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체의 민주화 선언 또는 언론이 변해야 지역이 산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육체의 민주화 선언 또는 언론이 변해야 지역이 산다

로즈
2025-04-28 10:48 10 0

본문




육체의 민주화 선언
9788997863174.jpg


도서명 : 육체의 민주화 선언
저자/출판사 : 마광수, 책읽는귀족
쪽수 : 248쪽
출판일 : 2013-05-30
ISBN : 9788997863174
정가 : 13000

서문(序文) : 육체주의 선언

제1장. 야한 정신으로 가자
야한 정신으로 가자
관념우월주의의 허구
육체와 가치관
섹스는 자유와 다원(多元)의 촉매제
육체의 민주화
성(性)의 이중성과 권위주의
‘야(野)하게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

제2장. 사랑의 육체적 민주화
인생은 고통이 아니면 권태
러브 이즈 터치(LOVE IS TOUCH)
여자의 긴 손톱에 대한 단상
장미여관
다양한 결혼, 다양한 섹스
마광수가 여성 독자들의 물음에 답하다
섹스의 다양화와 인류의 미래

제3장. 결혼의 육체적 민주화
결혼
학벌과 배우자의 조건
성(性)과 결혼
아내의 조건
부부의 성(性)
모계사회와 자식 생산
아이는 무섭다

제4장. 섹스의 육체적 민주화
유니섹스의 시대
에로티시즘과 센세이셔널리즘
마조히즘의 심리적 유익성
기독교와 나쁜 의미의 마조히즘
쾌락지상주의를 위하여
나르시시즘에 대하여
음양의 조화로서의 사도마조히즘

제5장. 예술의 육체적 민주화
카타르시스의 실제적 효용
‘관능적 상상의 자유’만은 확보해둬야 한다
소설 『엠마누엘 부인』에 나오는 성적 쾌락을 위한 세 법칙
청년시인 윤동주의 성적(性的) 내면 풍경
예술과 성(性)-마광수의 주제 발표와 연세대 학생들과의 대화
인간의 미의식(美意識)과 ‘자궁회귀본능’
‘일부러 불편하게 하기’의 미(美)

제6장. 개인의 육체적 민주화
진짜로 야한 여자
여자로 태어난 것이 축복인 이유
돈키호테와 나
도덕을 팔아먹고 사는 사람들
봄바람이 불 때면
여자에게 순종하는 남성들
한방의학의 정신 인식

제7장. 성의식의 육체적 민주화
이중적 성의식
몸의 상품화 현상과 민주주의
여성 전성시대의 도래
페미니즘 운동은 상류층 여성들의 신분상승이 목적
한국 페미니즘은 반성이 필요하다
한국인들의 촌스러운 섹스 인식
적당한 퇴폐가 필요하다

제8장. 대한민국의 육체적 민주화
한국의 성문제 진단
성(性)의 자유와 국가의 문화적 수준
한국 청소년들의 성(性)문제
화풀이의 이유
패륜범죄, 성폭행 사건 등의 원인은 따로 있다
한국의 범국민적 자아분열 현상
미래의 한국과 섹스 문화

육체의 민주화 선언문
- 한국의 성(性) 개혁을 위한 마광수의 제안




언론이 변해야 지역이 산다
9788926846629.jpg


도서명 : 언론이 변해야 지역이 산다
저자/출판사 : 고영철, 한국학술정보
쪽수 : 405쪽
출판일 : 2013-09-10
ISBN : 9788926846629
정가 : 26000

Chapter 01 지역언론의 기능 및 역할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2. 관계문헌의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요약 및 결론

Chapter 02 지역신문의 문화보도 경향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관계문헌 검토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요약 및 결론

Chapter 03 한?미 지역일간지의 보도방식 비교
1. 연구배경
2. 관계문헌 검토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Chapter 04 한?미의 지역일간지 기사의 다양성 비교
1. 연구배경
2. 관계문헌 검토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Chapter 05 도민과의 대화 TV중계방송의 효과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관계 문헌의 검토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및 절차
5. 분석결과 및 논의
6. 요약 및 결론

Chapter 06 지역현안 보도경향과 개선방안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쇼핑아울렛 유치 반대운동 전개 과정
3. 분석내용 및 연구방법
4. 보도기사 분석결과
5. 요약 및 결론

Chapter 07 지역정책 보도와 언론의 과제
1. 연구목적
2. 본 연구의 이론적 틀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Chapter 08 지방신문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1. 머리말
2. 제주지방 신문의 현주소
3. 지방신문의 위기극복방안
4. 맺음말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