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은 유지되는가 또는 라이프 스타일을 팔다
로즈
2025-04-28 10:48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중심은 유지되는가

도서명 : 중심은 유지되는가
저자/출판사 : 도널드 파머, 북앤월드
쪽수 : 524쪽
출판일 : 2013-08-26
ISBN : 9788990370969
정가 : 28000
책 머리에
옮긴이의 글
들어가기
1 철학은 가능한가 : 이 수업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
철학의 기원
현대 철학의 여러 분과
인식론
존재론
논리학
윤리학
정치 및 사회 철학
미학
소크라테스의 철학
결론
2 이성주의 인식론 : 진은 미이고 미는 진이다
플라톤의 철학
가상
감각적 대상
개념
형상
르네 데카르트의 이성주의
3 경험주의 인식론 : 보는 것이 아는 것이다
경험주의의 선구자 아리스토텔레스
존 로크의 경험주의
단순 개념과 복합 개념
1차 성질과 2차 성질
실체
로크에 대한 버클리의 수정
감각 자료
감각 자료의 근원
흄에 의한 버클리 경험주의의 급진화
논리실증주의―한층 더 급진화된 경험주의
논리실증주의의 감각 자료 개념에 대한 공격
논리실증주의의 언어에 대한 공격
칸트의 절충
결론
4 존재론 : 무엇이 일차적이고, 무엇이 이차적인가
이원론
유물론적 일원론
유물론
행동주의
정신-뇌수 동일성 이론
배제적 유물론
기능주의와 그것의 불만
다원론
결론
5 종교 철학 : 올림포스산, 모리아산과 그 밖의 성지
유신론
존재론적 증명
우주론적 증명
우주론적 증명에 대한 흄의 비판
목적론적 증명
목적론적 증명에 대한 다윈과 흄의 비판
무신론
포이어바흐의 ‘인간의 종교’
포이어바흐에 대한 맑스의 응답
지그문트 프로이트―종교의 정신분석학
종교적 신념의 의지적 정당화
종교적 신비주의
종교적 실존주의
결론
6 자유의 철학 : 자유 세계에서 가장 큰 항공사
결정론―고대 그리스와 계몽주의의 견해
완강한 결정론―현대적 견해
스키너
지그문트 프로이트
유연한 결정론
비결정론
자유주의
실존적 자유
비뚤어진 자유
결론
7 윤리학 : 그대는 완전해야 한다
고대 그리스의 도덕 철학자들
정의/도덕
도시/영혼
이기론
쾌락주의
공리주의
행복 계산법
쾌락의 질
공리주의의 문제점
의무 지향적 도덕
칸트의 강점과 약점
칸트의 세 번째 공식
결론
8 전통적 윤리학 이론에 대한 비판 : 민족마다 방식이 다르다
실존주의
흄과 자연주의적 오류
논리실증주의
문화적 상대주의
보편적으로 견지되는 도덕적 가치의 부재
모든 사람에게 권장할 수 있는 가치나 가치관의 부재
윤리학과 페미니즘
윤리학과 심층 생태주의
결론
9 정치 철학 및 사회 철학 : 사람들한테 케익을 먹여라
정치 철학
플라톤
토마스 홉스
존 로크
장 자끄 루소
존 스튜어트 밀
사회 철학
공산주의
자유주의
결론
10 예술 철학 : 그러나 그것이 예술인가
결플라톤과 프로이트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와 19세기 사이의 막간
맑스
마르쿠제
실존주의
비트겐슈타인
열린 개념
삶의 형식
결론
용어 풀이
라이프 스타일을 팔다

도서명 : 라이프 스타일을 팔다
저자/출판사 : 마스다 무네아키, 베가북스
쪽수 : 222쪽
출판일 : 2014-04-08
ISBN : 9788992309974
정가 : 13000
들어가는 말 : 기획의 나침반
제 1 부 : ‘프리미어 에이지’의 가능성
제1장 ‘세계 최초’를 목표로 삼지 않는다!
제2장 고객이 느끼는 ‘피부 감각’과의 거리
제3장 ‘고객가치’의 미러 이미지
제4장 ‘어른을 바꾸는 어른’의 탄생
제5장 사람이 긍정적으로 변하는 장소
제6장 ‘물건’과 ‘행위’의 벡터
대담: 이토이 시게사토 / 마스다 무네아키 ‘프리미어 에이지의 낙원’
제 2 부 : 커뮤니케이션의 역학
제7장 ‘ON’과 ‘OFF’의 용해溶解가 가져다준 것
제8장 ‘다이칸야마’와 ‘가루이자와’라는 숲의 자기장
제9장 ‘편집권’이 옮아가는 시대
제10장 추천(recommend) 진화론
제11장 콘텐트는 유료인가? 무료인가?
제12장 온라인에서 체온이 느껴지는가?
대담: 이노 겐지 / 마스다 무네아키 ‘커뮤니케이션의 가치와 질’
제 3 부 : ‘숲속의 도서관’을 품은 거리
제13장 건축이란, 곧 미디어(media)다!
제14장 다이칸야마와 시부야의 위상
제15장 구야마테 도오리의 테루아르
제16장 방송국 소재지와 시청률의 특이한 상관관계
제17장 ‘숲속의 도서관’에서 보내는 시간
제18장 ‘볼 수 없는 영화는 없다’를 위한 로드맵
제19장 4000평의 카페에서 일어나는 드라마
제20장 출발점과 도착점을 잇는 것
대담: 클라인 다이섬 아키텍처 / 마스다 무네아키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메시지’
마치며 : 나선형의 여정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