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지신 부동산이야기 또는 도시철도 운영총론
로즈
2025-04-28 10:48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온고지신 부동산이야기

도서명 : 온고지신 부동산이야기
저자/출판사 : 장지웅, 달과소
쪽수 : 192쪽
출판일 : 2013-03-10
ISBN : 9788991223516
정가 : 12000
序文 | 책을 내면서 - 005
1. 인구밀도 세계 1위 - 011
2. 지하개발은 제2의 땅 만들기 - 015
3. 10년 부동산 주기설의 내막 - 024
4. 미분양 판촉 교과서의 해 1976년 - 028
5. 교훈의 해 1990년 - 032
6. 2007년 신드롬 - 037
7. 8월은 부동산 대책의 달 - 043
8. 부동산 박사들 - 055
9. 부동산 노예화 현상들 - 063
10. 이사학(移徙學) - 069
11. 분양가 고소공포증 - 074
12. 집값은 땅값이다 - 084
13. 반값아파트는 없다 - 089
14. 세금이 집값을 올린다 - 094
15. 금리가 내리면 전세금이 오른다 - 100
16. 인구정책과 특별분양 - 105
17. 퇴출된 주택보급률 - 110
18. 공급만한 특효약은 없다 - 114
19. 고급신도시 하나 만들자 - 122
20. 재건축 아파트가 몰려온다 - 128
21. 다주택자는 애국자 - 134
22. 무주택자도 집에서 산다 - 140
23. 분양제도, 기네스북에 도전하다 - 148
24. 모델하우스 꼭 필요한가 - 156
25. 국민주택규모 너무 크다 - 164
26. 평(坪)은 사라지지 않는다 - 169
27. 중소주택업체 설 땅이 없다 - 173
28.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 대출문 넓혀라 - 178
29. 비관론에 갇힌 주택시장 - 182
30. 결단의 해 2013년 - 187
도시철도 운영총론

도서명 : 도시철도 운영총론
저자/출판사 : 곽정호, 골든벨
쪽수 : 704쪽
출판일 : 2014-01-15
ISBN : 9791185343181
정가 : 28000
제1장 전동차 구조 및 기능
제1절 전동차 일반
1.1. 전동차 특성
1.2. 전동차 종류
1.3. 전동차 편성
1.4. 전동차 에너지원(전차선)
제2절 도시철도차량의 안전기준
2.1. 일반적 안전기준
2.2. 차량한계 등의 안전기준
2.3. 화재 안전기준
2.4. 전기 안전기준
2.5. 차체 안전기준
2.6. 신호보안장치 안전기준
2.7. 종합제어장치 안전기준
2.8. 기타장치 안전기준
제3절 주회로 장치
3.1. 주회로 장치 개요
3.2. 집전장치
3.3. 계기용변압기
(Potential Transformer)
3.4. 비상접지스위치
(Emergency Ground Switch)
3.5. 주차단기(Main Circuit Breaker)
3.6. 교직절환기
(AC-DC Change-Over Switch)
3.7. 피뢰기(Arrestor)
3.8. 주휴즈(Main Fuse)
3.9. 주변압기(Main Transformer)
3.10. 컨버터(Converter)
3.11. 충전필터 및 과전압 보호기기
3.12. 인버터(Inverter)
제4절 추진제어
4.1. 추진제어 개요
4.2. 추진제어장치 안전기준
4.3. ADV전동차 추진제어
4.4. 추진제어장치(GCU)
4.5. 교류구간 주회로 제어
4.6. 직류구간 주회로 제어
4.7. 인버터 제어
제5절 전동차 기동제어
5.1. 제어일반
5.2. 전동차 기동순서
5.3. 직류모선 가압제어
5.4. 운전실 선택 제어
5.5. 보조공기압축기 제어
5.6. 보조기기적용계전기
5.7. 팬터그래프 제어
5.8. 전압계전기 제어
5.9. 주차단기(MCB) 제어
5.10. 보조전원장치
제6절 제동장치
6.1. 제동장치 개요
6.2. 전동차 제동장치의 안전기준
6.3. 제동장치의 주요부품
6.4. 제동장치 종류
6.5. 공기제동 작용이론
6.6. 상용제동(Service Brake)
6.7. 비상제동(Emergency Brake)
6.8. 정차제동(Holding Brake)
6.9. 보안제동(Security Brake)
6.10. 주차제동(Parking Brake)
6.11. 제동작용장치(BOU)
6.12. 제동전자제어장치(ECU)
6.13. 제동력 부족검지
6.14. 제동불완해 및 강제완해
6.15. 활주방지(Anti-Skid)장치
6.16. 주공기압축기
6.17. 구원운전(Rescue Operating)
제7절 운전보안장치
7.1. 운전보안장치 개요
7.2. 운전보안장치 특징
7.3. 운전보안장치 종류
7.4. 궤도회로(Track Circuit)
7.5. ATS장치
(Automatic Train Stop)
7.6. ATC장치
(Automatic Train Control)
7.7. TWC장치
(Train Wayside Communication)
7.8. TRA장치
(Trigger Receiver Assembly)
7.9. PSM장치
(Precision Stop Marker)
7.10. ATO장치
(Automatic Train Operation)
7.11. 운전모드
7.12. 운전보안장치 발전방향
제2장 운전이론
제1절 운전이론 기초
1.1. 개 요
1.2. 단위(Unit)
1.3. 스칼라(Scalar)·벡터(Vector)
1.4. 물체 이동
1.5. 속도(Velocity)
1.6. 가속도
1.7. 각속도
1.8. 무게
1.9. 힘(Force)
1.10. 일(Work)
1.11. 일률(Power)
1.12. 에너지(Energy)
1.13. 마찰력(Frictional force)
1.14. 압력(Pressure)
제2절 견인력(牽引力) 이론
2.1. 개 요
2.2. 견인력·마찰력·열차저항 관계
2.3. 견인력 구분
2.4. 견인력 전달
2.5. 견인전동기의 일률 산출
2.6. 견인전동기(Traction Motor)
2.7. 직류직권전동기
2.8.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
2.9. 견인전동기 손실 및 효율
2.10. 정 격
제3절 열차 저항
3.1. 개 요
3.2. 출발저항(Starting Resistance)
3.3. 주행저항(Running Resistance)
3.4. 구배저항(Grade Resistance)
3.5. 곡선저항(Curve Resistance)
3.6. 터널저항(Tunnel Resistance)
3.7. 가속도저항
(Acceleration Resistance)
제4절 제동 이론
4.1. 개 요
4.2. 제동장치의 구비조건
4.3. 제동원력
4.4. 제동배율
4.5. 제동압력
4.6. 제동효율
4.7. 제동율
4.8. 제동력
4.9. 차륜과 제륜자간 마찰 관계
4.10. 축중 이동(軸重移動)
4.11. 제동거리 산출
4.12. 제동시간 산출
4.13. 전기제동
제5절 운전이론 응용
5.1. 구배의 종류
5.2. 견인정수
5.3. 견인정수 사정(査定)의 요소
5.4. 속도종별(속도등급) 및 균형속도
5.5. 선로용량
5.6. 경제적 운전
제3장 운전계획 및 승무계획
제1절 운전계획 개요
1.1. 운전계획 정의
1.2. 운전계획 수립원칙
1.3. 운전계획 적용범위
1.4. 정거장
1.5. 수송수요
1.6. 수송력
1.7. 혼잡도
1.8. 운행시격(Headway)
제2절 열차계획
2.1. 열차계획 개요
2.2. 열차 종류
2.3. 속도 종류
2.4. 운전곡선도
(Run Curve Diagram)
2.5. 열차주행성능프로그램(TPS)
2.6. 역간 운전시간
2.7. 정차시간
2.8. 운행 소요시간
2.9. 반복 소요시간
2.10. 전동차 이동시간 산출
2.11. 최소운행시격(Minimum Headway)산출
2.12. 열차번호
2.13. 열차DIA(Train Diagram)
2.14. 열차DIA 설계
제3절 차량계획
3.1. 차종선택
3.2. 편성 연결량수
3.3. 보유 편성수 산출
3.4. 비상대기 전동차 운용
3.5. 차량 운용
3.6. 신규 전동차 성능시험 절차
제4절 운전설비계획
4.1. 개 요
4.2. 운전설비계획 검토기준
4.3. 배선계획
4.4. 분기기 부설 계획
4.5. 정거장 배선
4.6. 운전역(연동역)의 배선 기능
4.7. 배선형태별 특성
4.8. 유효장(有效長)
4.9. 과주여유거리
제5절 승무계획(인력운영계획)
5.1. 개 요
5.2. 소요인원 산출시 고려사항
5.3. 양성계획
5.4. 승무계획
5.5. 승무원근무표
5.6. 승무DIA 작성기준
5.7. 근무계획
5.8. 승무분야 소요인원 산출
제4장 도시철도 관제시스템
제1절 관제시스템 일반
1.1. 관제시스템 정의
1.2. 관제시스템의 발전
1.3. TTC시스템 개요
1.4. 관제시스템의 일반적 설계기준
제2절 서울도시철도공사 TTC시스템
2.1. 관련 용어
2.2. TTC시스템 구성
2.3. 열차운행 제어
2.4. 장치별 주요기능
제3절 관제용 설비 및 운행스케줄 입력
3.1 대형표시반
(LDP, Large Display Panel)
3.2. 제어탁(Consol)
3.3. 제어기(Work Station)
3.4. 기능키(Function Key)
3.5. 무선전화기
3.6. 영상장치제어기
3.7. 집중전화장치
3.8. 원격방송장치
3.9. 재난정보 공유시스템
3.10. 운행스케줄 입력
제4절 관제업무
4.1. 관제업무 법적 근거
4.2. 관제사 임무 및 책무
4.3. 관제업무 처리기준
4.4. 관제사 담당업무
4.5. 감시업무
4.6. 제어업무
4.7. 통제업무
4.8. 운전정리
4.9. 승인 및 허가
4.10. 열차방호
4.11. 상황전파
4.12. 상황보고
제5절 관제분야 현장 매뉴얼 및 사고사례
5.1. 관제분야 주요 매뉴얼
5.2. 통제오류에 의한 사고사례
제5장 도시철도운전규칙 해설
제1절 개 요
1.1. 도시철도운전규칙 변천
제2절 총 칙
2.1. 제정근거 및 목적
2.2. 적용 범위
2.3. 용어의 정의
2.4. 직원 교육
2.5. 안전조치 및 유지보수
2.6. 응급복구용 기구 및 자재 등의 정비
2.7. 안전운전계획의 수립 등
2.8. 신설구간 시운전
제3절 선로 및 설비의 보전
3.1. 선로의 보전
3.2. 선로의 점검 및 정비
3.3. 공사 후 선로의 사용
3.4. 선로의 구조
3.5. 전력설비의 보전
3.6. 전차선로의 점검
3.7. 전력설비의 검사
3.8. 공사 후 전력설비의 사용
3.9. 통신설비의 보전
3.10. 통신설비의 검사 및 사용
3.11. 운전보안장치의 보전
3.12. 운전보안장치의 검사 및 사용
3.13. 물품유치 금지
3.14. 선로 등 검사에 관한 기록보존
3.15. 열차 등의 보전
3.16. 차량의 검사 및 시험운전
3.17. 편성차량의 검사
3.18. 검사 및 시험의 기록
제4절 운 전
4.1. 열차의 편성
4.2. 승강장 시설기준
4.3. 열차의 비상제동 거리
4.4. 열차의 제동장치
4.5. 열차의 제동장치 시험
4.6. 열차 등의 운전
4.7. 무인운전시의 안전 확보 등
4.8. 열차의 운전위치
4.9. 열차의 운전시각
4.10. 운전정리
4.11. 운전 진로
4.12. 폐색구간
4.13. 추진운전과 퇴행운전
4.14. 열차의 동시출발 및 도착의 금지
4.15. 정거장 외의 승차·하차금지
4.16. 선로의 차단
4.17. 열차 등의 정지
4.18. 열차 등의 서행
4.19. 열차 등의 진행
4.20. 노면전차의 시계운전
4.21. 차량의 결합·해체 등
4.22. 선로전환기의 쇄정 및 정위치 유지
4.23. 분기기
4.24. 운전속도
4.25. 속도제한
4.26. 차량의 구름방지
제5절 폐 색(Block)
5.1. 폐색방식의 구분
5.2. 상용폐색방식
5.3. 자동폐색식
5.4. 차내신호폐색식
5.5. 대용폐색방식
5.6. 지령식 및 통신식
5.7. 지도통신식
5.8. 전령법 시행
5.9. 전령자의 선정 등
5.10. 무폐색 운전
제6절 신 호(Signal)
6.1. 신호의 종류
6.2. 주간 또는 야간의 신호
6.3. 제한신호의 추정
6.4. 신호의 겸용금지
6.5. 상설신호기
6.6. 상설신호기의 종류
6.7. 상설신호기의 종류 및 신호 방식
6.8. 임시신호기의 설치
6.9. 임시신호기의 종류
6.10. 임시신호기의 신호방식
6.11. 수신호 방식
6.12. 선로 지장 시의 방호
6.13. 출발전호
6.14. 기적전호
6.15. 입환전호
6.16. 표지의 설치
6.17. 노면전차 신호기의 설계
[부록1] 운전관계 표지
[부록2] 전동차 기기 약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