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삼국유사 또는 의식의 수수께끼를 풀다
로즈
2025-04-28 10:48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삼국유사

도서명 :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삼국유사
저자/출판사 : 일연 (원저), 보물창고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4-12-20
ISBN : 9788961704649
정가 : 15000
1부 삼국유사 그대로 읽기
단군왕검과 고조선
고구려를 세운 주몽
온조와 비류의 백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김수로와 가락국
탈해왕의 지략
김알지
연오랑과 세오녀
미추왕과 댓잎 군사
이차돈
미륵 선화, 미시랑과 진자 스님
도화녀와 비형랑
김유신과 세 신령
원효 대사와 무애가
문무 대왕과 문무왕릉
거센 물결을 잠재우는 피리, 만파식적
백률사와 부례랑
조신의 꿈
용을 굴복시킨 혜통 스님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안민가와 찬기파랑가
월명사의 도솔가
계집종 욱면의 염불
김대성과 불국사
신무 대왕, 염장, 궁파
경문 대왕 이야기
처용랑과 망해사
진성 여왕과 거타지
중생사의 관세음보살
경순왕과 마의태자
2부 삼국유사 새로 읽기
그리움은 바다 건너
보희가 깨달은 것
사랑은 죽음을 넘어
나의 길을 가련다
설화에 서린 꿈
머리글
해설
우리나라 고대사 연표
의식의 수수께끼를 풀다

도서명 : 의식의 수수께끼를 풀다
저자/출판사 : 대니얼 데닛, 옥당
쪽수 : 652쪽
출판일 : 2013-10-07
ISBN : 9788993952506
정가 : 30000
·감수의 글_ 의식에 관한 과학도 가능한가?
·옮긴이의 글_ 우리가 보고 느끼는 것이 모두 사실일까?
글을 시작하며 마음은 뇌가 만들어낸 가상현실 또는 환상
통 속의 뇌 | 뇌 속의 장난꾸러기 | 정신분석 파티 게임 | 이 책에서 우리가 만나게 될 것들
1부 의식의 문제에 접근하다
1장 의식에 관한 해명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 | 의식의 신비 | 뇌를 움직이는 ‘정신 질료’ | 이원론의 치명적 오류 | 의식을 설명하는 기본 원칙
2장 현상학의 정원에 방문하다
현상학의 정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외부 세계의 경험 | 내면세계의 경험 | 정서적 경험
3장 3인칭적 과학 방법론
1인칭 복수, 과도한 일반화의 오류 | 3인칭 시점, 마음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다 | 타자현상학이란 무엇인가? | 허구 세계와 타자현상학적 세계 | 타자현상학자의 전략, 중립성 | 그는 무슨 말을 하려는 것일까? | 시각 체계를 갖춘 로봇, ‘셰이키’ | 셰이키는 어떻게 이미지를 구별할까? | 타자현상학, 현상학을 설명하는 중립적 방법
2부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다
4장 데카르트 극장을 넘어 다중원고 모형으로
관찰자 시점 | 뇌 안의 ‘관찰자’는 없다 | 신래퍼곡선, 의식을 설명하다 | 다중원고 모형, 무엇이 다른가? | 오웰식 ‘기억 수정’인가, 스탈린식 ‘여론 조작’인가? | 색채 파이 현상으로 본 두 이론 | 굿맨의 ‘시간을 역행한 투사’ | 현상학적 공간으로의 투사 | 다중원고 모형 실행
5장 다중원고 모형을 뒷받침하는 몇 가지 이론
왜 기술적인 이해가 필요한가? | 메타대조 현상과 피부에서 뛰는 토끼 | 뇌는 어떻게 시간을 표상하는가? | 표상의 타이밍 | 리벳의 ‘시간의 역참조’ | 리벳과 처칠랜드의 논쟁 | 의식적 의지의 주관적 지연에 관한 리벳의 주장 | 월터의 사전 인지적 슬라이드 환등기 | 아직 남아 있는 의문
6장 의식은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의식의 블랙박스 안 | 진화의 초기 단계 | 미래를 만드는 새롭고 더 좋은 방식 | 신경계 가소성의 출현 | 뇌의 진화와 볼드윈 효과 | 인간 뇌의 가소성과 진화 | 뇌의 표상 능력 | 인지적 조직력을 높이는 다양한 자기 자극 | 제3의 진화 과정, 밈과 문화적 진화 | 밈, 인간의 뇌를 바꾸다 | 의식의 밈 | 인간의 의식과 가상 기계 | 마음의 습관과 인간 구조의 발달
7장 언어가 우리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의미는 어디에서 오는가? | 레벨트의 관료제 모형 | 단어 도깨비들의 복마전 | 말이 스스로 말하기 원할 때 | 내 말은 나의 의식을 반영할까? | 언어 행동 생성에 관한 남은 과제
8장 인간 마음의 구조를 보다
의식 연구에서 마주치는 논란들 | 실마리 개요로 방향 잡기 | 액트 스타와 소어의 기본 구조 | 전역 작업 공간과 뇌의 다중 기능성 | 조이스식 기계의 힘 | 의식 이론으로서 본격적인 출발선에 서다
3부 철학적 문제에 답하다
9장 보는 것과 말하는 것
마음의 눈으로 본다는 것 | 앞을 못 보는 사람들의 시각화 | 시각화를 위한 뇌의 해결책 | 말, 그림, 그리고 생각 | 보고하기와 표현하기 | 좀비와 짐보, 그리고 사용자 착각 | 통속심리학의 문제
10장 목격자 보호 프로그램 해체하기
데카르트 극장의 환상을 넘어서라 | 맹점과 암점 | 타자현상학으로 본 맹시 현상 | 골무를 숨겨라, 의식 고취 연습 | 보조 시각으로는 채울 수 없는 것 | ‘채워 넣기’ 대 ‘발견하기’ | 뇌가 맹점을 채우는 방식 | 인식적 욕구 상실이 불러오는 무시증 | 가상 현존 | 보는 것이 믿는 것, 오토와의 대화
11장 감각질은 없다
색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 왜 색깔이 있는가? | 제2성질과 준거 집합 | 우리의 경험 즐기기 | 철학적 환상, 전도된 감각질 | 감각질을 이해하는 몇 가지 사고 실험 | 색채를 본 적이 없는 색채 과학자, 메리 | 부수현상적 감각질? | 내 흔들의자로 돌아가서
12장 자아의 현실
인간은 어떻게 자아를 만드는가? | 한 사람에게는 하나의 자아만 존재하는가? | 분리뇌 환자를 통해 본 자아의 의미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13장 상상한 의식
의식 있는 로봇 상상하기 | 설의 ‘중국어 방’ 사고 실험 | 우리가 박쥐의 의식에 접근할 수 있을까? | 언어 없이 피조물을 이해한다는 것 | 신경 쓰는 일과 중요한 일 | 의식을 설명해치우다?
·부록
1_ 철학자의 의문을 풀어줄 몇 가지 설명
2_ 과학자의 의문을 풀어줄 몇 가지 아이디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