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또는 의사가 권하는 요료법(대활자본)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또는 의사가 권하는 요료법(대활자본)

로즈
2025-04-28 10:48 7 0

본문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9788926846377.jpg


도서명 :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저자/출판사 : 김종명, 한국학술정보
쪽수 : 465쪽
출판일 : 2013-06-30
ISBN : 9788926846377
정가 : 34000

감사의 말씀
일러두기

■머리말
1. 연구사
2. 일차 자료
3. 연구 방법론

■ 제1부 삼국시대 지식인의 불교관과 치국책
들어가는 글
제1장 지식인의 불교관
1. 임금의 불교관
2. 왕족의 불교관31
3. 승려의 불교관
4. 관리의 불교관
제2장 불교관 분석
1. 지식인의 불교관 분석
2. 명승들의 불교관 분석
3. 관리들의 불교관 분석
4. 고대 한국불교의 성격
제3장 치국과 불교
1. 임금의 일차적 임무
2. 불교식 왕호 사용
3. 충과 효의 강조
4. 국가의 승단 통제
5. 역사적 평가

■ 제2부 고려시대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들어가는 글
Ⅰ. 정치 구조
Ⅱ. 종교 상황
1. 유교
2. 불교
제1장 태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태조와 불교
1. 보살계 수지
2. 불교 개념 및 교리
3. 창사
4. 불교의례 개최
5. 풍수지리설
6. 승직 제정

Ⅱ. 태조의 불교관 분석
1. 불보관 분석
2. 법보관 분석
3. 승보관 분석
Ⅲ. 치국과 불교
1. 태조의 왕권
2. 정치 이념
3. 정치적 환경
4. 치국책
5. 역사적 평가
제2장 현종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현종과 불교
1. 창사
2. 불교의례 개최
3. ?초조고려대장경? 조판
Ⅱ. 현종의 불교관
1. 불보관
2. 법보관
3. 승보관

Ⅲ. 치국과 불교
1. 시대 배경
2. 불교 정책
제3장 고종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고종과 불교
1. 불교의례 개최
2. ?재조고려대장경? 조판
Ⅱ. 고종의 불교관
1. 불보관
2. 법보관
3. 승보관
Ⅲ. 치국과 불교
1. 고종의 왕권
2. 역사적 배경
3. 치국책

■ 제3부 조선시대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들어가는 글
제1장 세종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세종과 불교
Ⅱ. 세종의 불교관 및 분석
1. 세종의 불교관
2. 세종의 불교관 분석
Ⅲ. 치국과 불교
1. 세종의 왕권
2. 세종 대 불사의 공공성
3. 세종의 정치적 대응
제2장 세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세조와 불교
1. 세조와 불서
2. 불교 이해
Ⅱ. 불교관 분석
1. 유교 대 불교
2. 불교관 분석
3. 승보관

Ⅲ. 치국과 불교
1. 내치와 불교
2. 신불과 외교
제3장 명종 대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문정왕후의 불사
1. 양종 부활
2. 도승제 및 승과제도 부활
3. 화불 제작 후원
Ⅱ. 문정왕후의 정치
1. 공식 정치
2. 비공식 통치
Ⅲ. 치국과 불교
1. 지적 수준
2. 재정적 기반
3. 수렴청정 분석
4. 불사 분석

제4장 정조의 불교관과 치국책
Ⅰ. 정조의 불교관
1. 유불관
2. 불교관
3. 승보관
Ⅱ. 불교관 분석
1. 불교 이해 분석
2. 시기별 이해 및 지역성 분석
3. 불전 및 불교 개념 분석
4. 불교사상 분석
Ⅲ. 치국과 불교
1. 치국책

■ 제4부 종합 분석
들어가는 말
Ⅰ. 국왕의 불교관 평가
1. 중국의 영향
2. 불보관 평가
3. 법보관 평가
4. 승보관 평가
5. 불교의 기능 평가
Ⅱ. 국왕의 치국책 평가
1. 맹목적 전통 존중
2. 치국책 평가

영문 초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의사가 권하는 요료법(대활자본)
9788980972456.jpg


도서명 : 의사가 권하는 요료법(대활자본)
저자/출판사 : 이영미, 산수야
쪽수 : 290쪽
출판일 : 2014-08-05
ISBN : 9788980972456
정가 : 15000

머리말

제1장 의사가 권하는 요료법

제2장 요료법의 학설과 실제
1. 장점과 단점
2. 잃어버린 과학 - 요료법
3. 역사에 기록된 요료법
4. 요에 함유된 중요한 물질들

제3장 요료법 실시방법
1. 요료법
2. 신체 여러 장기 질병들의 치료
3. 주의사항
4. 적절한 식이요법
5. 의학적 고찰
6. 요료법에 관한 질문과 답변

제4장 임상 사례
1. 암-종양
2. 심장병
3. 신장병
4. 결핵
5. 탈저
6. 백혈병
7. 위질환
8. 대장질환
9. 천식
10. 기침과 감기
11. 열병
12. 상처와 화상
13. 팔, 다리 기타 관절의 통증
14. 근이영양증
15. 염증
16. 기타 질병들
17. 결론

제5장 요료법의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1. 여러분은 이런 사실들을 알고 계십니까?
2. 세계 각국의 요료법 현황
3. 호전반응의 실례
4. 매일 달라지는 요의 맛
5. 질병이 치유되는 과정
6. 요에 함유된 물질
7. 요의 사용법
8. 중요 사항
9. 가려야 할 음식

참고 문헌
오퀸 박사에 대하여
후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