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배려의 인문학 또는 요동지역의 고구려산성. 2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자기배려의 인문학 또는 요동지역의 고구려산성. 2

로즈
2025-04-28 10:48 4 0

본문




자기배려의 인문학
9788997969357.jpg


도서명 : 자기배려의 인문학
저자/출판사 : 강민혁, 북드라망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4-07-25
ISBN : 9788997969357
정가 : 15000

다시 시작하기 위한 서문

1부 철학 창구

1-1장 자기배려와 철학, 현재의 자신을 넘어서기 : 소크라테스,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논박 : 자기 자신에 대해 마음 쓰기 / 해방의 철학 : 죽음의 수련과 삶의 기술 / 에로스 : 현재의 자신을 넘어서기
1-2장 자기배려와 공부, 지금 있는 곳을 떠나기 : 세네카
공부라는 통념에 빠지다 / 공부는 떠나는 것이다
1-3장 자기배려와 우정, 자기 없는 자기로 존재하기 : 에피쿠로스, 키케로, 세네카
에피쿠로스 : 바람직한 우정과 유용한 우정 / 키케로 : 보편적인 우정과 탁월한 우정 / 세네카 : 자기 없는 자기, 우정의 정치
1-4장 자기배려와 사랑, 진리로 함께 날아오르기 : 플라톤, 에픽테토스
알키비아데스, 사랑이 떠나다 / 파이드로스, 새로운 사랑에 눈뜨다 / 사랑은 진실을 둘러싼 게임이다
1-5장 자기배려와 진실, 주체를 변형시키는 운동 : 플라톤
쟁론술 : 모순으로 ‘상대’를 무너뜨리다 / 연설술 : 현혹으로 ‘상대’를 무너뜨리다 / 문답법 : 아포리아로 ‘내’가 무너지다
1-6장 자기배려, 저항하는 주체의 생성 ? 나는 나에게 저항한다 : 미셸 푸코
푸코의 질문 : 주체의 문제 / 푸코의 아포리아 : 저항의 문제 / 푸코의 돌파 : ‘자기’의 문제

2부 문학 창구
2-1장 별일 없이 산다, 복수한다 : 루쉰(1)
이중투쟁 : 안팎의 식인들과 싸우다 / ‘나’와의 싸움 : 내가 나를 무너뜨리다 / 침묵의 싸움 : 적 스스로 무너지다
2-2장 별일 없이 산다, 혁명한다 : 루쉰(2)
쇠철방의 아Q, 길 잃은 사람들 / 회귀, 항상 성공하지 못하는 혁명 / 일상적 혁명, 혁명적 일상 / 삶, 죽음을 끌어안고 가다
2-3장 구경하지 말고, 달려라! : 루쉰(3)
영원한 실패, 영원한 승리? / 매 순간 극한을 달려라!
2-4장 소세키를 넘어선 소세키 : 나쓰메 소세키(1)
신경쇠약을 만드는 세계 / 자기본위, 해체의 다른 이름 / ‘자기’, 새로운 자연의 세계
2-5장 소세키를 넘어선 소세키 : 나쓰메 소세키(2)
아이러니한 자기본위의 세계 / 자기본위가 만든 삶의 해방구 / 소세키를 넘어선 소세키
2-6장 능동성, 망각과 기억의 드라마 : 나쓰메 소세키와 니체
망각의 역량 : 과거는 반드시 잊는다 / 기억의 역량 : 미래는 절대 잊지 않는다 / 능동적 인간 : 끝까지 갈 수 있다
2-7장 사이의 길, 평등과 차이의 드라마 : 연암 박지원
길은 사이에 있다 / 소경의 평등안 : 사이는 평등이다 / 법고창신 : 사이는 차이다 / 백이론 : 사이는 드라마다 / 변신과 명심, 자신의 길을 가다

3부 글쓰기 창구
3-1장 나는 왜 글을 쓰는가?
글읽기, 새로운 대륙으로 이끌다 / 글쓰기, 사유의 집을 만들다 / 또 다른 생, 글은 홀로 살아간다
3-2장 글쓰기, 자유를 넘어선 자유
글쓰기의 효용적 가치들 / 글쓰기의 재현적 기능들 / 글쓰기를 위한 나의 반격 / 자유를 넘어선 자유
3-3장 글이 만든 삶, 삶을 불러온 운명 : 마조흐, 들뢰즈, 에픽테토스
글이 삶을 만든다 / 운명, 일어나는 대로 일어나기를

부록 인물 이야기, 책 이야기
수많은 푸코들로 가는 기이한 출발 ?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
혁명을 ‘혁명’한 아웃사이더, 20세기 정치 지형을 바꾸다 ? 꿈꾸는 혁명가, 레닌
길이 끝난 곳에서 운명은 시작되고 ? 프란츠 카프카의 「학술원에의 보고」
부처의 출발은 ‘부처’다 ? 선종의 종조, 육조 혜능




요동지역의 고구려산성. 2
9788926839928.jpg


도서명 : 요동지역의 고구려산성. 2
저자/출판사 : 윤병모, 한국학술정보
쪽수 : 475쪽
출판일 : 2013-01-01
ISBN : 9788926839928
정가 : 49000

머리말
일러두기
요동지역의 고구려산성

제12장 연주성산성(燕州城山城)
제13장 낭낭성산성(娘娘城山城)
제14장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
제15장 석대자산성(石臺子山城)
제16장 고이산산성(高爾山山城)
제17장 철배산성(鐵背山城)
제18장 오룡산성(五龍山城)
제19장 최진보산성(催陳堡山城)
제20장 삼송산성(杉松山城)
제21장 태자성산성(太子城山城)
제22장 고검지산성(高儉地山城)
제23장 흑구산성(黑溝山城)
제24장 패왕조산성(覇王朝山城)
제25장 남산성(南山城)
제26장 서풍 성자산산성(西豊 城子山山城)
제27장 나통산성(羅通山城)
제28장 성지산산성(城址山山城)
제29장 휘발성(輝發城)
제30장 용담산산성(龍潭山山城)
제31장 요동지역의 기타 제성(遼東地域의 其他 諸城)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