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프랑스 철학 또는 자평학 강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현대 프랑스 철학 또는 자평학 강의

로즈
2025-04-28 10:48 10 0

본문




현대 프랑스 철학
9788964450956.jpg


도서명 : 현대 프랑스 철학
저자/출판사 : 프레데릭 보름스, 길
쪽수 : 653쪽
출판일 : 2014-09-10
ISBN : 9788964450956
정가 : 35000

옮긴이의 말 5
머리말 25

제1부 철학에서 1900년의 시기 : 정신
[서론] ‘정신’의 시기 39
Ⅰ. 문제
제1장 하나의 독특한 직관으로부터 하나의 공통 시기로 : 베르그손, 브룅슈비크와 정신의 문제 49
제2장 하나의 절대적 차이? : 알랭과 블롱델, 비판과 형이상학 사이에서 85
제3장 하나의 과학적 시기 : 상대성, 심성, 무의식 103
Ⅱ. 임장들
제4장 베르그손과 프로이트 143
제5장 제임스와 베르그손 : 교차해서 읽기 157
제6장 러셀과 후설 사이의 베르그손 : 제3의 항인가 175
Ⅲ. 연장선들
제7장 프랑스 철학이라는 관념, 제1차 세계대전과 1900년의 시기 197
제8장 『식자들의 배반』인가 『집 지키는 개들』인가 : 두 철학적 시기 사이에 있는 1930년대의 단절 219

제2부 제2차 세계대전의 철학적 시기 : 실존
[서론] 실존, 새로운 철학적 문제인가 227
Ⅰ. 문제
제1장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서 : 키르케고르와 실존의 문제 235
제2장 사르트르의 자유 251
제3장 사르트르와 카바예스 : 필연성과 실존 273
Ⅱ. 입장들
Ⅱ. 1. 실존
제4장 베르그손과 브룅슈비크 사이에서 : 메를로퐁티 현상학에서 비판의 의미 299
제5장 장 발, 자기 자신을 향하여 329
제6장 카뮈의 시기 347
Ⅱ. 2. 필연성
제7장 20세기 프랑스 철학의 통일 지점으로서 바슐라르의 베르그손과의 단절 365
제8장 생명체의 개념 : 조르주 캉길렘 383
제9장 시몬 베유 또는 인간 영혼에 끼치는 필연성의 효과들 399
Ⅲ. 연장선들
제10장 경탄과 분개 :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의 두 외침 425
제11장 단절과 자기와의 관계 : 장 나베르의 윤리학 441
제12장 아롱과 사르트르 : 구체적인 것과 자유 453
[결론] 영웅과 철학자 : 전쟁의 시기에서 공유된 하나의 철학적 문제 469

제3부 1960년대의 시기에서 현재의 시기로 : 구조, 생명체
[서론] 구조와 차이, 생명과 정의 489
Ⅰ. 문제
제1장 구조와 차이 : 프랑스에서 1960년대의 철학적 시기 497
Ⅱ. 입장들
제2장 데리다 또는 철학의 이행 : 두 철학적 시기 사이에서, 차이, 생, 정의 523
제3장 아이가 본 것 : 리오타르의 독해를 위한 지침들 541
제4장 실존, 차이, 윤리 : 레비나스와 프랑스에서 20세기 철학에 관한 노트 553
제5장 생과 악 사이의 폴 리쾨르, 또는 세기의 철학적 좌표들 561
Ⅲ. 연장선들
제6장 현재 시기를 향하여 : 단절들, 문제들, 재개들 583

후주 600
감사의 말 637
출전 639
찾아보기 641




자평학 강의
9788975276804.jpg


도서명 : 자평학 강의
저자/출판사 : 신창용, 들녘
쪽수 : 472쪽
출판일 : 2013-08-06
ISBN : 9788975276804
정가 : 23000

축하의 글 『자평학 강의』 출간을 축하하며 _김남일 4
추천의 글 한의학의 이해에 큰 도움이 될 『자평학 강의』 _정창현 6
저자의 말 자평학의 보편적 접근을 기대하며 12
프롤로그 인생행로(人生行路)의 길도우미(navigation), 자평학을 만나다 20
일러두기 25

첫 번째 강의 : 자평학(子平學)의 소개
강의 안내 28
오술(五術)이란? 29
자평학(子平學)이란? 37
명리학이라고 부를 때 명리(命理)의 의미는? 41
자평학(子平學)의 역사 43
자평학의 논명에 있어서 인식의 한계는? 51
자평학(子平學)의 명관(命觀) 57
사람의 존재와 명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65

두 번째 강의 : 자평학(子平學)의 배경지식
강의 안내 72
삼재(三才)_ 천지인(天地人) 73
음양(陰陽) 77
오행(五行) 98

세 번째 강의 : 명식(命式)의 작성
강의 안내 134
시간(時間)의 정의 135
년월일시(年月日時)의 분계(分界) 146
사주(四柱) 기록에 있어서의 유의 사항 158
인터넷 정보의 활용 164
명식(命式)의 작성 171
명식 작성 연습 192
명식 작성에 관한 논쟁 요소와 기타 유의 사항 199

네 번째 강의 : 자평학(子平學)의 기본 이론
강의 안내 228
십이운성(十二運Y星) 229
지장간(地藏干) 247
통근(通根) & 투간(透干) 280

다섯 번째 강의 : 관계성(關係性)의 파악
강의 안내 292
명식(命式) 에서 나타나는 관계성 292
왕쇠론(旺衰論)_ 월령(月令) & 왕쇠(旺衰) 297
십간론(十干論)_ 관계론의 제일선(第一線) 309
십신론(十神論)_ 비아(非我)의 구별(區別) 355
지지론(地支論)_ 미완(未完)의 관계론 374
간지론(干支論) 405
관계론의 적용과 해석에 관한 유의 사항 420

에필로그 강의 리뷰(review)와 군자(君子)의 처세 429

부록
명식 작성 연습의 풀이 438
균시차 표 445
2013년 서울의 일출·남중·일몰 및 시민 박명 시각 446
2013년 6월 21일[하지(夏至)] 기준 전국 주요 지역의 일출·남중·일몰·시민 박명 시각표 458
참고문헌 459
개념어 찾아보기 462
서명 찾아보기 47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