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슈 내일도 같이 놀아줘 또는 스마트러닝 디지털교과서 사업 실태와 전망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슈슈 내일도 같이 놀아줘 또는 스마트러닝 디지털교과서 사업 실태와 전망

로즈
2025-04-28 10:48 3 0

본문




슈슈 내일도 같이 놀아줘
9788992533461.jpg


도서명 : 슈슈 내일도 같이 놀아줘
저자/출판사 : 이시우, 황금시간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3-03-08
ISBN : 9788992533461
정가 : 13800

프롤로그

중국 CHINA
#1 길 위의 인생이 늘 그렇듯
#2 그 큰 산을 흙 한 번 밟지 않고
#3 시안, 중국의 천년고도
#4 지도 밖으로 나온 방랑자
#5 이렇게 된 이상 유럽으로 간다

카자흐스탄 KAZAKHSTAN
#6 육로로 국경을 건너다
#7 알마티에는 귀인이 있다
#8 노인과 바다

아제르바이잔 AZERBAIJAN
#9 풍찬노숙의 시작
#10 뜨거운 여름, 조용한 거리

조지아 GEORGIA
#11 아카시아 바람이 부는 나라
#12 레네, 여름 이야기
#13 산과 강 사이 산골 소년
#14 이 남자가 자는 방법
#15 시간을 되돌리는 마을
#16 한국인 덤과 조지안 더머

터키ㆍ그리스 TURKEYㆍGREECE
#17 씽씽이의 탄생
#18 천국의 아이들
#19 웃으며 만나고 웃으며 헤어진다
#20 스타워즈와 개구쟁이 스머프의 무대
#21 보석처럼 빛나는 육지 속 바다
#22 하얀 나라 하얀 성
#23 아름답고 불친절한 섬
#23.5 첫사랑을 기억하나요?
#24 여행을 다시 생각하는 시간
#25 별이 빛나는 밤, 이스탄불

이란 IRAN
#26 햇빛 자르는 아이
#27 마지막 밤

에필로그




스마트러닝 디지털교과서 사업 실태와 전망
9788993294934.jpg


도서명 : 스마트러닝 디지털교과서 사업 실태와 전망
저자/출판사 : 데이코산업연구소, 데이코
쪽수 : 382쪽
출판일 : 2013-02-21
ISBN : 9788993294934
정가 : 300000

Ⅰ. 정부의 스마트교육 육성 정책동향 21
1. 스마트교육 육성 정책 21
1-1. 개요 21
1) 스마트교육 개념과 교육환경 21
(1) 스마트교육의 개념 21
(2) 21세기 학습자의 역량 및 특징 22
(3) 학교의 교육정보화 인프라 현황 23
(4) 학생의 ICT 역량 현황 24
(5) 2011년도 이러닝지원센터 운영 현황 25
(6) 클라우드 교육 서비스의 개념의 등장 26
(7) PISA 2009 디지털매체읽기검사 성과 26
(8) 세종특별자치시 미래학교 설립 계획 27
(9) 정보통신윤리교육 관련 범부처 추진현황 28
(10) 각국의 미래학교 프로젝트 추진동향 29
2)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주요 추진경과 30
3)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31
(1) 스마트교육의 비전 및 세부 추진과제 32
1-2.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주요 내용 42
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42
(1) 환경 변화 42
(2) 우리 교육의 성과와 과제 44
(3)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 스마트교육 46
2) 비전 및 추진 방향 47
(1) 비전 및 추진과제 47
(2) 추진 방향 48
3) 추진 과제 49
(1)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49
(2) 온라인 수업ㆍ평가 활성화 51
(3) 교육콘텐츠 자유이용 및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 56
(4) 교원의 스마트교육 실천 역량 강화 60
(5) 클라우드 교육 서비스 기반 조성 62
4) 기대 효과 65
5) 추진 체계 및 일정 66
(1) 추진 체계 및 방법 66
(2) 추진 일정 67
(3) 추정 예산 68
2. 스마트캠퍼스 구축계획 70
2-1. 개요 70
1) 추진 배경 70
2) 스마트 캠퍼스의 개념과 모습 71
3) 스마트 캠퍼스 비전 73
2-2. 스마트캠퍼스 구축사업 주요내용 74
1) 스마트 캠퍼스 구축 방안 74
(1) 개별대학의 스마트 캠퍼스 구축 유도 74
(2) 교수-학습 콘텐츠 공동 활용 76
(3) 후진학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선도대학 육성 78
2) 추진 일정 82
2-3. 국내 대학 스마트캠퍼스 사례 83
1) 울산과기대의 역전학습모형(Inverted Learning Model) 83
2) KAIST의 에듀케이션 3.0 프로그램 84
3) KOCW 운영 현황 84
2-4. 국내 대학의 강의 공개 서비스(OCW) 운영 사례 86
1) HOWL(Hanyang Open World for Learning) 86
2) SNOW(Sookmyung Network for Open World) 86
3) SKKOLAR 87
4) Knowledge Korea 87
2-5. 외국 대학의 강의 공개 서비스(OCW) 운영 사례 88
1) MIT OCW 88
2) YouTube EDU 91
3) Academic Earth 92
4) Open Yale 92
5) Stanford Engineering Everywhere (SEE) 93
6) Open University(영국) 93
7)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94
8) Technology, Entertainment, & Design (TED) 95

Ⅱ. 2012년 스마트교육 추진 동향과 성과 99
1. 스마트교육 추진동향 99
1-1. 추진현황 99
1) 개요 99
2) 추진배경 및 목적 100
3) 추진경과 101
4) 2012년 중점 추진방향 103
1-2. 향후계획 108
1) 개요 108
2) 중장기 추진계획 109
2. 스마트북 등 진로교육 콘텐츠 55종 개발 보급 110
3. 주요 스마트교육 관련 업체 현황 115
3-1. 교육 관련 업체 115
1) (주)이퓨쳐 115
2) (주)청담러닝 116
3) (주)비상교육 117
4) (주)능률교육 118
5) (주)디지털대성 119
6) (주)웅진씽크빅 120
7) (주)와이비엠시사닷컴 121
8) 테크빌닷컴(주) 122
9) (주)유비온 123
10) (주)디유넷 124
11) (주)에듀윌 125
12) 아이빛연구소(주) 126
13) (주)케이티이노에듀 127
14) (주)인텔릭 128
3-2. IT 관련 업체 129
1) 삼성전자(주) 129
2) (주)대명엔터프라이즈 130
3) (주)엔씨소프트 131
4) (주)다울소프트 132
5) (주)위지 133
6) (주)중앙아이씨에스 134
7) (주)포씨소프트 135
8) 씨아이씨라이프(주) 136
9) (주)메디오피아테크 137
10) (주)휴넷 138
11) 삼성SDS(주) 139
12) SK C&C(주) 140
13) 이테스트(주) 141
14) 동부CNI(주) 142
15) 레이시스템(주) 143
16) (주)리얼타임테크 144
17) (주)유코리아 145
18) (주)자이닉스 146
19) (주)코테크시스템 147
3-3. 이동통신 관련 업체 148
1) SK텔레콤(주) 148
2) (주)KT 149
3) (주)LG유플러스 150
3-4. 기타 업체 151
1) (주)드래곤플라이 151
2) (주)예림당 152
3) (주)케이티스 153

Ⅲ. 스마트교육관련 기술개발동향과 연구과제 157
1. 2013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 과제중 관련 기술개발과제 157
1-1. 사용자 의도 인지형 멀티모달 brain-machine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157
1) 필요성 157
2) 연구목표 157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58
1-2. 정보기기용 원격 UI 기술 개발 (표준화연계) 159
1) 필요성 159
2) 연구목표 159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61
1-3. 미디어 제작 및 전송 시스템 개발 162
1) 필요성 162
2) 연구목표 162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64
1-4. 웹 오브젝트 기반의 다중 통합촬영 시스템 개발(표준연계) 165
1) 개요 및 필요성 165
2) 연구목표 165
3) 기타사항 166
1-5. 지식공유 및 지능진화가 가능한 엑소브레인 SW 기술 개발 167
1) 필요성 167
2) 연구목표 168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69
1-6. (1세부)휴먼 지식증강 서비스를 위한 지능진화형 Wise QA
플랫폼 기술 개발 170
1) 연구목표 170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72
1-7. (2세부) 빅데이터 이해 기반 자가학습형 지식베이스 및
추론기술 개발 (표준화 연계) 173
1) 연구목표 173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75
1-8. (3-1 세부) Symbolic Approach 기반 인간모사형 자가학습
지능 기술 개발 176
1) 연구목표 176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77
1-9. (3-2세부) Non-symbolic Approach 기반 인간모사형 자가학습
지능 기술개발 178
1) 연구목표 178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79
1-10. (4세부) 자율지능형 지식/기기 협업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180
1) 연구목표 180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82
1-11. 가상 플랫폼 기술 개발 (표준화 연계) 183
1) 필요성 183
2) 연구목표 183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85
1-12. 다수 이용객 중심의 실시간 생체신호 기반 문화콘텐츠
평가기술 개발 186
1) 필요성 186
2) 연구목표 186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87
2. 2012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 과제중 관련 기술개발과제 188
2-1. 잠재 역량 진단을 위한 감정특이점 기반 맞춤형 인지센싱
및 플랫폼 기술개발 188
1) 필요성 188
2) 연구목표 189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89
2-2. 놀이용 인터액션 Smart Big board 개발 190
1) 필요성 190
2) 연구목표 191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92
2-3. 실감 디지털 캔버스 구현을 위한 실제 붓 이미지 입출력
센싱 및 플랫폼 개발 193
1) 필요성 193
2) 연구목표 194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95
3. 스마트교육관련 기존 추진과제 196
3-1.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개요와 동향 196
1) 개념 및 정의 196
2) 연구목표 및 내용 207
(1) 최종 목표 207
(2) 확보기술 내용 207
3) 추진체계 및 연구기간, 연구비 215
(1) 추진체계 215
(2) 연구기간 및 연구비 215
3-2. Edutainment 핵심기술 개요와 동향 216
1) 개념 및 정의 216
2) 연구목표 및 내용 218
(1) 최종 목표 218
(2) 확보기술 내용 219
(3) 연도별 목표 및 내용 220
3) 추진체계 및 연구기간,연구비 225
(1) 추진체계 225
(2) 연구기간 및 연구비 226
3-3. 계획 및 학습 인지모델 프레임워크 개요와 동향 227
1) 개념 및 정의 227
2) 연구목표 및 내용 229
(1) 최종 목표 229
(2) 확보기술 내용 229
(3) 연도별 목표 및 내용 231
3) 추진체계 및 연구기간,연구비 235
(1) 추진체계 235
(2) 연구기간 및 연구비 235

Ⅳ. 부록[참고자료] 239
1.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239
1-1. 추진배경 및 목적 239
1) 추진배경 239
2) 목적 240
1-2. 그간의 교육정보화 및 해외 선진사례 241
1) 그간의 성과 및 반성 241
2) 해외 선진사례 243
3) 시사점 245
1-3.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 SMART교육 247
1-4. 비전 및 추진 방향 249
1-5. 세부 추진 과제 251
1)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252
(1) 추진 목적 252
(2) 추진 현황 및 문제점 253
(3) 추진 체계 255
(4) 추진 전략 255
(5) 추진 내용 256
(6) 성과관리지표 259
(7) 추진일정 260
(8) 소요예산 261
(9) 기대 효과 261
2) 온라인 수업ㆍ평가 활성화 261
(1) 온라인 수업 활성화 261
(2) 온라인 평가 체제 구축 273
3) 교육콘텐츠 자유이용 및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 280
(1) 교육콘텐츠 공공목적 이용 환경 조성 280
(2) 역기능 해소를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 강화 288
4) 교원의 스마트교육 실천 역량 강화 299
5) 클라우드 교육서비스 기반 조성 308
6) 추진체제 조성 323
1-6. 추진일정 및 소요예산 330
1) 추진 일정 330
2) 추정 소요예산(국고, 특별교부금) 331
2. 2012년 교육기본통계 333
2-1. 학교 333
1) 유ㆍ초ㆍ중등 교육기관 333
2) 고등 교육기관 334
2-2. 학생 337
1) 유ㆍ초ㆍ중등 교육기관 337
(1) 학생수 전체 현황 337
(2) 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년별 학생수 339
(3) 일반학교의 특수학급 및 학생 341
2) 고등교육기관 342
(1) 전체 재적학생 수 342
(2) 성별 재적학생 수 343
(3) 입학자 수 344
(4) 휴학생 수 346
(5) 졸업자 수 347
(6) 대학원 학위 취득자 수 348
(7) 외국인 유학생 수 349
2-3. 교원 351
1) 유ㆍ초ㆍ중등 교육기관 351
(1) 교원수 전체 현황 351
(2) 교원수 추이 352
(3) 교원 평균 연령 353
(4) 교원 연령 피라미드 354
(5) 교원의 성별 추이 355
(6) 관리직 여성 교원수 356
(7) 석ㆍ박사 학위 이상 교원수 357
2) 고등교육기관 359
(1) 고등교육기관 전임교원 수 359
(2) 성별 전임교원 수 360
(3) 교원 평균 연령 361
(4) 전임교원의 학위 현황 363
(5) 박사학위 소지 교원의 학위 취득국가 364
(6) 외국인 교원 수 365
2-4. 교육여건 및 교육지표 367
1) 학급당 학생수 367
2) 교원 1인당 학생수 368
3) 학생 1인당 교지면적과 건물면적 369
4)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취학률 추이 370
5) 상급학교로의 진학률 추이 372
6) 고등학교 졸업 후 상황 추이 373
7) 학제별 학업중단률 375
8) 고등학교 원인별 학업중단자수 376
9) 학제별 졸업률 추이 378
10) 고등교육기관 379
(1)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379
(2)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 38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