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공룡 대백과 또는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로즈
2025-04-28 10:48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공룡 대백과

도서명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공룡 대백과
저자/출판사 : 이용규 , 한상호 , 박지은, 웅진주니어
쪽수 : 171쪽
출판일 : 2013-05-10
ISBN : 9788901156231
정가 : 20000
「프롤로그」
공룡은 누가 발견했을까? 12
공룡은 어떻게 분류할까? 14
공룡은 왜 멸종했을까? 16
「1장 | 한반도의 공룡」
001 미크로랍토르 20
002 부경고사우루스 24
003 힙실로포돈 28
004 벨로키랍토르 32
005 안킬로사우루스 36
006 친타오사우루스 40
007 카로노사우루스 44
008 타르보사우루스 48
009 테리지노사우루스 52
010 티라노사우루스 56
011 파키케팔로사우루스 60
012 프로토케라톱스 64
013 해남이크누스 70
014 레페노마무스 72
015 틸로사우루스 76
016 네미콜로프테루스 80
「2장 | 세계의 공룡」
017 에오랍토르 84
018 코엘로피시스 86
019 플라테오사우루스 88
020 드리오사우루스 90
021 디플로도쿠스 92
022 메갈로사우루스 94
023 바로사우루스 96
024 브라키오사우루스 98
025 세이스모사우루스 100
026 스테고사우루스 102
027 아파토사우루스 104
028 알로사우루스 106
029 카마라사우루스 108
030 콤프소그나투스 110
031 투오지앙고사우루스 112
032 기가노토사우루스 114
033 기간토랍토르 116
034 데이노니쿠스 118
035 드로마에오사우루스 120
036 마이아사우라 122
037 바가케라톱스 124
038 바리오닉스 126
039 사우롤로푸스 128
040 산퉁고사우루스 130
041 센트로사우루스 132
042 스티라코사우루스 134
043 스피노사우루스 136
044 시노사우롭테릭스 138
045 에드몬토사우루스 140
046 에우오플로케팔루스 142
047 에우헬로푸스 144
048 오비랍토르 146
049 유타랍토르 148
050 이구아노돈 150
051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152
052 카우딥테릭스 154
053 테논토사우루스 156
054 트로오돈 158
055 트리케라톱스 160
056 파라사우롤로푸스 162
057 프시타코사우루스 164
058 람포링쿠스 166
059 케찰코아툴루스 168
060 프테라노돈 170
「에필로그」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생생 화보 174
찾아보기 202
사진 출처 204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도서명 : 미지에서 묻고 경계에서 답하다
저자/출판사 : 고산 , 금태섭 , 김우재 , 김찬주 , 김창규, 사이언스북스
쪽수 : 240쪽
출판일 : 2013-12-26
ISBN : 9788983716552
정가 : 15000
머리말
당신은 미지의 세계에 어떤 응답을 외칠 것인가? ● 국형태 7
1부 삶
불가지라는 이름의 게으름 ● 김창규 15
법률가의 자연 과학 공부 ● 금태섭 25
내 마음속의 3채널 시스템 ● 이정모 33
미지, 경계와 기업가 정신 ● 고산 43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 보기 ● 박상준 51
나는 사라진다, 저 광활한 우주 속으로 ● 이명현 61
2부 우주
우주여행의 한계 ● 채연석 73
외계 생명체의 지구 침공은 가능할까? ● 이강환 83
인간과 우주의 경계: ‘우주 사회학’은 가능한가? ● 안형준 91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한계는?: 중력파와 블랙홀 ● 이창환 103
한계: 그 세 가지 이야기 ● 문홍규 113
3부 인간
여기 존재하는 어떤 경계에 대해 ● 정소연 125
다양성 영화와 상업 영화의 절벽 같은 경계 ● 정지우 133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미지의 나를 만나다 ● 도영임 141
경계의 충돌: 인도주의적 개입 ● 문병철 149
경계의 위험 ● 박성민 157
역사 철학자들의 자연 이해 ● 이정은 167
4부 과학
과학적 미래와 현실과의 괴리 ● 이기진 183
여행에의 초대 ● 이강영 189
통섭의 경계 ● 김우재 201
플랑크 에너지를 넘어서 ● 박성찬 211
재야 과학자들, 그리고 과학과 비과학의 경계 ● 김찬주 219
근대의 신화와 추락하는 인간 ● 황재찬 227
사진 저작권 238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