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또는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로즈
2025-04-28 10:48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0회 연결
본문
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도서명 : 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저자/출판사 : 이정록, 푸른길
쪽수 : 272쪽
출판일 : 2014-07-18
ISBN : 9788962912616
정가 : 15000
제1부 지역사회와 지역 문제
01. 손님맞이 준비를 끝낸 영산강│02. 영산강 살리기, 일본의 하천에서 배운다│03. 죽어 가는 영산강 살리기 방해 말길│04. 호남 성공 시대를 열어야 한다│05. 광주공항 국제선, 무안 순차 이전해야│06. 불투명한 ‘J프로젝트’의 항로│07. 광주전남발전연구원 분리, 상생 깨는가│08. 오거돈 장관이 비판받는 이유
제2부 지역 문제와 지역 정책
09. 대선 공약, 전략적 태도가 필요하다│10. 이전할 기관을 고려한 혁신도시 입지│11. 공동혁신도시가 성공하려면│12. 공동혁신도시, 떡잎의 색깔은?│13. 영산강 시대를 열어 갈 공동혁신도시│14. 남해안 프로젝트는 속도 내는데│15. 기업도시, 낙후 지역 우선 배려해야│16. 기업도시 성공의 필요 조건│17. 신도청 이전과 지역 발전 효과│18. 이런 광주와 전라남도를 희망한다
제3부 지역 발전과 지역사회 리더십
19.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에게│20.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께 드리는 고언(苦言)│21.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의 소프트 리더십│22. 민주당 구원투수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23. 5·31 지방선거의 흥행사들│24. 공동혁신도시와 박광태 광주시장│25. 이성웅 광양시장의 교육 혁신│26. 김인규 군수의 장흥 마케팅│27. 제설 작업과 낙선한 시장·구청장│28. 열린우리당 광주시의회 의원님들께│29. 공동혁신도시에 딴죽 거는 정치인들
제4부 광양만권 지역 문제와 지역 정책
30. 광양만권 변화 과정과 특징│31. 광양만권의 새로운 비전을 만들어야 한다│32.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정부에 달렸다│33. 험난한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경쟁│34. 기업 시민 광양제철소의 고민│35. 기미쓰제철소와 광양제철소│36. ‘광양항 재검토론’에 대한 반론│37.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에 바란다
제5부 기업 활동과 지역 발전: 국내외 사례
38. 미국 로체스터 시와 코닥사│39.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도시, 거제│40. 히타치제작소가 만든 기업도시, 히타치 시│41. 현대제철이 만든 새로운 철강 공업의 중심지, 당진│42. 전자도시 구미의 기업사랑운동과 지역 경제│43.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만든 기업도시, 광양│44. 군사·접경도시에서 LCD 메카로 부상하는 파주 │45. 삼성전자가 만든 기업도시, 아산 탕정│46. 타이어 공업도시로 변모하고 있는 창녕│47. 수도권 남부의 새로운 기업도시로 떠오르는 평택│48. 우리나라 제3의 석유화학 핵심 도시로 성장한 서산│49. 군사도시에서 의료기기 산업 메카로 성장한 원주│50. 서남권 조선 산업 클러스터로 성장하는 대불국가산단
제6부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대안
51. 빛가람도시의 첫손님, 우정사업정보센터│52. 나주 혁신도시와 한국전력공사│53. 글로벌 경쟁의 알곡, 광역경제권│54. 주민주식회사,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전략│55. 지방은행, 지역 발전의 동반자│56. 기업과 기업인, 지역 발전의 원동력│57.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이 요구된다│58. 일본의 행정구역 개편 구상│59. 일본 아이치 세계박람회의 교훈│60. 소프트 인프라와 지역 발전│61. 장소 마케팅의 성공 요소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도서명 :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저자/출판사 : 김동노 , 노중기 , 노진철 , 신진욱 , 이승훈 ,, 다산출판사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3-12-19
ISBN : 9788971104170
정가 : 18000
제1부 사회운동의 조건과 구조
제1장 한국의 사회운동과 국가 : 국가의 사회개입과 사회운동의 정치지향성 / 김동노
제2장 사회운동과 동원의 구조 : 사회운동조직과 '유연자발집단' / 조대엽
제3장 사회운동의 문화, 정체성, 프레이밍 / 신진욱
제2부 전통적 사회운동의 새로운 모습
제4장 민주노조운동의 역사적 동학과 그 한계 / 노중기
제5장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지역여성운동 : 경남지역 활동을 중심으로 / 이혜숙
제6장 사회운동과 감정 : 한국 기독교 보수주의 운동의 사례 / 이승훈
제3부 사회운동의 현재와 미래
제7장 정보사회와 사회운동 / 홍성태
제8장 핵발전소사고와 탈핵운동 : 위해에서 위험으로의 의미론 변천 / 노진철
제9장 지구화의 복합성과 아시아 사회운동 / 이정옥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