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나라. 2: 스스로 있는 책의 비밀 또는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볼까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큰 나라. 2: 스스로 있는 책의 비밀 또는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볼까

로즈
2025-04-28 10:48 9 0

본문




큰 나라. 2: 스스로 있는 책의 비밀
9788994211848.jpg


도서명 : 큰 나라. 2: 스스로 있는 책의 비밀
저자/출판사 : 이사라, 창조문예사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3-12-20
ISBN : 9788994211848
정가 : 12000

16. 아비스의 경고_
17. 히티 거리와 남쪽 도시_
18. 에벤 저택의 초대_
19. 붉은 머리 황제의 운명_
20. 주사위 놀이의 도시 야웬_
21. 북쪽에 흐르는 물_
22. 칸디두스_
23. 스툴리거와 진실의 수정_
24. 이그니스_
25. 서쪽 하늘 위, 유리의 성_
26. 여행자들을 왕으로_
27. 또 하나의 여행_

○ 스스로 있는 책의 비밀 여행에서 만나는 단어_
여행자들과 그 외 등장인물_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볼까
9788958286820.jpg


도서명 :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볼까
저자/출판사 : 이효건, 사계절
쪽수 : 200쪽
출판일 : 2013-07-10
ISBN : 9788958286820
정가 : 12000

1부.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가 내 삶의 구석구석을 바꾼다고? -정치의 기능 _ 14
학생의 자치인가, 선생님의 통치인가? -자치와 통치 _ 16
국가는 왜 만들어졌을까? -국가의 역할 _ 18
“법대로 해!”는 정당할까? -법치주의 _ 21
민주주의는 생활 속에 있다! -민주주의의 의미 _ 23
헌법이 없으면 민주주의가 아니라고? -입헌주의 _ 27
권력은 모아 주면 안 된다! -권력 분립 _ 28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자유와 평등 _ 32
고대 그리스에서 민주주의가? -민주 정치의 기원 _ 34
드디어 시민이 주인이 되다! -시민 혁명 _ 37
특정 사람들에게만 선거권이 있다면? -선거권의 확대 과정 _ 40
학교 일을 전교생이 모여 결정한다?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_ 44

2부. 올바른 정치 참여는 어떻게?
살색을 살구색으로 -정치 참여와 참여 민주주의 _ 48
민주주의는 내 몸과 마음의 자유로부터 -두발 자유화 운동 _ 52
의사 표시가 없으면 “뜻대로 하소서!”가 된다고? -참여에 따른 정책 결정 _ 54
반장은 누가 뽑는 것이 좋을까? -선거의 의미와 기능 _ 57
국민의 손으로 뽑을 수 있는 사람은? -우리나라 선거의 종류 _ 59
학생은 왜 교육감 선거를 못하지? -교육감 선거 _ 62
쉿, 누굴 뽑았는지 알리면 안 돼! -선거의 4대 원칙 _ 65
반장은 반에서, 학생회장은 학교 전체에서 -선거구 _ 68
반장은 몇 표를 얻어야 할까? -소수 대표제, 다수 대표제 _ 70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고? -비례 대표제 _ 74
돈 없으면 선거에도 못 나가나? -선거 공영제 _ 78
당선되면 공약은 ‘뻥이야’? -매니페스토 제도 _ 80
왜 무소속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은 없을까? -정당의 역할 _ 83
학교 매점이 하나여서 불편하다면? -정당 제도 _ 86
‘학생 없는 학생회’는 잘될까? -정당 정치의 문제점 _ 88
학생 식당이 비싸고 맛없다면? -이익 집단 활동 ① _ 90
촌지? 치맛바람? -이익 집단 활동 ② _ 92
장래 희망이 시민 단체 활동가? -시민 단체 _ 94
청소년이 스스로 만든 단체도 있다! -청소년 단체 _ 99
촛불 시위의 의미를 기억해! -여론의 중요성 _ 101
건의 사항을 미리 검사받아야 한다면? -언론 자유 ① _ 104
학교 신문에서 교장 선생님을 비판한다면? -언론 자유 ② _ 107
광고주가 왕 노릇 한다고? -언론 자유 ③ _ 110
우리도 언론인! -청소년이 만드는 대안 언론 _ 112
거짓말하는 언론도 있다! -올바른 대중 매체 활용 자세 _ 115

3부. 우리나라 헌법은 어떤 내용?
정치는 법에 따라, 법은 정치에 따라! -법과 정치의 관계 _ 120
우리나라 헌법의 특징은? -성문 헌법, 경성 헌법 _ 122
우리나라 헌법은 어떻게 바뀌었나? -헌법 개정의 역사 ① _ 123
독재를 위해 헌법이 계속 바뀌었다고? -헌법 개정의 역사 ② _ 126
국민의 항쟁과 민주화의 시작 -헌법 개정의 역사 ③ _ 129
우리 헌법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을까? -헌법의 원칙 ① 국민주권 _ 131
모두가 잘살 권리가 있다! -헌법의 원칙 ② 복지국가 _ 133
우리나라만 편하면 될까? -헌법의 원칙 ③ 국제 평화주의 _ 136
통일은 왜 해야 할까? -헌법의 원칙 ④ 평화 통일 지향 _ 139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란 무엇일까? -기본권의 성격 _ 142
경찰이 지나가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자른다고? -기본권 제한의 한계 _ 144
내가 가진 천부 인권은 무엇일까? -기본권의 내용 ① 평등권 _ 148
몸과 마음을 자유롭게! -기본권의 내용 ② 자유권 _ 150
정치는 내 손으로! -기본권의 내용 ③ 참정권 _ 153
사람답게 살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④ 사회권 _ 157
권리 보장을 위한 권리 -기본권의 내용 ⑤ 청구권 _ 160
나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무얼 해야 하나? -국민의 의무 _ 162

4부. 국민의 권리 실현을 위한 국가 기관
국회는 어떤 곳일까? -입법부의 역할 _ 168
국회 의원에게는 특권이 있다고? -국회 의원의 특권 _ 171
헌법과 법률은 어떻게 만들고 고칠까? -입법 과정 _ 172
국회에는 무슨 문제가? -오늘날 의회의 문제 _ 176
행정부는 무엇을 하는 곳이지? -행정부의 구성과 역할 _ 179
대통령은 무슨 일을 할까? -대통령의 권한과 역할 _ 182
법원은 무서운 곳인가, 정의를 실현하는 곳인가? -사법부의 역할 _ 186
일반 국민이 재판을 한다고? -배심원 제도 _ 190
왜 재판은 세 번이나 할까? -법원 조직과 심급 제도 _ 193
헌법 재판이 뭘까? -헌법 재판소의 권한과 역할 _ 19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