장애 처리와 루프 회피 구성
______7.1.1 프레임 루핑의 증상
______7.1.2 분석과 해결 방안
___7.2 VLAN 불일치에 따른 루핑 발생
______7.2.1 PVST+와 CST 간 루핑
______7.2.2 PVST+ 간 루핑
___7.3 스패닝 트리 구조의 루트 브리지 최적화
______7.3.1 구조 진단
______7.3.2 분석과 해결 방안
___7.4 루프 회피 네트워크 구성
______7.4.1 루프 회피 구성
______7.4.2 루프 회피 U 구조 분석
______7.4.3 루프 회피 역U 구조 분석
___7.5 L4 스위치 이중화
______7.5.1 L4 스위치 이중화와 스패닝 트리 구성
______7.5.2 L4 스위치 이중화를 위한 권장 구성
___7.6 정리
8장 링크 채널링과 장애 감지 기술
___8.1 LACP, PAgP, LLCF, BFD
______8.1.1 LACP와 PAgP
______8.1.2 LACP(IEEE 802.3ad)
______8.1.3 링크 어그리게이션 아키텍처 모델
______8.1.4 LACPUD의 마커 프로토콜과 제어 프로토콜
______8.1.5 LACP 부하 분산
___8.2 PAgP
______8.2.1 PAgP 모드 동작 방식
______8.2.2 PAgP 러너 타입
______8.2.3 PAgP 부하 분산
___8.3 LACP, PAgP 구성
______8.3.1 시스코 장비 간 또는 시스코와 논시스코 장비 간
______8.3.2 논시스코 장비를 통한 LACP, PAgP Tunneling 구성
______8.3.3 보안 장비(IPS)를 통한 PAgP Tunneling 구성
___8.4 LFP인 LLCF/LLR
______8.4.1 LLCF 동작
______8.4.2 LLR 동작
___8.5 LLCF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구성 방안
______8.5.1 정적 라우팅의 구성 예
______8.5.2 시스코 장비의 PBR을 이용한 다중 트래킹 예제
___8.6 BFD
______8.6.1 BFD 기능과 적용 범위
______8.6.2 BFD 동작 방식
______8.6.3 BFD 세션 관리
______8.6.4 BFD 적용 예
___8.7 정리
9장 ARP와 장애 처리
___9.1 ARP
______9.1.1 ARP 개요
______9.1.2 ARP 동작
___9.2 ARP 종류
______9.2.1 Reverse ARP
______9.2.2 Inverse ARP
______9.2.3 DHCP ARP
______9.2.4 Gratuitous ARP(gARP)
______9.2.5 ARP 프로브
______9.2.6 UnARP
______9.2.7 프록시 ARP
___9.3 프록시 ARP를 이용한 확장 LAN 간 라우팅
___9.4 ARP 스푸핑 공격
___9.5 ARP를 통한 장애 처리
___9.6 정적 ARP를 통한 ARP 테이블 관리
______9.6.1 시스템에서 정적 ARP 설정
______9.6.2 네트워크 장비에서 정적 ARP 설정
___9.7 정리
10장 IP 프로토콜과 장애 처리
___10.1 IP, ICMP, NAT, 라우팅 프로토콜
______10.1.1 IPv4 개요
___10.2 IP 프로토콜의 구성
______10.2.1 IP 헤더 구조
______10.2.2 IP 단편화
______10.2.3 식별 필드 값 분석을 통한 네트워크 장애 파악
______10.2.4 IP 주소 구성
______10.2.5 예약, 사설, 루프백 등의 네트워크 대역
______10.2.6 서브넷 마스크
___10.3 DHCP와 APIPA
______10.3.1 DHCP 동작
______10.3.2 APIPA의 동작
___10.4 ICMP
______10.4.1 ICMP 에러 메시지 전송 제한
______10.4.2 ICMP 구조
___10.5 NAT
______10.5.1 NAT의 장단점
______10.5.2 NAT 관련 용어 정리
___10.6 PAT
___10.7 라우팅 프로토콜
______10.7.1 RIP
______10.7.2 EIGRP
______10.7.3 OSPF
______10.7.4 IS-IS
______10.7.5 BGP
______10.7.6 라우팅 결정 프로세스
______10.7.7 라우팅 테이블의 생성과 가장 긴 프리픽스 매치
___10.8 라우팅 트러블슈팅
______10.8.1 라우팅 누락으로 인한 장애
______10.8.2 Re-Odering으로 인한 서비스 지연
______10.8.3 비대칭 경로로 인한 서비스 장애
______10.8.4 정적 라우팅에서 다음 홉 경로의 인터페이스 사용에 따른 과부하 장애
______10.8.5 라우트 재귀의 이해
___10.9 VRRP, HSRP
______10.9.1 VRRP
______10.9.2 HSRP
______10.9.3 HSRP, VRRP 구성의 한계
___10.10 정리
11장 4계층 프로토콜과 장애 처리
___11.1 4계층과 TCP/UDP
___11.2 TCP의 개요와 특징
______11.2.1 TCP 개요
______11.2.2 TCP 특징
______11.2.3 TCP 헤더 구조
___11.3 UDP 개요와 특징
______11.3.1 UDP의 특징
______11.3.2 UDP 헤더 구조
___11.4 CRC와 체크섬의 비교
______11.4.1 CRC
______11.4.2 체크섬
______11.4.3 TCP 체크섬 오프로드 기능
______11.4.4 TCP 체크섬 에러 증상
___11.5 TCP 3방향/4방향 핸드세이킹
______11.5.1 TCP 3방향 핸드셰이킹
______11.5.2 TCP 헤더 옵션
______11.5.3 TCP 3방향 핸드셰이킹과 RTT
______11.5.4 TCP SYN 플러딩 또는 TCP 하프오픈 공격
______11.5.5 TCP 4방향 핸드셰이킹
___11.6 TCP 리셋
___11.7 TCP 타이머
______11.7.1 TCP 유지 타이머
______11.7.2 TCP 지속 타이머
______11.7.3 TCP 재전송 만료 타이머
___11.8 지연된 ACK
___11.9 네이글 알고리즘
___11.10 TCP 흐름 제어
______11.10.1 TCP 슬라이딩 윈도우
______11.10.2 TCP 윈도우 크기 변화의 요인
______11.10.3 TCP 헤더 옵션을 통한 윈도우 필드 확장(RFC 1323)
______11.10.4 TCP 혼잡 제어
___11.11 TCP 윈도우 동작
___11.12 TCP 혼잡 제어 동작
___11.13 TCP SACK 옵션 선택적 재전송
______11.13.1 TCP SACK 옵션 구조
______11.13.2 TCP SACK 옵션의 동작
___11.14 서버 로드 밸런서(L4 스위치)
______11.14.1 L4 스위치 SLB 동작 방식
______11.14.2 L4 스위치 서비스 그룹의 실제 서버 관리
______11.14.3 L4 스위치 장애 사례
___11.15 엔지니어가 알아둬야 할 참고 사항
______11.15.1 netstat 명령
______11.15.2 HTTP 상태 코드
______11.15.3 작업 후 서비스 체크를 위한 모니터링 툴
___11.16 정리
12장 네트워크 관리
___12.1 네트워크 관리와 장애 처리
______12.1.1 구축 설계서와 운영 매뉴얼
______12.1.2 장애 처리 접근법
___12.2 네트워크 변경을 위한 고려 사항
______12.2.1 구성 측면의 고려 사항
______12.2.2 경제적 측면의 고려 사항
___12.3 정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