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핵융합, 방사선 관련 사업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또는 앗 방귀가 뽕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원자력, 핵융합, 방사선 관련 사업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또는 앗 방귀가 뽕

로즈
2025-04-28 10:48 10 0

본문




원자력, 핵융합, 방사선 관련 사업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9791185037240.jpg


도서명 : 원자력, 핵융합, 방사선 관련 사업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저자/출판사 : 데이코 편집부, 데이코
쪽수 : 348쪽
출판일 : 2014-05-13
ISBN : 9791185037240
정가 : 300000

Ⅰ. 최근의 발전산업과 에너지 관련 산업 정책동향과 전략 21
1. 6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 21
1-1. 개요 21
1-2. 전력수급 기본계획 주요 내용 22
1) 개요 22
2) 제 6차 전력수급계획 기본방향 22
3) 제6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세부내용 26
2. 국가에너지 기본계획과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 41
2-1.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수립 41
1) 개요 41
2) 주요 내용 41
(1) 수요전망과 에너지믹스 구성 41
(2) 2차 계획의 6대 중점과제 43
(3) 의미와 향후 추진계획 45
2-2. ICT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동향 47
1) 배경 47
2) ICT기반 수요관리 현황과 문제점 47
3) ICT를 활용한 새로운 수요관리정책 패러다임 49
(1) 에너지정책 패러다임을 전환 49
(2) ICT와 과학기술 활용, 근본적이고 시스템적인 수요관리로 전환 50
(3) 수요관리자원 시장을 창출하여 새로운 서비스 산업과 일자리 창출 50
4) 추진전략 51
5) 세부 추진과제 52
(1) 에너지저장장치 (ESS) 52
(2) 에너지관리시스템 (EMS) 55
(3) ICT활용 고효율기기 58
(4) 한전의 효율향상 투자 확대 61
(5) 수요관리자원 시장 활성화 62
6) 기대효과 64
3. 국내 신재생에너지 실태와 활성화 정책 69
3-1. 2012년 국내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69
1) 종합 현황 69
(1) 2012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급비중 69
(2) 전년대비 변동량 69
(3) 1차에너지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 70
(4) 연도별 공급량추이 70
(5) 20012년 지역별 공급현황 71
(6) 2012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발전량 비중(발전부문) 71
(7) 전년대비 변동량(발전부문) 72
(8) 총발전량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발전부문) 73
(9) 연도별 발전량추이 73
(10) 2012년 지역별 발전현황 74
3-2.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 75
1) 개요 75
2) 그간의 추진경과와 과제 79
(1) 추진경과 79
(2) 과제 80
3) 주요 추진과제 81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제도 개선 81
(2) 신재생 공급 신규 의무화제도 도입 및 적용 확대 87
4) 기대효과 91
5) 과제별 세부 추진계획 92
3-3.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실행계획 93
1) 계획의 개요 93
(1) 2012년 정책평가와 과제 93
(2) 2013년 목표와 정책방향 97
2) 2013년 주요 추진과제 98
(1) 제 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98
(2) 안정적인 보급사업 체제개편방안 시행 100
(3) 안정적인 보급기반 구축 107
(4) 수출산업화 촉진 115
Ⅱ. 원자력, 핵융합, 방사선 관련 산업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121
1. 최근의 원자력관련 산업 동향과 전망 121
1-1. 해외 원자력 산업 동향 121
1-2. 국내 원자력 산업 최근동향 125
1) 개요 125
2) 최근의 원자력 산업환경과 주요이슈 126
(1)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량의 포화 126
(2) 전세계 원자력 시설 해체 도래 126
(3) 방사선 이용관련 수요증가 126
(4) 후쿠시마원전 사고에 따른 국내대응 127
1-3. 원자력 비발전분야 진흥계획 129
1) 개요 129
2) 원자력 창조경제 실천계획(안) 134
(1) 비전 및 실천전략 134
(2) 세부 실천과제 135
3) 미래 원자력시스템 기술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 137
(1) 추진배경 및 경과 137
(2) 주요내용 137
1-4. 핵융합?가속기 장치산업 생태계 활성화 추진 139
1) 개요 139
2) 핵융합?가속기 장치산업 활성화 전략 주요내용 140
(1) 추진 배경 140
(2) 관련 기술 수요 및 시장 141
(3) 산업생태계 활성화 전략(안) 141
1-5.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공동개발사업 143
1) 사업 개요 143
2) 주요 추진현황 143
3) 향후 추진계획 144
2. 원자력 관련 산업 육성 추진전략과 전망 145
2-1. 2014 원자력연구 개발사업 시행계획 개요 145
1) 계획 개요 145
(1) 계획수립 근거 145
(2) 사업분야 145
2) 2014년도 중점 추진방향 146
3) 2014도 사업별 투자계획 147
(1) 2014년도 예산규모 147
2-2. 사업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 149
1) 원자력기술개발사업 149
(1) 원자력안전 150
(2) 미래형원자로시스템 151
(3) 핵연료주기 152
(4) 원자력원천기술 153
2)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154
(1) 연구시설 및 이용기반 구축 155
(2) 전략기초연구 156
(3) 인력기반 확충 157
3) 원자력연구기획·평가사업 158
4) 방사선기술개발사업 159
(1) 방사선융합기술 160
(2) 방사선의학기술 161
(3) 방사선기기 핵심기술 162
(4) 첨단 비파괴 검사기술 162
5) 방사선연구기반확충사업 163
6) 중입자 가속기 기술개발 164
7)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 165
8) SMART 건설 관련 안전성 향상 연구 167
9) 원자력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 168
10)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신개념 치료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169
2-3. 2014년 추진 일정 171
3. 핵융합에너지 관련 사업 육성 추진전략과 전망 173
3-1. 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 기본계획 개요 173
1) 핵융합 정책의 비전, 단계별 목표 및 2차 기본계획의 중점전략 173
2) 2차 기본계획 기간 중 국내?외 주요 개발일정 비교 174
3-2. 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 기본계획 중점 추진 전략별 실천과제 175
1) 전략 1-KSTAR 고성능 플라즈마 달성 및 DEMO 기초기술 개발 175
(1) KSTAR 50초 이상 운전 및 고성능 H-mode 제어기술 확보 175
(2) ITER 핵심기술 확보 및 부품 조달 176
(3) DEMO 핵심기술 개발 체계 및 기반 구축 177
2) 전략 2-핵융합 기초연구 및 인력양성 확대 178
(1) 핵융합 기초·이론 연구의 활성화 및 다양화 178
(2) 핵융합 전문인력 양성 및 연구개발 기반 구축 179
3) 전략 3-국제협력 활성화 및 ITER 건설사업 주도 180
(1) 양자 및 다자간 국제협력 체계 구축 및 신규 프로그램 발굴 180
(2) ITER 사업 운영에서 핵심적 역할 강화 181
4) 전략 4-핵융합·플라즈마 기술 사업화 촉진 및 사회적 수용성 제고 182
(1) 핵융합 ? 플라즈마 기술의 사업화 및 신산업 창출 182
(2) 핵융합 안전 체계 확보 및 사회적 수용성 제고 183
5) 주요 기대성과 184
6) 추정 예산 및 인력 소요(안) 185
3-3. 핵융합에너지개발 2014년 추진계획 186
1) 2013년도 주요 추진실적 186
(1) 투자 실적 186
(2) 주요 추진실적 186
2) 2014년도 주요 추진계획 190
(1) 중점 추진방향 190
(2) 세부사업별 시행계획 192
4. 방사선 관련 사업 육성 추진전략과 전망 218
4-1. 1차 방사선 진흥계획(2012-2016) 추진전략과 중점과제 218
1) 전략 1-정책기능 강화 및 제도 개선 전략 218
(1) 방사선 진흥 정책 역량 강화 218
(2) 전략적 사업관리로 연구 성과 극대화 218
(3) 기술개발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219
(4) 방사선 국제협력 강화 및 국민이해도 제고 219
2) 전략 2-연구 인프라 강화 및 핵심 연구인력 양성 전략 220
(1) 권역별 특화된 방사선 인프라 구축 220
(2) 방사성동위원소의 안정적 수급 관리 221
(3) 기술융합형 방사선 전문 인력 양성 222
3) 전략 3-난치질환 정복을 위한 방사선의학기술 확보 222
(1) 방사선의학 원천기술 확보 222
(2) 방사선의학기술 실용화 촉진을 위한 기반 구축 222
(3) 방사선 치료기술 개발 및 안전이용 기반 마련 223
4) 전략 4-신산업창출 토대 마련을 위한 방사선 융합기술 강화 224
(1) 방사선융합기술의 전략적 개발 추진 224
(2) 방사선기기 핵심기술개발을 통한 선진국 기술장벽 극복 224
(3) 방사선융합기술 개발 촉진을 위한 기반 구축 225
4-2.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226
1) 투자계획 226
(1) 투자확충 226
(2) 투자계획 226
(3) 연차별 과제별 이행계획 227
2) 기대효과 229
(1) 방사선 기술·산업 수출국 진입을 위한 토대 마련 229
(2) 난치 질환 정복 등 방사선의학기술 개발로 국민 삶의 질 향상에기여 230
(3) 선진국 수준의 방사선 연구 인프라 구축 230

Ⅲ. 원자력 관련 기술개발 성과와 주요 연구테마, 업체현황 233
1. 원자력 관련 기술 분야 연구개발 주요 성과 233
1-1. 2013년 주요성과 233
1) 고정밀 열수력 해석 코드 CUPID1.7 개발 233
2) 원자로용기 관통부 파손 실험장치 구축 및 해석모델 평가 234
3) UO2 및 모의 사용후핵연료 소결체 산화 시험자료 확보 234
4) 감속재 열유동 안전해석 고유 검증자료 생산 235
5) 확률론적 쓰나미 재해도 평가기법 확립 235
6) 원자력 시설 인원/조직/근무환경의 인간공학 모형 개발 236
7) 원자로 압력용기 손상 무용접 보수 신기술 개발 236
8) 원전 안전계통 기기의 고장특성 모델링 및 해석 절차 확립 237
9) 전 지구규모 방사성물질 대기확산 영향평가 기술 개발 237
10) 피동잔열제거계통 기기시험장치(STELLA-1) 시설운영허가 획득 238
11) 피복입자 핵연료(TRISO) 연소성능 평가 238
12) 원자력 수소 및 공정열 계통 및 Layout 최적화 239
13) 금속연료심 원격제조장치 설계 및 평가 239
14) PRIDE 운전조건 확립 및 염(Salt) 장입시험 수행 240
15) 파이로 안전조치 실증장비(PRIDE UNDA) 설계 및 제작 240
16) 지하처분연구시설(KURT) 2단계 확장공사 착수 241
17) 원전 주요기기 제염제 및 원격 해체 시뮬레이터 핵심모듈 개발 241
18) 전기화학적 전위별 분광학 특성 자료 생산 242
19) 사고저항성 핵연료 피복관 표면처리 요소기술 개발 242
20) 핵연료 조사시험을 위한 용접 및 밀봉기술 개발 243
21) 다층구조 SiC 복합체 피복관 제조 및 특성 평가 243
22) 극한환경 저항성 고강도 ODS 신합금 개발 244
23) 비가시 환경극복 및 원격작업 핵심 기반기술 개발 244
24) 방사선 기반의 유기태양전지용 고성능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245
25) 방사선 조사 환자용 무균식 개발 및 환자대상 현장적용 실증연구 245
26) Growth of CdTe thin films on graphene by
colse-spaced sublimation method 246
27) SiC 기판의 계단 (step) 조절을 이용한 그래핀 나노리본의
너비 조절 기술개발 246
28) 방사선저항성 관련 암줄기세포 마커유전자 활용 제어기술 247
29) 폐암 방사선치료 효율 증진용 유전자 발굴 247
30) 종양미세환경에서 방사선 민감 표적분자 검증 248
31) 사람 구리수송체의 핵의학 영상리포터 및 치료 유전자 활용
기술개발 248
32) 소구경 배관 내삽형 실시간 자기카메라 개발 249
2. 원자력산업 분야 연구개발 테마와 개발전략 250
2-1. 에너지기술개발사업 2014년 원자력 관련분야 연구테마 250
1) 원전 해체설계를 위한 냉각재계통 및 기기 재활용 제염 상용기술 개발 250
(1) 요소기술 250
(2) 연구과제의 목표 250
(3)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251
(4) 지원 요건 251
2) 원전 사고로 인한 광역의 Cs 오염토양 무산(Non-Acid) 제염
공정기술 및 장비개발 252
(1) 요소기술 252
(2) 연구과제의 목표 252
(3)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253
(4) 지원 요건 253
3) 원전 기기·부품의 설치상태 재질검증 플랫폼 개발 및 열화관리
적용성 평가 기술개발 254
(1) 요소기술 254
(2) 연구과제의 목표 254
(3) 연구과제의 주요내용 255
(4) 지원 요건 255
2-2. 에너지기술개발사업 2013년 원자력 관련분야 연구테마 256
1) 안전등급 공정제어계측용 지시 및 제어기 개발 256
2) 원자력발전소용 방진기(Snubber) 개발 257
3) 원자력용 전기 관통구 집합체(EPA) EQ 및 제작 기술 개발 258
3. 원자력 관련 사업 업체현황 259
1) 한국전력공사 259
2) 한국수력원자력 260
3) 한국원자력연구원 261
4) 두산중공업 262
5) 한국전력기술 263
6) 한전원자력연료 264
7) 한전케이피에스 265
8) 비에이치아이 266
9) 티에스엠텍 267
10) 에스앤티씨 268
11) 한솔신텍 - (구 신텍) 269
12) 포스코플랜텍 - (구 성진지오텍) 270
13) 태광 271
14) 하이록코리아 272
15) 비엠티 273
16) 태웅 274
17) 마이스코 275
18) 엔에스브이 276
19) 조광아이엘아이 277
20) 현대건설 278
21) 대림산업 279
22) GS건설 280
23) 대우건설 281
24) 삼성물산 282
25) 일진파워 - (구 일진에너지) 283
26) 금화피에스시 284
27) 맥스파워 285
28) 현대중공업 286
29) 효성 287
30) 엘에스산전 288
31) 효성에바라엔지니어링 289
32) 현대삼호중공업 290
33) 두산엔진 291
34) LS엠트론 292
35) 삼신 293
36) 성화산업 294
37) 피케이밸브 295
38) 원일티엔아이 296
39) 우진기전 297
40) 신신기계 298
41) 상진미크론 299
42) 진영정기 300
43) 일성테크 301
44) 대동스프링 301

Ⅳ. 부록[참고자료] 305
1. 제4차 원자력연구개발 5개년 계획 개요와 중점 추진과제별 로드맵 305
1-1. 제4차 원자력연구개발 5개년 계획 주요내용 305
1) 주요 내용 305
(1) 제4차 계획 목표 및 중점추진과제 305
(2) 제3차 계획 성과 및 평가 306
(3) 국내·외 정책 환경 및 시사점 306
2) 원자력 창조경제 실천계획 주요 내용 307
(1) 추진 배경 307
(2) 추진 경위 307
(3) 비전 및 실천전략 308
(4) 세부 실천과제 309
(5) 창조경제 실천계획 2014년도 시행계획 관계 311
1-2. 중점 추진과제별 로드맵 312
1) 최고 수준의 원자력 안전기술 역량 확보 전략 312
(1) 원전의 안전성 향상 및 중대사고 종합평가/관리기술 개발 312
(2) 극한위험요인대비 종합 리스크 평가기술 개발 312
(3) 가동원전 핵심 재료 및 기기의 안전성 향상기술 개발 313
(4) 방사능 사고대응 방사선 환경방호 핵심기술 개발 313
(5) 중수로 안전성 증진 및 검증 핵심기술 개발 314
2) 미래원자력시스템 핵심· 원천기술 확보 314
(1) 소듐냉각고속로 원형로 설계 추진(´ 17년 완료) 314
(2) 원자력수소생산시스템 핵심·원천기술 개발 315
(3) 미래원자력시스템 인허가 기반기술 개발 315
3) 환경 친화적 핵연료주기기술 개발 전략 316
(1) 핵비확산성 핵연료주기(Pyroprocess)기반기술 개발 316
(2) 고준위폐기물 처분관련 기반연구시스템 구축 316
(3) 원자력시설 제염/해체 및 부지복원기술 개발 317
(4) 핵연료주기기술 핵심·공통기술 확보 317
4) 방사선기술 고도화를 통한 신물질·신기술 확보 전략 318
(1) 고부가가치 방사선 융·복합기술개발 318
(2) 질병 진단/치료 성능개선 방사선 의학/생물기술 개발 320
(3) 고성능 방사선융합기기 개발 322
5) 원자력 혁신연구 강화 및 고급인력양성 322
(1) 선도형 원자력 핵심 요소기술 개발 322
(2) 고위험 혁신형 도전기술 개발 324
2.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사업? 운영 규정(안) 326
3. 방사성 동위원소이용 신개념 치료기술개발 플랫폼구축사업 운영 규정 331
4. 2014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336
4-1. 투자규모 및 중점추진방향 336
1) 개요 336
2) 2014년도 상반기 에너지기술개발 사업 337
4-2. 예산과 지원과제 339
1) 2014년 예산 339
2) 2014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상반기 신규지원과제 340
(1) 에너지공급기술 340
(2) 에너지수요관리기술 341
(3) 기타(글로벌전문) 341
4-3. 중장기 과제 기술개요(예시) 342
1)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발전시스템 원가절감 기술개발 및 실증 342
2) 전력피크 대응을 위한 ESS 실증연구 343
3) 그리드 컴퓨팅을 활용한 산업단지 에너지네트워크 최적화 344
4) 마이크로 그리드용 공통 플랫폼 기술 개발 345
5) 100MW급 해상변전소 개발 및 실증 346
6) 건물용 SOFC 상용시스템 개발(목표연계형) 347
7) 미활용 원료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개발 348

표목차
Ⅰ. 최근의 발전산업과 에너지 관련 산업 정책동향과 전략 21
[표1-1] 발전설비 노후화 추이 (대수, %) 23
[표1-2] GDP 성장률 전망(KDI)(단위 : %) 26
[표1-3] 산업구조 전망(KIET)(단위 : 부가가치 비중 %) 26
[표1-4] 전력소비량 및 최대전력 예측결과 27
[표1-5] 목표수요 최대전력 예측결과 29
[표1-6] 6차 계획 적정 설비예비율 산정 근거 30
[표1-7]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억kWh, %) 31
[표1-8]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만kW, %) 32
[표1-9] 신규 신재생에너지 실효용량(만kW) 32
[표1-10] 연도별 신규 화력 소요 (만kW) 33
[표1-11] 발전기별 표준 건설공기 34
[표1-12] 최종 년도(2027) 기준 신규설비 소요량 34
[표1-13] 건설의향 종합(단위 : 사, 호기, MW) 35
[표1-14] 건설의향 평가기준 35
[표1-15] 신규 건설의향 반영 내역 (단위 : 만kW) 36
[표1-16] 연도별 설비소요량 대비 건설의향 반영결과 비교 37
[표1-17] 연도별 전력수급 전망 (단위 : 만kW) 38
[표1-18] 연도별 전원구성비 전망 (만kW, %) 39
[표1-19] 1차 vs 2차 에너지기본계획 비교표 46
[표1-20] IT 기반 ESCO 사업측정 현황 57
[표1-21] LED 조명 교체 계획 58
[표1-22] 지역냉방과 가스냉방용 가스요금 비교 60
[표1-23] 일자리 창출과 전력피크 감축 효과 65
[표1-24] 태양광 의무공급량 확대(안) (단위 : MW) 75
[표1-25] FIT와 RPS 발전설비 증설 실적 79
[표1-26] 태양광?풍력 산업규모 비교(’11년 기준, 괄호 : 비중) 80
[표1-27] 태양광 의무공급량 확대(안) (단위 : MW) 82
[표1-28] RPS 가중치 조정안(안) 82
[표1-29] 공급의무자별 연간 선정의뢰물량 확대(안) 83
[표1-30] 태양광 용량기준 가중치 변경(안) 83
[표1-31] 기존 보급사업과의 비교 84
[표1-32] 적용대상의 단계별 확대 87
[표1-33] 연도별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비율(%) 89
[표1-34] 관련부처별 신재생에너지 주요 예산사업 추진실적(‘12년) 96
[표1-35]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현행) 107
[표1-36] 해외 RHO 추진사례 109

Ⅱ. 원자력, 핵융합, 방사선 관련 산업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121
[표2-1] 주요국의 원자력정책 현황 및 전망 123
[표2-2] 세계 주요 핵융합 연구장치 비교 124
[표2-3] 국제포럼 선정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 132
[표2-4] 사업별 예산 (단위 : 백만원) 148
[표2-5] 2차 기본계획 기간(‘12~’16) 중 약 9,996억원 투자 예정 185
[표2-6] 2차 기본계획 기간('12~'16) 중 2,369명(누적) 인력소요 예상 185
[표2-7] ITER사업 참여 통한 연도별 우리나라 수주 현황 188
[표2-8] KSTAR 운전에 따른 연도별 플라즈마 비교 193
[표2-9] 권역별 전문화·특성화 전략(안) 221
[표2-10] 주요국의 연구개발 동향(단위: 억원) 226
[표2-11] 중점·세부추진 과제별 이행계획(안) 227

Ⅲ. 원자력 관련 기술개발 성과와 주요 연구테마, 업체현황 233
[표3-1] 한국전력공사 업체 프로필 259
[표3-2] 한국수력원자력(주) 업체 프로필 260
[표3-3] 한국원자력연구원 업체 프로필 261
[표3-4] 두산중공업(주) 업체 프로필 262
[표3-5] 한국전력기술(주) 업체 프로필 263
[표3-6] 한전원자력연료(주) 업체 프로필 264
[표3-7] 한전케이피에스(주) 업체 프로필 265
[표3-8] 비에이치아이(주) 업체 프로필 266
[표3-9] (주)티에스엠텍 업체 프로필 267
[표3-10] (주)에스앤티씨 업체 프로필 268
[표3-11] 한솔신텍(주) 업체 프로필 269
[표3-12] (주)포스코플랜텍 업체 프로필 270
[표3-13] (주)태광 업체 프로필 271
[표3-14] 하이록코리아(주) 업체 프로필 272
[표3-15] (주)비엠티 업체 프로필 273
[표3-16] (주)태웅 업체 프로필 274
[표3-17] (주)마이스코 업체 프로필 275
[표3-18] (주)엔에스브이 업체 프로필 276
[표3-19] 조광아이엘아이(주) 업체 프로필 277
[표3-20] 현대건설(주) 업체 프로필 278
[표3-21] 대림산업(주) 업체 프로필 279
[표3-22] GS건설(주) 업체 프로필 280
[표3-23] (주)대우건설 업체 프로필 281
[표3-24] 삼성물산(주) 업체 프로필 282
[표3-25] (주)일진파워 업체 프로필 283
[표3-26] (주)금화피에스시 업체 프로필 284
[표3-27] 맥스파워(주) 업체 프로필 285
[표3-28] 현대중공업(주) 업체 프로필 286
[표3-29] (주)효성 업체 프로필 287
[표3-30] 엘에스산전(주) 업체 프로필 288
[표3-31] 효성에바라엔지니어링(주) 업체 프로필 289
[표3-32] 현대삼호중공업(주) 업체 프로필 290
[표3-33] 두산엔진(주) 업체 프로필 291
[표3-34] LS엠트론(주) 업체 프로필 292
[표3-35] (주)삼신 업체 프로필 293
[표3-36] 성화산업(주) 업체 프로필 294
[표3-37] 피케이밸브(주) 업체 프로필 295
[표3-38] (주)원일티엔아이 업체 프로필 296
[표3-39] (주)우진기전 업체 프로필 297
[표3-40] (주)신신기계 업체 프로필 298
[표3-41] (주)상진미크론 업체 프로필 299
[표3-42] (주)진영정기 업체 프로필 300
[표3-43] 일성테크 업체 프로필 301
[표3-44] (주)대동스프링 업체 프로필 301

Ⅳ. 부록[참고자료] 305
[표4-1] 상반기 신규 지원분야/예산(억원) 337
[표4-2] 중장기 주요 과제(예시) 337
[표4-3] 목표연계형 지원 과제(5개) 338

그림목차
Ⅰ. 최근의 발전산업과 에너지 관련 산업 정책동향과 전략 21
[그림1-1] 석탄, LNG 가격 변동 추이 ($/톤) 23
[그림1-2] 에너지저장장치 개념도 52
[그림1-3] 시간대별 수요 및 에너지원별 발전패턴 53
[그림1-4] EMS Hardware흐름도 56
[그림1-5] 스마트플러그 사용 예시 60
[그림1-6] 전력설비건설 지연 대처 65
[그림1-7] 에너지가격(SMP) 인하 65
[그림1-8] 2012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급비중 69

Ⅱ. 원자력, 핵융합, 방사선 관련 산업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121
[그림2-1] 친환경 고속로 순환핵연료주기 시스템 개념도 138
[그림2-2] 원자력이용 수소생산시스템 개념도 138
[그림2-3] '13년도 500kA, H-Mode 20초 운전 달성 187
[그림2-4] 플라즈마 내부 불순물 제거실험 187




앗 방귀가 뽕
9788966070794.jpg


도서명 : 앗 방귀가 뽕
저자/출판사 : 리퀴드 브레인, 거북이북스
쪽수 : 40쪽
출판일 : 2013-02-26
ISBN : 9788966070794
정가 : 11000

이 책은 목차가 없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