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그 후, 어떤 코리안 또는 국가는 부유한데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탈북 그 후, 어떤 코리안 또는 국가는 부유한데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탈북 그 후, 어떤 코리안
9788931577648.jpg


도서명 : 탈북 그 후, 어떤 코리안
저자/출판사 : 류종훈, 성안북스
쪽수 : 255쪽
출판일 : 2014-10-10
ISBN : 9788931577648
정가 : 14000

들어가는 글
프롤로그 탈북 1만km, 생사의 갈림길을 넘는 사람들

제1장 유럽 대륙의 탈북자들
영국의 탈북자들, 그들은 왜 다시 난민이 되었는가
뉴몰든의 이방인
탈북의 이유 그리고 탈남의 이유
슬픈 생일
난민의 이름을 얻다
벨기에에서 만난 탈북자들
스스로 브로커가 된 탈북자들
행복은 오래가지 않았다
컴백 투 노스코리아

《인터뷰1》 연세대학교 전우택 교수 인터뷰
“탈북자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것이 바로 통일의 연습입니다”

제2장 탈남하는 탈북 청소년들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셋넷학교
탈남의 경계에 선 아이들
다시 국경을 넘는 아이들

《인터뷰2》 셋넷학교 박상영 교장 인터뷰
“이 아이들은 미리 와 있는 통일 사절단 아닌가요”

제3장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는 탈북자들
아메리칸 드림의 허무한 종말
탈북난민 이국경·홍경화 부부의 죽음
늙은 수컷의 비애
미국의 북한인권법과 아메리칸 드림
아메리칸 드림을 좇는 사람들
세 모녀의 여정이 담긴 식탁
버지니아 시골의 북한 소년
보라엄마의 미국에서 살아남기

제4장 범죄에 노출된 탈북자들
해외 망명을 부추기는 브로커 조직
거대한 시장으로 진화하고 있는 탈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탈북자 사회
불법대출의 굴레에 갇힌 탈북자들
이름을 빌려주고 목돈을 만지다
대출 브로커 그리고 잔인한 대출 서류 뭉치
브로커를 직접 만나다
브로커에게 듣는 장밋빛 미래
중고차 매매시장에서 만난 차량 대출 전문가
캐나다로 몰려드는 탈북자들

제5장 드레스덴의 약속
진솔한 대화의 장, 동서포럼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독트린
지주 괴델리츠는 왜 동서포럼을 만들었나
통일과 함께 잉여가 된 사람들
한국 국회의원들이 동서포럼에 간 까닭

《인터뷰3》 한스 모드로프 인터뷰
“서로를 존중하지 못하면 공동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일에 어려움이 따를 것입니다”

에필로그 통일 이후에 함께 살 사람들

[부록 1] 해외 탈북 난민 설문조사 결과
[부록 2] 반프상 수상 참가기




국가는 부유한데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9788992920926.jpg


도서명 : 국가는 부유한데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저자/출판사 : 메자키 마사아키, 페이퍼로드
쪽수 : 238쪽
출판일 : 2013-11-10
ISBN : 9788992920926
정가 : 13500

저자 한국어판 서문 _5
머리말 _15

서론 - 부에노스아이레스 회상 _23

1부 - 행복을 조사하다 _27
1장 행복지수란 무엇인가? _29
돈으로는 행복을 살 수 없다 | 1만 달러의 벽 | 행복도를 조사하는 방법 | 행복조사,
신뢰할 수 있나 | 구(舊) 동서독의 행복지수

2장 행복한 나라의 조건 _40
기후조건 | 평균수명 | 자살률 | 출산율 | 종교 | 고용 | 소득격차 | 지역주권 | 관대


3장 동아시아, 행복을 거부하다 _62
유교와 동아시아 | 군대식 집단주의 | 상하관계의 폐해 | 경제는 발전해도 행복지
수는 높아지지 않는 딜레마

4장 세계의 행복 지도 _70
부탄의 빛과 그림자 | 미국에 대한 꿈과 환상 | 종교에 마음 둘 곳을 찾는 나라 | 아
프리카의 암울한 현실 | 막대한 원조의 행방

5장 두 개의 행복국가 모델 _85
자유롭게 인생을 즐기다, 라틴아메리카형 | 프로테스탄트의 영향을 덜 받은 가톨
릭의 대륙 | 돈 많은 집에서 태어나 유유자적 사는 게 성공한 삶 | 같은 라틴계라도
유럽 국가들과는 달라 | 자유로운 개인들이 만드는 행복국가, 북서유럽형 | 일본과
북서유럽의 결정적 차이

2부 우리는 왜 행복하지 못할까 _101

6장 내 의지대로 살지 못한다 _103
자유를 실감할 수 없는 나라 | 무기력을 학습하다 | 인생을 즐기지 못하는 국민

7장 집단주의에 파묻힌 개인 _110
창의성은 필요 없나 | 미디어에 좌지우지되는 사회 | 비판 없이 미디어의 보도를 수
용하는 자세 | 연대책임의 폐해

8장 ‘예스 맨’을 선호하는 몰개성 사회 _121
개성이란 | 좋고 싫음을 구분하는 것이 개성이다

9장 반대 의견을 두려워하는 문화 _126
표면적인 조화가 진정한 조화일까 | 토론은 싸움이 아니다

10장 스스로 찾지 않으면 행복은 없다 _130
스스로 하기에 의미가 있다 | 자유로부터의 도피 | 자동인형으로 살 것인가

3부 - 행복의 메커니즘 _137

11장 뇌과학으로 본 행복 _139
행복을 느끼는 메커니즘 | 행복한 뇌와 불행한 뇌 | “행복의 반대는 불행이 아니라
따분함이다”

12장 심리학으로 본 행복 _145
쾌락의 쳇바퀴 | 안일한 쾌락과 ‘ 몰입(flow)’ 만족감 | 좋고 싫음을 확실히 구분하라

13장 타고난 행복과 불행 _152
유전인가 환경인가 | 외향성과 내향성 | 결혼하면 행복한가

14장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_158
위치재산과 비위치재산 | 비교할 수 없는 가치에서 비롯되는 행복

15장 행복의 진화론 _161
인간의 DNA에 새겨진 부정적인 감정 | 편안하게 행복해지는 길은 없다

4부 - 행복을 가로막는 문화 _165

16장 문화와 전통이라는 이름의 환상 _167
문화는 보편적인 것이다 | 개인의 자유와 인권을 경시하는 문화는 버려야 | 영어가
안 되는 진짜 이유

17장 자기주장을 배척하는 ‘이심전심’의 문화 _174
‘이심전심’의 딜레마 | 자기를 표현할 줄 모르는 ‘무기질 인간’들의 사회

18장 집단의 권위로 대화를 막는 사회 _178
상식에 어긋나면 무조건 이기적인가? | 개인의 의견이 곧 개인이 속한 집단의 주
장? | 대화를 거부하는 사회에 행복은 없다

19장 ‘민폐’와 집단주의 _186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것이 공공의 이익을 위하는 것인가 | 유모차를 끌고 전철
을 타는 것은 민폐인가 | 공공의 이익이냐 특정집단의 이익이냐

5부 - 행복한 사회를 위해 _193

20장 행복한 삶의 방식 _195
행복한 직업 | 자기 발견이라는 거짓말 | 사회적 딜레마

21장 사회개인주의 선언 _204
행복은 ‘상태’가 아니라 ‘행위’ | 자발적 사회 참여, 사회개인주의

22장 행복한 사회를 위해 _209
행복한 개인이 먼저다 | 개혁해야 할 제도

후기 _217
옮긴이 후기 _221
참고문헌 _23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