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전술의 한국사 또는 풍경류행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전략전술의 한국사 또는 풍경류행

로즈
2025-04-28 10:48 9 0

본문




전략전술의 한국사
9791156120124.jpg


도서명 : 전략전술의 한국사
저자/출판사 : 이상훈, 푸른역사
쪽수 : 363쪽
출판일 : 2014-05-03
ISBN : 9791156120124
정가 : 18000

을 펴내며

서설 _ 전략전술, 한국사를 읽는 새로운 방법

1장 벽골제, 저수지인가 방조제인가―벽골제의 성격 논쟁
벽골제 미스터리|4세기 기후, 한랭 건조화되다|4세기 서해의 해수면은 현재보다 높았다?|해수의 침입을 벽골제로 막다|백제, 벽골제 축조로 김제 지역 통제를 강화하다

2장 보급의 성공은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김유신의 군량 수송부대, 이렇게 구성되었다|김유신, 평양행 수송길에 오르다|군량 수송 거점을 확보하다|김유신, 군량 수송 성공 후 철수길에 오르다
징검다리 1 _ 신라의 무기 개량과 삼국통일

3장 작전지휘권을 통해 고려군의 위상 변화를 살피다―여몽연합군의 삼별초 진압
삼별초 세력, 어느 정도였나|삼별초, 진압되다|여몽연합군, 어떻게 편성되었나|여몽연합군의 주력, 몽골군에서 고려군으로|원종, 왕권을 강화하다|고려, 군사권을 회복하다

4장 왜 고려군은 왜구와 내륙에서 전투를 벌였을까―고려군의 왜구 토벌작전
사근내역전투, 패전에도 불구하고 포상받다|사근내역전투는 고려군의 왜구 토벌 전략의 일환|고려군의 몰이사냥 전술|황산전투, 시작되다|황산전투에서 고려군은 어느 정도 규모였나|황산으로 가는 길|이성계, 우회기동으로 왜구를 격퇴하다
징검다리 2 _ 전근대 군율의 시행

5장 빠른 속도의 전격전, 회군을 성공으로 이끌다―이성계의 위화도회군
요동 원정길에 오르다|이성계, 회군하다|개경의 방어태세는 어떠했나|위화도회군, 치밀한 계획 하에 이루어지다|개경전투 시작되다|개경, 함락되다

6장 신립은 탄금대전투에서 왜 배수진을 고집했는가―신립의 탄금대전투
신립, 탄금대에 방어선을 치다|방어거점, 어떻게 달랐나|탄금대는 방어에 유리한 지형이었다|탄금대 방어, 풍향과 무기 면에서도 유리|탄금대 방어는 최선의 선택이었다|탄금대전투 시작되다|신립, 패배하다|패배, 그러나 탄금대 선택은 합리적
징검다리 3 _ 정여립의 군사 전략

7장 조명연합군, 울산왜성 함락에 실패하다―조명연합군의 울산왜성 포위작전
울산왜성을 포위하다|조명연합군의 규모는 어느 정도였나|울산왜성 공격, 수월한 작전이 아니었다|울산왜성의 일본군, 상당한 군수물자를 비축해두다|일본군, 조명연합군을 기만하다|울산왜성전투, 왜곡되다

8장 이괄, 관군의 기만술에 당하다―이괄의 난과 안현전투
국경 중심 방어에서 수도 중심 방어로|도성, 성곽 중심의 방어|이괄, 남하하다|관군의 부대 편성|관군, 부대를 나누어 이괄을 치다|병력의 열세를 지형과 기상으로 극복하다|안현전투의 복원
징검다리 4 _ 조선 후기 군사 실태

9장 염하수로 도하, 조선에 병인양요 승리를 선사하다―조선군의 염하수로 도하작전
정족산성전투, 서구 제국주의 세력에 거둔 최초의 승리|프랑스군은 왜 철수했는가|염하수로 도하를 감행하다|염하수로 도하, 어떻게 이루어졌나|도하작전,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나|해병대 운용과 유사하다
징검다리 5 _ 러일전쟁

참고문헌
찾아보기




풍경류행
9788958721215.jpg


도서명 : 풍경류행
저자/출판사 : 백진, 효형출판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3-08-20
ISBN : 9788958721215
정가 : 14000

- 프롤로그

첫 번째 이야기_삶이 보이는 풍경
지진과 정원 | 자연과 무상 | 무상의 도량 | 통풍과 프라이버시 | 습기의 일상 | 습기와 더위 | 통곡의 벽 | 쾌적 온도 17.78도? | 따뜻한 십자가 | 라디에이터, 온돌, 노이트라 | 빛의 양수 | 모태 공간과 공감각 | 바람과 공감각 | 바라나시의 빛 | 은유의 지각 | 바라나시의 몸살

두 번째 이야기_마음이 보이는 풍경
습기가 그려낸 풍경 | 불과 물 그리고 마음 | 티마이오스와 대칭 | 풍토적 몸 | 에로티시즘의 풍경 | 체념과 변화 사이의 백의민족 | 눈 덮인 대나무 1 | 눈 덮인 대나무 2 | 사막의 마음 1 | 사막의 마음 2 | 지중해의 풍경 | 투명한 대기와 관조의 철학 | 일본의 정원과 균형 감각 | 그리스의 풍경과 균형 감각 | 아크로폴리스와 균형 감각

세 번째 이야기_어울려 사는 풍경
무명의 손잡이 | 무명의 패션 | 무명의 건축 | 캄피돌리오 광장 | Genius 그리고 무명의 광장 | 잠수함 건축, 우주선 건축 | 테이블 | 대지 | 평평한 판 | 동그라미와 삶 | 원의 이중성과 삶 | 동그라미와 지속성

네 번째 이야기_지속하는 풍경
자연으로 돌아가자? | 빌라 | 님피엄 | 돌아갈 자연은 어디에? | 최후의 제국 | 문명사회의 종착점 | 순수자연이 아니라 풍토 | 풍토를 이기는 기술은 없다 | 인형들의 가족사진 | 아미시의 콧수염 | 아미시, 친환경, 지속성 | 차이와 풍경 | 도시와 광장 | 일상의 궤적과 광장 | 길과 아고라 | 다채색 친환경

- 에필로그
- 참고문헌
- 도판 출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