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족공연학 또는 정도전. 2: 고뇌 속으로 가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 민족공연학 또는 정도전. 2: 고뇌 속으로 가다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한국 민족공연학
9788942348008.jpg


도서명 : 한국 민족공연학
저자/출판사 : 김익두, 지식산업사
쪽수 : 712쪽
출판일 : 2013-02-27
ISBN : 9788942348008
정가 : 38000

Ⅰ. 서 론
1. 몇 가지 주요 전제들34
2. 연구 목적 42
3. 연구사 검토 42
4. 연구방법 및 대상 44

Ⅱ. 공연이란 무엇인가?
1. 공연의 어원 46
2. 공연의 정의 49
3. 공연의 기원 61
4. 공연의 범주 65
5. 공연의 구성요소들 72
6. 공연의 윤리학78
7. ‘공연’ 개념을 둘러싼 최근의 주요 논의들82

Ⅲ. ‘공연학’이란 무엇인가?
1. 용어 정의110
2. 공연학의 특징 112
3. 목표·대상·범위 114
4. 연구방법119
5. 최근의 공연학 연구 동향 124

Ⅳ. ‘민족공연학’이란 무엇인가?
1. 정의 158
2. 의의164
3. ‘공연학’/‘일반공연학’과 ‘민족공연학’의 관계 166
4. 연구대상173
5. 연구방법 176

Ⅴ. 한국 공연문화의 전통 -연극문화를 중심으로
1. 기원: 부족국가의 제천의식191
2. 삼국시대196
3. 남북국시대 202
4. 고려시대 207
5. 조선시대220
6. 근대: 갑오경장 이후 241
7. 해방기와 분단 이후 250

Ⅵ. 한국 공연문화의 주요 양식들
1. 정의 및 선별 기준 260
2. 주요 공연 양식들261

Ⅶ. 한국 공연문화의 해석적 지평
1. 대동굿: 공동체와 세계의 조화로운 관계 추구 327
2. 무당굿: 신과 인간, 삶과 죽음의 현전적 융합
-‘밀양 손씨 진진오기굿’의 사례를 중심으로 363
3. 풍물굿: ‘청관중의 공연자화’와 우주적 흐름에의 동화 378
4. 꼭두각시놀음: 한국적 서사극의 유형과 자기 정체성 탐구 방법 408
5. 탈놀음: 세계 인식의 이중적 비전-‘동화’와 ‘이화’ 사이
-‘동래 들놀음’을 중심으로 444
6. 판소리: ‘구심적 인간관계’의 공연적 탐구와 삶의 해석 483
7. 궁중가무희宮中歌舞戱: 악가무희사樂歌舞戱詞의
선미한 조화와 ‘느림’의 미학 509
8. 신파극: 신분해방 민중의 식민지적 욕망 표현 구조 546
9. 신극: ‘비추어 보기’의 연극적 전략 573

Ⅷ. 한국 공연문화의 원리와 이론
1. 한국 공연 이론의 주요 범주 609
2. 한국 공연 이론의 영역별 기본원리 610

Ⅸ. 결 론 639




정도전. 2: 고뇌 속으로 가다
9791195209026.jpg


도서명 : 정도전. 2: 고뇌 속으로 가다
저자/출판사 : 임종일, 인문서원
쪽수 : 324쪽
출판일 : 2014-03-20
ISBN : 9791195209026
정가 : 13000

1. 적객
2 적객의 꿈
3 반야라는 여인
4 삼각산에 숨은 뜻은
5 고뇌 속으로 가다
6 안변의 책략
7 홍무제를 만나다
8 국적을 치다
9 그러나 회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