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떤 집에 살아야 행복할까 또는 알기쉬운 석면피해 보상
로즈
2025-04-28 10:48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나는 어떤 집에 살아야 행복할까

도서명 : 나는 어떤 집에 살아야 행복할까
저자/출판사 : 고제순 , 서윤영 , 노은주 , 이재성 , 조광제 ,, 철수와영희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2-12-10
ISBN : 9788993463378
정가 : 13000
머리말- 나와 우리의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집
1강. 생명과 평화를 향한 집 짓기 -고제순
나는 지금 행복한가
내 삶의 튼튼한 기초
생명을 죽이는 집, 생명을 살리는 집
지구라는 거대한 집
‘우주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생명과 평화를 향한 집 짓기
내가 좋아하는 일을 찾자
2강. 우리가 살아온 집, 우리가 살아갈 집 - 서윤영
사람이 지은 최초의 집
사람이 집을 짓는 방식-세울 건과 쌓을 축
집을 짓는 재료-흙과 나무, 돌
신화와 건축-여신은 왜 남신이 되었나?
불-집의 영혼이자 눈동자
한반도 집의 역사
집의 설계-기둥을 잘못 그리면 집이 무너진다
3강. 나를 닮은 집을 꿈꾸다 - 노은주
살고 싶은 집 그리기-땅과 사람과 집의 꿈
집은 어떻게 만들어질까?-금산주택 이야기
집의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공간의 구체화-스케치와 모형 만들기
실습: 살고 싶은 집 모형 만들기
4강. 신분제 사회의 한옥 구조와 문학 작품에 반영된 우리네 삶의 풍경 - 이재성
‘짓다’와 ‘집’의 의미
한옥의 구조는 왜 이런 모습일까?
한옥(와가)의 채 나눔과 신분제 사회
자연의 일부, 서민들의 공간-초가
춘섬이 입장에서 본 허균의 『홍길동전』
허균은 왜 이런 작품을 썼을까?
철거의 역사-새마을 운동과 재개발
“그런데도 데모 같은 거 안 해요?”-이순원 『아들과 함께 걷는 길』
새마을 운동과 어머니의 집-이청준의 「눈길」
‘근대화’와 잃어버린 집의 기억-황선미의 『바람이 사는 꺽다리 집』
다른 눈으로 보기
5강. 집은 나에게 어떤 존재인가? - 조광제
이상향이자 근원으로서의 집
카프카는 왜 성으로 갔을까?
집의 안과 밖
집은 어떤 존재인가
공감의 공간으로서의 집
집과 사회의 상관관계
자연과 소통하는 공간
세상에서 가장 큰 집을 짓는 법
6강. 더불어 사는 길-부동산 민주주의 - 손낙구
‘부동산’이라는 오래된 문제
집과 땅의 특수한 성질
부동산 정책이 문제다
땅값이 올라 행복한 사람들
부동산의 정치학
최고의 집, 최고의 부자
세입자님, 월세 좀 올려도 될까요?
더불어 사는 길-부동산 민주주의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
알기쉬운 석면피해 보상

도서명 : 알기쉬운 석면피해 보상
저자/출판사 : 문웅 , 박성훈 , 이소민, 매일노동뉴스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4-09-16
ISBN : 9788997205264
정가 : 20000
1장. 1급 발암물질 석면
Ⅰ. 석면의 정의 / 10
Ⅱ. 석면의 분류(광물성 섬유) / 11
Ⅲ. 석면제품 / 15
Ⅳ. 석면의 위험성 / 17
Ⅴ. 석면규제의 역사 / 29
2장. 직업성 석면노출과 피해사례
Ⅰ. 제조업자에서 발생한 석면노출 / 34
Ⅱ. 보일러공 및 정비공에서 발생한 석면노출 / 49
Ⅲ. 용접공에서 발생한 석면노출 / 59
Ⅳ. 건설업 및 주물공장에서의 석면노출 / 67
Ⅴ. 조선소, 석유화학단지에서의 석면노출 / 78
Ⅵ. 그 밖의 피해사례 / 86
3장. 환경성 석면노출과 피해사례
Ⅰ. 채광 및 폐광과정에서의 환경성 석면노출 / 92
Ⅱ. 제조과정에서의 환경성 석면노출 / 98
Ⅲ. 사용과정에서의 환경성 석면노출 / 101
Ⅳ. 폐기과정에서의 환경성 석면노출 / 108
4장. 석면피해에 대한 법적구제방법
Ⅰ. 직업성 노출과 석면피해구제 / 144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급여청구
2. 석면피해구제법상 급여청구
3. 공무원연금법상 급여청구
4. 채무불이행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5.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Ⅱ. 환경성 노출과 석면피해구제 / 122
1. 석면피해구제법상 급여청구
2.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3. 제조물책임법 적용 여부
Ⅲ. 각 청구권의 관계(조정과 대위문제) / 136
5장. 국내의 석면피해 인정사례
Ⅰ. 들어가며 / 140
Ⅱ. 직업성 노출과 석면피해 인정현황 / 141
Ⅲ. 환경성 노출과 석면피해 인정현황 / 148
Ⅳ. 국내의 석면피해 소송사례 / 178
6장. 외국의 석면피해에 대한 법적구제와 시사점
Ⅰ. 문제제기 / 222
Ⅱ. 세계 각국의 석면에 관한 흐름 / 223
Ⅲ. 프랑스의 석면피해보상기금(FIVA) / 226
Ⅳ. 일본의 석면피해구제법 / 228
Ⅴ. 프랑스와 일본의 석면피해구제 비교 / 234
Ⅵ. 시사점 / 234
구비서류 / 23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