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석불의 조형과 정신 또는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고려 석불의 조형과 정신 또는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로즈
2025-04-28 10:48 4 0

본문




고려 석불의 조형과 정신
9788994781143.jpg


도서명 : 고려 석불의 조형과 정신
저자/출판사 : 김진숙, 참글세상
쪽수 : 300쪽
출판일 : 2013-06-10
ISBN : 9788994781143
정가 : 18000

머리말ㆍ5
서 론ㆍ17

제1장 불교의 수용과 재래 신앙
불교의 수용과 전개ㆍ23

제2장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조각
1. 삼국시대의 불교 조각ㆍ37
2.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조각ㆍ43
(1) 삼국, 특히 백제의 전통이 엿보이는 작례ㆍ44 ㅣ (2) 인도풍이 엿
보이는 작례ㆍ45 ㅣ (3) 당풍(唐風)이 엿보이는 작례ㆍ55 ㅣ (4) 석굴
암 본존과 그 영향이 보이는 작례ㆍ61
3.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마애불ㆍ74
(1) 마애불의 조성 배경ㆍ74 ㅣ (2) 마애불의 조각 기법ㆍ85 ㅣ (3)
마애불의 표현 방법ㆍ98

제3장 고려시대의 불교 조각
1. 고려시대의 사회와 불교ㆍ109
(1) 고려와 중국과의 관계ㆍ111
(2) 비보사탑설ㆍ113
(3) 팔관재회ㆍ115
2. 고려시대의 철불ㆍ117
(1) 석굴암 본존의 영향력이 강하게 엿보이는 작례ㆍ118
(2) 석굴암 본존의 영향력이 약하게 엿보이는 작례ㆍ120
3. 고려시대의 석불ㆍ126
(1) 조소적 표현을 지향한 작례ㆍ128
(2) 자연의 암석을 존중한 작례ㆍ138
1) 바위 표면에 평면 가공을 한 마애불의 작례ㆍ139
2) 바위의 자연스런 면을 살린 마애불의 작례ㆍ165
3) 두부에 별석을 더한 마애불의 작례ㆍ188
4) 자연석의 모양을 살린 환조의 작례ㆍ204
(3) 고려 석불의 바위와 상과의 관계ㆍ238
1) 고려 석불의 석재관(石材觀)ㆍ238
2) 조성 원의(願意)의 표현과 결과ㆍ244

제4장 맺음말
부록ㆍ261
표1 입중국유학승ㆍ262
표2 불상 관계의 문헌 기록ㆍ273
ㆍ 문헌에서 본 출현하는 불상ㆍ탑ㆍ277
ㆍ 영산(靈山) 영석(靈石)에 관한 기록ㆍ279
참고 문헌ㆍ280
도판 목록ㆍ289
찾아보기ㆍ295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9788976824066.jpg


도서명 :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저자/출판사 : 박찬국, 그린비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3-09-25
ISBN : 9788976824066
정가 : 15000

책머리에

1부 지금 왜 하이데거인가?

1. 고향상실의 시대
2. 고향상실과 하이데거의 존재물음

2부 존재물음과 불안에의 용기: 초기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1. 『존재와 시간』의 저술과 프라이부르크 대학 정교수가 될 때까지
하이데거 철학의 모태, 메스키르히
수업시대
사강사 시절에서 프라이부르크 대학 정교수가 될 때까지
2.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초기 사상
『존재와 시간』: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실존으로서의 인간
세상 사람과 비본래적인 실존
세계-내-존재로서의 인간
세계와 존재자의 근원적인 개현
근본기분과 세계의 근원적인 개현
불안과 죽음에의 용기
죽음과 무 그리고 존재
양심의 소리
시간성: 현존재의 존재의미
영원의 경험과 순간
존재와 시간 그리고 전통형이상학의 해체
우상숭배의 파괴와 철학의 과제

3부 나치혁명의 소용돌이에서: 사상적 전회 이후(1930년)부터 독일 패전까지의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1. 나치참여 이후부터 독일 패전까지
하이데거의 나치참여가 갖는 성격
나치참여의 역사적 배경과 동기
나치참여 행적
총장직 사퇴의 전말
기술문명·나치즘과의 사상적 대결
독일 패전 후의 시련 속에서
2. 현대기술문명과의 대결: 사상적 전회 이후부터 독일 패전까지의 하이데거의 사상
그리스철학에서부터 기술시대까지의 존재의 역사
현대기술문명의 위기
현대기술문명의 본질적 특성들
현대기술문명의 극복과 하이데거의 존재물음
존재의 역운(歷運) 그리고 철학과 시의 의미
예술의 본질에 대해서

4부 소박한 자연과 사물에로의 귀환: 대학에 복귀한 후부터 서거(逝去)까지의 생애와 사상
1. 대학에 복귀한 후부터 서거까지
2. 말년의 사상: 소박한 자연과 사물에로의 귀환
사방과 사물
존재와 시
시어와 정보언어
들길의 소리
하이데거 사상에 대한 오해의 비판적 검토

5부 하이데거와 동양사상
1. 하이데거와 동양사상의 대화
2. 하이데거와 불교 그리고 노장
깊은 권태와 불안 그리고 무상함
존재와 공(空) 그리고 도: 방념과 무심 그리고 좌망

맺으면서: 하이데거 철학의 의의

용어 해설
하이데거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