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을 위한 수학 또는 나도 잘 쓰고 싶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대통령을 위한 수학 또는 나도 잘 쓰고 싶다

로즈
2025-04-28 10:48 8 0

본문




대통령을 위한 수학
9788952222473.jpg


도서명 : 대통령을 위한 수학
저자/출판사 : 조지 슈피로, 살림
쪽수 : 383쪽
출판일 : 2012-12-07
ISBN : 9788952222473
정가 : 15000

머리말

제1장 민주주의를 경멸한 플라톤
- 어리석은 대중이 국가를 망친다
* 대통령을 위한 브리핑:『국가론』
* 인물 브리핑: 플라톤

제2장 투표 조작에 저항한 플리니우스
- 양자대결방식이 옳은가, 삼자대결방식이 옳은가?
* 대통령을 위한 브리핑: 베수비오 화산 폭발

제3장 투표이론을 최초로 정비한 중세시대 철학자 라몬 유이
- 양자대결과 승자진출방식을 제안하다
* 대통령을 위한 브리핑: 라몬 유이

제4장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추기경의 선거이론
-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를 선출하는 최고의 방식, 버블 정렬!
* 대통령을 위한 브리핑:『교회 일치』

제5장 투표제도의 모순을 지적한 수학자 장-샤를 보르다
- 순위를 매기는 투표방식 '보르다 투표법'
* 인물 브리핑: 장-샤를 드 보르다
*대통령을 위한 브리핑: 보르다 투표법과 다수결 선거의 비교

제6장 '콩도르세 역설'의 발견, 수학자 콩도르세
- 다수의견에는 이행성이 없다
* 인물 브리핑: 콩도르세 후작

제7장 과반수 선거이론, 수하자 라플라스
- 과반수 요건, 전략적 투표는 차악을 택하게 만든다
* 인물 브리핑: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제8장 선거이론을 다시 부흥시킨 수학자 찰스 럿위지 도지슨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동화작가이자 수학자가 쓴 선거논문
* 인물 브리핑: 찰스 럿위지 도지슨

제9장 전 세계 국회를 괴롭힌 의원배정방식
- 앨라배마 역설, 새로운 주의 역설, 인구 역설

제10장 아이비리그 교수들의 공방전
- 웹스터-윌콕스 방식을 지지한 코넬학파, 헌팅턴-힐방식을 지지한 하버드학파
* 인물 브리핑: 월터 F. 윌콕스/ 조셉 A. 힐/ 에드워 V. 헌팅턴/ 길버트 A. 블리스/ 어니스트 E. 브라운/ 루터 P. 아이젠하르트/ 레이먼드 펄/ 월리엄 포그 오스굿/ 존 폰 노이만/ 말스통 모스
* 대통령을 위한 브리핑: 기하평균에서 올림 또는 버림하기

제11장 케네스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 완벽한 투표방식은 없다!
* 인물 브리핑: 케네스 조지프 애로/ 앨럼 기버드/ 마크 새터스웨이트
* 대통령을 위한 브리핑: 선택공리/ 괴델과 불가능성 정리

제12장 끝나지 않은 의석할당방식 논란
- 이상적인 의석배정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 인물 브리핑: 미첼 밸린스키/ H. 페이튼 영

제13장 포스트모던주의자들
- 스위스, 이스라엘, 프랑스의 사례
* 인물 브리핑: 요하난 베이더/ 아브라함 오퍼

찾아보기




나도 잘 쓰고 싶다
9788997132263.jpg


도서명 : 나도 잘 쓰고 싶다
저자/출판사 : 허재영, 행성B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3-01-10
ISBN : 9788997132263
정가 : 13800

머리말 좋은 글과 말은 삶을 풍요롭게 한다

국어의 정석 1 : 말을 알아야 말이 통한다
당신과 말이 안 통하는 진짜 이유
사람만 말을 갖고 있을까
‘님’과 ‘남’의 차이
우리말, 결코 쉽지 않다
무지개는 정말 빨주노초파남보일까

국어의 정석 2 : 문장, 넌 누구냐
문장은 사람의 생각을 표현한다
끝까지 들어 봐야 아는 우리말
‘얼굴이 예쁘다’와 ‘얼굴은 예쁘다’의 차이
화자의 뜻에 따라 문장이 달라진다
문장은 끝없이 길어질 수 있다
문법 맛보기
이 색깔은 하나 남으셨습니다?
때를 나타내는 방법
행복한 하루 되세요?
“손님이 다 안 왔다.”는 무슨 뜻일까

국어의 정석 3 : 단어만 잘 써도 교양이 쌓인다
단어를 쪼개 보자
단어 하나로도 말할 수 있을까
단어를 직접 만들어 보자
‘허’와 ‘수’ 이야기
해님과 햇님, 어떤 게 맞을까?
단어에도 성질이 있다
세월이 가면 품사도 변한다

국어의 정석 4 : 글맛, 말맛 살리는 어휘
단어와 어휘는 어떻게 다를까
생각, 사유, 사고, 사색의 차이
한 지붕 두 가족, 고유어와 한자어
사회가 변하면 외래어도 변한다
어휘력 키우기

국어의 정석 5 : 우리말의 품위 지키기
말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
말하기에도 표준이 있다
한글 맞춤법도 ‘법’이다
맞춤법과 문법은 다르다
말씨와 글씨가 곧 당신이다

국어의 정석 6 :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소리대로, 어법에 맞게
말소리를 어떻게 적을까
전통성과 합리성
‘쓸데없다’와 ‘쓸 데 있다’
모음조화도 변화한다
‘올바르다’일까, ‘옳바르다’일까
관습과 규범이 다를 때
문장 부호들의 역할

국어의 정석 7: 피할 수 없는 외래어와 로마자 표기
외래어와 외국어 어떻게 구분할까
스무 개 이상의 초콜릿
사격납저를 아시나요
어디에서 온 말인가
왜 리포트인가
공자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떨리는 Girl’ 이야기
박(Pak)세리와 박(Park)찬호

국어의 정석 8 : 글을 바르게 읽어야 세상이 보인다
읽기에 대한 편견을 버리자
읽기에는 전략이 필요하다
책, 너무 많이 읽지 마라
읽는 방법을 배우자

국어의 정석 9 : 좋은 글을 쓰는 방법
글쓰기 욕구는 본능이다
쓰기에 대한 인식부터 바꾸자
끊임없이 생각하며 글을 쓰자
선택과 집중을 잘하자
쓰기와 관련된 기술과 능력을 갖추자
쓰기, 이렇게 시작하자

맺음말 국어는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