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또는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의 과학화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또는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의 과학화

로즈
2025-04-28 10:48 6 0

본문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9788950953638.jpg


도서명 :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
저자/출판사 : NEAR재단, 21세기북스
쪽수 : 324쪽
출판일 : 2014-01-13
ISBN : 9788950953638
정가 : 20000

프롤로그 한국경제, 벽을 넘어서_ 정덕구

PART1. 2014년 세계경제 전망과 한국경제의 대응
1. 세계경제 변화에 대응할 우리의 전략은?_ 허경욱
2. 급변하는 세계경제의 흐름과 동북아 경제지형, 무엇이 2014년 한국경제를 위협할 것인가?_ 오정근

PART2. 2014년 한국경제 전망과 단기 경제정책 과제
1. 2014년 한국경제, 호전인가 정체인가?_ 한상완
2. 2014년 우리 경기 활성화 될 수 있을까?
1) 2014년 기업투자 살아날 것인가?_ 한상완
2) 일자리정책에 대한 평가와 과제는 무엇인가?_ 금재호
3. 2014년 올바른 부동산 경기 활성화 대책은 무엇인가?_ 이용만
4. 증가일로의 가계부채, 현실적으로 풀어갈 대책은 무엇인가?_ 오정근
5. 2014년 한국의 통화 및 환율정책 방향은 무엇인가?
1) 일본형 장기 디플레 초기 현상? 2014년 한국의 통화정책 대응전략은 무엇인가?_ 김정식
2) 2014년 환율정책, 어떻게 될 것인가?_ 신민영
6. 2014년 세제 개혁, 다시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_ 이영
7. 고공행진의 생활물가, 안정시킬 대책은 무엇인가?_ 오정근

PART3. 한국경제 구조적 과제, 장기추세선 하락을 우려한다
1. 기로에 선 한국경제: 성장, 고용, 복지의 선순환을 위한 주요 정책 과제_ 임원혁
2. 한국경제 장기추세선 하락 전망, 이대로 둘 것인가?_ 김정식
3. 복지정책 수요 증가와 재정 건전성 확보, 정부의 올바른 선택은 무엇인가?
1) 늘어나는 복지정책 수요와 정부의 올바른 대응은?_ 김용하
2) 2014년 재정정책 방향은?_ 박종규
4. 신성장동력 확보와 창조경제, 그리고 동아시아 부가가치사슬 속 한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1) 신성장동력 확보와 창조경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_ 김주한
2) 시계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동아시아의 부가가치 사슬, 그리고 한국의 역할은?_ 박승록
5. 금융 생태계의 근본적인 결함, 대책은 없나?_ 최공필

에필로그 현실의 벽을 넘으려면 : 정치?정책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높여야_ 정덕구

부록 NEAR재단 주최 "2014 한국경제 전망과 정책 과제" 핵심 5가지 주제에 대한 패널 토론

미주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의 과학화
9788998258108.jpg


도서명 :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의 과학화
저자/출판사 : 미셀 오당, 마더북스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4-05-12
ISBN : 9788998258108
정가 : 13000

작가 서문 | 폭력의 근원을 이해하고 치유할 수 있는 힘, 사랑
한국독자들에게 | 우리는 지금 사랑이 필요한 시대에 살고 있다
역자 서문 | 탄생에 앞서 ‘사랑하는 방법’을 숙고하다
프롤로그 | 모든 것을 바꾸기 위한 시도, 사랑의 과학화

01 선사시대 - 깨지지 않은 거울
02 새끼 오리·양·원숭이에게 배우다
03 사랑의 호르몬과 출산
04 생애 초기 경험과 건강에 관한 연구
05 민족학적 접근법 - 문화 비교
06 생명의 재탄생
07 삶으로서의 성(sexuality)
08 성적 매력
09 낭만적인 사랑의 생리학
10 엄마를 찾아서
11 엄마와 태아의 갈등
12 인간과 동물의 사랑
13 오르가즘, 황홀감, 신비로움
14 모든 것을 초월하는 사랑
15 출산과 기도의 유대관계
16 용서
17 물의 힘
18 분자 생물학에서 바라본 사랑
- 아동주의자의 막간극Ⅰ ㆍ 아기의 눈으로 본 22세기
- 아동주의자의 막간극Ⅱ ㆍ 성공적으로 젖을 먹을 수 있는 12가지 방법
- 언어학적 메모접미사 ㆍ ‘-화(-ation)’에 관하여
19 과학과 전통의 결합
- 아동주의자의 막간극 Ⅲ ㆍ 탄생의 의미를 되찾다
20 호모 에콜로지쿠스 - 생태학적 인간

? 역자 인터뷰 | ‘한 인생의 출발’을 어떻게 볼 것인가 - 임신과 출산, 그리고 육아에 관한 다른 시선
?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