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남전략의 실체 또는 찻자리 공간에서 만난 차 한 잔의 운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북한 대남전략의 실체 또는 찻자리 공간에서 만난 차 한 잔의 운치

로즈
2025-04-28 10:48 5 0

본문




북한 대남전략의 실체
9788965239024.jpg


도서명 : 북한 대남전략의 실체
저자/출판사 : 김동식, 기파랑
쪽수 : 304쪽
출판일 : 2013-08-30
ISBN : 9788965239024
정가 : 16000

책머리에

제1장 서론
제1절 북한의 대남혁명전략 변화에 대한 시각
제2절 대남혁명전략 연구의 필요성
제3절 대남혁명전략 연구의 문제점과 한계
제4절 무엇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제2장 대남혁명전략의 이론적 배경과 결정과정
제1절 북한의 국가전략과 대남전략
제2절 대남전략과 대남혁명전략
제3절 대남혁명전략 결정 및 변화 요인
제4절 대남혁명전략 결정과정

제3장 냉전시기 북한의 대남혁명전략
제1절 대남혁명전략의 개념과 이론화과정
제2절 냉전시기 대남혁명전략 목표
제3절 냉전시기 대남혁명전략 전개

제4장 탈냉전시기 대남혁명전략 변화
제1절 대남혁명전략 변화 요인과 특징
제2절 대남혁명의 성격과 임무 변화
제3절 대남혁명의 전략전술 재정립

제5장 대남공작조직과 지도체계 변화
제1절 대남공작기구와 변천
제2절 대남공작 지도체계 변천과정
제3절 정찰총국 신설과 대남공작 지도체계 변화

제6장 대남혁명전략의 실제-대남공작
제1절 대남혁명과 대남공작
제2절 냉전시기 북한의 대남공작
제3절 공작원 구성에 따른 대남공작전술 변화
제4절 탈냉전시기 북한의 대남공작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찻자리 공간에서 만난 차 한 잔의 운치
9788926841693.jpg


도서명 : 찻자리 공간에서 만난 차 한 잔의 운치
저자/출판사 : 홍정숙, 이담북스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3-02-28
ISBN : 9788926841693
정가 : 18000

머리말

제1부 들어가는 말

제2부 찻자리 공간

1. 찻자리 공간이란 무엇인가?

2. 찻자리 공간, 변천하다
-찻자리 공간의 변천과정
-찻자리 공간의 구분
-실외 찻자리 공간
-실내 찻자리 공간

3. 찻자리 공간의 구성요소를 본다
-차도구
-장식물
-다화(茶畵)
-다시(茶詩)
-찻자리꽃

제3부 찻자리 공간에서 사군자(四君子)를 만나다
1. 사군자의 형성동기

2. 사군자의 의미

3. 매ㆍ난ㆍ국ㆍ죽(梅蘭菊竹)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4. 청사(淸事)

제4부 한ㆍ중ㆍ일 찻자리 공간의 특징을 찾아서
1. 한국의 찻자리 공간
-그림에 나타난 찻자리 공간의 특징
-찻자리 공간에 나타난 다사(茶事)
-찻자리 공간에 깃든 다도사상

2. 중국의 찻자리 공간
-그림에 나타난 찻자리 특징
-찻자리 공간에 나타난 다사
-찻자리에 깃든 다도사상

3. 일본의 찻자리 공간
-그림에 나타난 찻자리 공간의 특징
-찻자리 공간에 나타난 다사
-차실 문화
-찻자리 공간에 깃든 다도사상

제5부 한ㆍ중ㆍ일 찻자리 공간 비교하기
1. 한ㆍ중ㆍ일 찻자리 공간의 공통점
-그림을 통해 본 찻자리 공간의 공통점
-곡수연(曲水宴)을 통한 찻자리 공간의 공통점

2. 한ㆍ중ㆍ일 찻자리 공간의 상이점

제6부 찻자리 공간을 재조명하다
1. 전통적 찻자리 공간의 재조명

2. 계절과 찻자리 공간의 상관성
-녹차ㆍ백차와 설중매(雪中梅)
-황차와 연당우(蓮塘雨)
-홍차와 은일국(隱逸菊)
-청차와 세한죽(歲寒竹)
-흑차와 설야송(雪夜松)

3. 바람직한 찻자리 공간의 기능
-심신 수양의 공간
-소통과 문화의 공간
-예술ㆍ창작의 공간
-휴식과 치유의 공간
-인성교육의 공간

제7부 마무리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