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을 키워주고 만병을 다스리는 약초민간요법 또는 하룻밤에 읽는 경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면역력을 키워주고 만병을 다스리는 약초민간요법 또는 하룻밤에 읽는 경제

로즈
2025-04-28 10:48 5 0

본문




면역력을 키워주고 만병을 다스리는 약초민간요법
9788987077451.jpg


도서명 : 면역력을 키워주고 만병을 다스리는 약초민간요법
저자/출판사 : 안영민, 으뜸사
쪽수 : 330쪽
출판일 : 2013-10-15
ISBN : 9788987077451
정가 : 15000

1. 감기 기운, 감기에 걸렸을 때
감기 기운이 보였을 때의 초기 요법
목이 아플 때, 기침이 멈추지 않을 때, 가래가 나올 때의 감기 치료법

2. 위장, 간장 등 소화기 이상
위가 약할 ?, 위가 더부룩할 때, 메슥거릴 때, 위궤양 증상, 위경련 등의 치료법
설사, 변비, 복통, 치질 등과 충수염(맹장염)의 응급처치
간장병이나 황달, 결석의 치료법

3.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빈혈 등 순환기의 이상
고혈압, 동맥경화, 뇌일혈의 경우
심장병에 걸렸을 때
저혈압이나 빈혈일 때

4. 외상, 타박상, 염좌, 화상 등의 이상
칼에 벤 상처나 찔린 상처, 찰상, 가시에 찔렸거나, 벌레나 뱀 등에 물렸을 때
화상을 입었을 때(경증)
타박상, 관절을 삐었을 때

5. 무좀, 사마귀, 두드러기 등 피부의 이상
무좀일 때
습진이나 두러기일 때
종기, 여드름, 검버섯, 주근깨, 두드러기, 거칠어진 피부, 티눈에
홍색습진, 농가진, 사마귀, 표저 등 번지기 쉬운 피부병일 때

6. 신경장애, 당뇨병, 어깨결림, 요통 등의 증상
노이로제나 불면증, 히스테리나 신경과민증일 때
신경통, 관절염이나 류머티즘, 통풍, 편두통, 어깨결림, 50대에 흔한 견비통, 그리고 요통이나 갑작스런 허리 디스크가 되었을 때
당뇨병에 걸렸을 때

7. 천식 따위의 증상이나 어린이가 걸리기 쉬운 병

8. 신장병, 방광염, 전립선비대증이나 정력 감퇴 등의 증상
신장병에 걸렸을 때
방광염이나 요도염에 걸렸을 때
전립선비대증이나 정력 감퇴가 되었을 때

9. 눈, 귀, 코, 입이나 목구멍, 치통 등의 이상
눈에 이상이 생겼을 때
귀에 이상이 생겼을 때
코에 이상이 생겼을 때
입이나 목구멍에 이상이 생겼을 때
치아에 이상이 생겼을 때

10. 부인병, 그 외 일반적인 증상
부인병, 여성이기 때문에 생기는 이상에
일상적으로 일어나기 쉬운 이상

11. 건강 증진, 자양을 위해서




하룻밤에 읽는 경제
9788992920933.jpg


도서명 : 하룻밤에 읽는 경제
저자/출판사 : 장순욱, 페이퍼로드
쪽수 : 360쪽
출판일 : 2013-11-18
ISBN : 9788992920933
정가 : 15800

■ 서론 손바닥 위에 펼쳐보는 경제 이야기 속으로 4

1 경제의 기본 문제 - 일상에서 사회체제까지

모든 곳이 시장이다 17
재화와 서비스, 그리고 시장 | 상품이 된 것들, 상품이 될 수 없는 것들
살림살이는 왜 나아지지 않을까? 20
경제학으로 배울 수 있는 것 | 그래도 풍요롭지 않은 사회
이기적인 사람들의 평화로운 시장 24
시장의 두 수레바퀴, 이기심과 ‘보이지 않는 손 | 시장에 대해 무엇을 하려고 하지 마라? |
시장의 배신
보이는 손을 흔드는 사회주의 29
마르크스, 시장의 대안을 제시하다 | 사회주의의 몰락과 원인
꿩 먹고 알 먹는 수정자본주의의 청사진 34
복지국가의 등장 | 복지국가를 병들게 하는 것
복지병을 치유하는 열쇠는? 39
신자유주의 정책 | 덜컹거리는 신자유주의 | 신자유주의의 몰락과 대안
국민 경제를 이끄는 3대 주체 43
경제의 주체 | 경제의 육하원칙

2 일상에서 만나는 경제 - 생활 곳곳에 숨은 경제 이야기

노약자석이 필요한 이유는 뭘까? 49
효용의 극대화 |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세일 기간에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는? 53
가격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 | 유행에 따른 수요량의 증가 | 남는 장사에 몰리는 공급량
누구도 손해를 보지 않는 쇼핑은 가능할까? 58
균형점을 지향하는 시장경제 | 시장가격의 형성
맛집에 몰린 손님을 다 받을 수 없는 이유는? 26
수요에 따른 공급의 변화 | 공급에 따른 수요의 변화
국민이 전기요금 인상을 반대하는 이유는? 65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 | 가격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돈 버는 장사와 돈 버리는 장사의 차이점 96
소비자 잉여 | 생산자 잉여 -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 법칙
편의점과 마트가 공존할 수 있는 이유는? 73
가격과 효용 | 합리적인 경제학, 비합리적인 인간
소주 가격이 오르면 맥주 회사가 웃는다? 76
대체재와 보완재 | 대체재와 보완재를 이용한 마케팅 | 대체재와 보완재의 유동성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춤을 춘다? 80
인플레이션과 화폐의 가치 | 음모론과 빈익빈 부익부 현상 |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더 싸게 살 수 있는 때를 노린다 84
디플레이션의 원리 | 총체적 난국, 스태그플레이션 |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
영화가 너무 지루할 때, 당신의 선택은? 88
선택과 기회비용 | 매몰비용의 함정
경제의 흥망성쇠, 경기는 네 구간을 순환한다 92
경기 순환의 네 가지 국면 |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카드 결제를 환영하지 않는 사람들 97
지하경제의 정의 | 현금으로 이뤄지는 지하경제

3 화폐의 역사와 미래 - 돈은 어떻게 경제를 움직이는가

돈의 탄생과 이동 경로 103
화폐 발행의 원리 | 하이퍼인플레이션 발발 | 유로화에 감춰진 비밀
돌고 도는 돈의 종류 107
화폐의 기능 | 다양한 화폐의 종류
부가 정보 - 뱅크런이란?
돈의 위력, 꼬리가 몸통을 흔들다 12
금융시장의 형성 |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원칙
부가 정보 -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원인과 확산 과정
돈을 버는 사람과 돈을 지키는 사람 116
금융시장의 종류 | 이자에 이자를 더하는 복리
롱타임보다 숏타임이 좋다? 120
단기금융시장의 상품들
금융시장의 흐름을 한눈에 보여주는 것은? 123
기업의 단기금융상품
대출은 천사일까, 악마일까? 127
대출의 원리 | 대출과 금리
돈을 빌리려면 이것이 필요하다 131
담보와 신용 대출 | 동산 담보 대출
계약금만으로 돈을 번다? 135
선물 투자의 원리 | 권리를 사고파는 시장, 옵션 거래

4 가계와 소비의 경제학 - 먹고사는 것이 경제다

상인이 100원을 깎아줄 수 없는 이유는? 141
에누리의 경제 | 현금 지불과 카드 지불의 차이
부가 정보 - 다양한 가격 결정 방식
세일 제품의 가격에는 숫자 9가 많다? 145
왼쪽 자리 효과 | 가격 책정의 비밀
양복을 사면 넥타이도 사게 되는 까닭은? 148
상점에서 구매를 유도하는 방법 | 제품의 특성에 따른 할인 | 대형 마트의 상술
소비자는 중간 가격에 끌린다? 152
상대적 심리 전략 | 중간 가격 효과
명품은 허영심을 먹고 자란다 155
베블렌 효과 | 이동하는 명품의 기준
부가 정보 - 백화점의 과학적 상술 들여다보기
소비의 시대에 드리운 그림자 159
절약의 미덕에서 소비의 미덕으로 | 소비 문화에 대한 비판
부가 정보 - 소비의 위기에 대처하는 자세
나의 소비 성향은 어느 쪽일까? 163
다양한 기준에 따른 소비자 유형
화성에서 온 지갑, 금성에서 온 지갑 167
남성과 여성의 소비 패턴
부가 정보 - 혈액형에 따른 소비 유형
나는 중산층일까? 170
중산층의 범위 | 가처분소득
부가 정보 - 부자 아빠와 가난한 아빠의 차이, 엥겔 지수
내 집 마련의 꿈, 이루어질까? 175
주택 공급, 현실과 이상의 괴리 | 주택 가격의 폭등과 폭락

5 기업의 운영 원리 - 거대한 경제가 움직인다

주주총회를 여는 사람들 181
주식회사의 구성 | 주식회사의 운영 | 다양한 주식의 종류
코스닥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나? 185
증권 거래소의 운영 원리 | 상장과 상장 폐지의 절차
주식시장은 오로지 숫자로 말한다 189
주가지수 작성 | 주가의 상승과 하락 요인
무료 혹은 유료로 발행되는 주식 193
주식 발행을 통한 자본 확보, 유상증자 | 자본잉여금의 주식 전환, 무상증자
1년 키운 주식도 추수는 하루에 한다 197
배당 이후에 찾아오는 배당락 | 무상증자에 의한 권리락
보험회사는 돈 벌면 불법이다? 200
칼 같이 좌우 균형 맞추는 수지 상등의 원칙 | 개살구시장의 역선택
두 회사가 한 몸이 되면 얻을 수 있는 것은? 024
두 기업이 하나로 뭉치는 인수·합병 | 지주회사의 목적
기업의 속살, 재무제표로 엿본다 208
기업 상태를 한눈에, 재무제표 | 재무제표의 종류
기업의 성적표, 이렇게 분석한다 212
기업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부채비율 | 자기자본비율이 높아지면 재무 건전성도 양호
남는 장사를 해야 산다 215
영업이익률 | 자기자본이익률과 총자산순이익률 | 주당순이익과 주가수익배율
기업의 또 다른 자금줄, 채권과 대출 218
회사가 발행하는 회사채 | 국가가 발행하는 국채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자본 조달
채권 발행은 아무나 하나? 222
신용 평가 기관과 신용 등급 | 글로벌 신용 평가 기관
채권인지, 주식인지 정체를 밝혀라 225
주식과 연계된 채권들 | 주식 연계 채권의 사례
부가 정보 - 어음, 어음할인, 약속어음, 융통어음
영리와 공익,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기업들 229
확산되는 사회적 기업 | 걸음마 단계의 협동조합
모든 회사는 언젠가 사라진다 233
부도의 절차 | 법정 관리 제도

6 정부의 역할과 개입의 한계 - 정부와 시장의 치열한 심리전

정부는 경제에 어떻게 기여할까 239
공공재의 공급 | 공공재의 두 가지 특성
시장을 내버려두면 실패한다 243
독과점의 관리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247
정부 주도의 경제개발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국가 주도 경제의 한계
국가 경제에도 성적표가 있다 253
GDP의 정의와 GNP의 정의 | GDP를 보완하는 GNI
부가 정보 - GDP 계산법
한국의 성장은 2050년에 멈춘다? 258
잠재성장률의 정의와 향상 방법 |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
정부는 돈의 수도꼭지를 쥐고 있다 262
경기순환과 기준 금리 | 금리 인상과 금리 인하
유동성 함정, 장기 불황을 부르다 266
금리 인하와 유동성 함정 | 일본의 장기 불황과 제로 금리 시대
죽어가는 경제를 위한 처방전 270
정부의 재정 정책 | 재정 정책의 취약점 | 낙수효과
완전고용의 꿈과 비정규직의 한숨 275
완전고용과 실업률 | 실업률의 집계 | 한국의 실업률과 경제활동인구
체감 물가는 오르는데, 통계 수치는 그대로? 280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 정부의 시장 개입과 풍선효과
대기업이 왕좌를 지키는 법 284
대기업의 계열사 거래와 순환 출자 | 출자총액제한제도와 금산 분리의 원칙
인간으로서 누려야 하는 최소한의 생활이란? 288
현대 국가의 사회복지 | 사회보험제도와 4대 보험 | 빈곤층의 생활 보장, 공적부조 |
사회적 약자에 대한 서비스, 사회복지 그리고 보편적 복지
때로는 정부가 경제를 망친다 293
정부 실패의 이유 : 지나친 기대와 자원 낭비 | 정부 실패의 이유 : 관료제와 포퓰리즘
국가도 국민도 민감한 ‘세금’ 296
직접세와 간접세 | 개별소비세와 관세

7 세계경제의 생태계 - 세계경제는 어디로 흘러갈까

세계경제를 뒤흔드는 환율 변동 303
환율의 평가절상과 평가절하 | 환율의 수요와 공급, 그리고 전쟁
빚쟁이 미국이 떵떵거릴 수 있는 이유 307
기축통화의 정의 | 기축통화의 역사
무역 전쟁의 적색경보가 울린다 310
관세장벽과 비관세장벽 |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보호무역의 빗장을 열다 314
GATT에서 WTO까지, 세계 무역 기구의 출범 | WTO의 ‘최혜국대우’
FTA는 매국일까, 애국일까 318
국가 간의 자유무역협정, FTA
국가 경제가 위험할 때는 119 대신 IMF 321
IMF의 창설 배경 | IMF의 실질적 역할
누가 고양이 목에 토빈세를 달까? 325
투기 자본 잡는 ‘토빈세’ | 각국의 토빈세 법안 추진
무역, 흑자만 계속 나도 위험하다 328
무역수지의 종류 | 무역수지의 균형
다시 한 번 세계의 중심에 도전하는 중국 333
세계 2위로 성장한 중국 경제 | 급격한 성장의 부작용과 앞으로의 노선
아베노믹스, 거품 빠진 일본 경제를 되살려라 337
경제 버블 뒤의 ‘잃어버린 10년’ | 장기 불황의 탈출을 꿈꾸는 ‘아베노믹스’
미국 경제, 영원한 슈퍼 히어로는 없다 341
폭발적 성장 통해 경제 대국으로 도약 | 허구로 끝난 신경제
‘하나의 유럽’,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346
EU의 이름으로 뭉친 유럽 | 돼지들(PIGS)의 위기는 곧 EU의 위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한국은 어느 쪽? 351
개발도상국을 덮치는 위기, ‘중진국의 함정’ | ‘중진국의 함정’, 돌파구는 시장 질서 정립

■ 찾아보기 355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