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와 반갑다고 안녕! 또는 차세대 유망부품 소재 개발동향과 전략
로즈
2025-04-28 10:48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세계와 반갑다고 안녕!

도서명 : 세계와 반갑다고 안녕!
저자/출판사 : 유다정, 위즈덤하우스
쪽수 : 44쪽
출판일 : 2014-07-15
ISBN : 9788962474442
정가 : 15000
- 난 악마가 아니야!
- 밤새 편안하셨어요?
- 인사는 내가 먼저!
- 무사가 무서워!
- 아무 무기도 없어요!
- 숨결로 영혼과 만나요
- 친할수록 더 가까이
- 신께서 당신과 함께하기를……
- 코란의 가르침에 따라
- 물이 풍족하기를 바라!
- 배려하는 마음이 듬뿍
- 어디서나 악수를 나누어요
- 모두 반갑다고 안녕!
부록Ⅰ : 바르게 인사해요
부록Ⅱ : 이럴 때는 이렇게 인사해요
차세대 유망부품 소재 개발동향과 전략

도서명 : 차세대 유망부품 소재 개발동향과 전략
저자/출판사 : 데이코 편집부, 데이코
쪽수 : 428쪽
출판일 : 2014-01-20
ISBN : 9791185037172
정가 : 300000
Ⅰ. 부품소재산업 실태와 정부 정책동향 17
1. 소재부품산업 최근 동향과 전망 17
1-1. 2013년 상반기 소재부품산업 수출입 동향 17
1) 개황 17
2) 주요 소재, 부품별 수출동향 분석 19
(1) 주요 소재 동향 19
(2) 주요 부품 동향 20
1-2. 주요 업종, 산업별 수출입 동향 22
1) 일반기계부품 22
2) 정밀화학 23
3) 섬유소재 23
4) 비철금속 24
5) 중전기기 24
6) 석유화학 25
7) 철강 26
8) 반도체와 전자부품 27
1-3. 12대 소재?부품 업종별 수출입 현황 29
2. 부품?소재산업 관련 주요 정책동향과 추진전략 33
2-1. 3차 소재?부품 발전 기본계획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33
1) 미래시장 선점형 첨단소재 개발 33
(1) 전략적 핵심소재 개발 33
(2) 민군 연계형 방산소재 확보 36
(3) 벤처형 전문소재 개발 지원 37
2) 융?복합을 통한 부품 명품화 41
(1) 소프트웨어 융합형 차세대 부품 개발 41
(2) 부품 명품화를 위한 신뢰성 기반 강화 42
(3) 기술개발 프로그램의 전략성 제고 45
3) 성장견인형 소재?부품 생태계 극복 지원 47
(1) 소재?부품 47
(2) 소재?부품 산업의 뿌리 생태계 확충 49
(3) 미래형 소재?부품 인재 양성 56
4) 글로벌 공급 네트워크 주도 58
(1) 국내 기업 주도형 글로벌 사업화 추진 58
(2) 주요 권역별 맞춤형 진출 지원 61
(3) 기술과 시장이 만나는 인수?합병 지원 66
2-2. 글로벌 시장선도형 소재부품 기술개발 전략 69
1) 개요 69
(1) 배경 및 필요성 69
(2) 전략의 특징 및 추진경과 69
(3) 향후 추진계획 72
(4) 미래유망 핵심 소재?부품 주요 품목 개요(예시) 73
2) 200대 미래 유망 소재?부품 LIST 81
(1) 금속 분야 -26 81
(2) 세라믹 - 25 82
(3) 화학 - 23 83
(4) 융합 - 26 84
(5) 자동차·조선 - 27 85
(6) 기계·로봇 - 27 86
(7) 전자전기 - 24 87
(8) 휴먼인터렉션 - 22 88
3) 미래유망 소재?부품의 실생활 적용 전망(예측) 사례 89
(1) 가정 89
(2) 출근길(부품분야) 90
(3) 출근길(소재분야) 91
(4) 산업현장 92
(5) 원격의료 서비스 93
3. 부품소재 전후방 관련 산업 주요 정책동향과 전략 94
3-1.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 수립과 추진전략 94
1) 뿌리산업의 개념과 국내외 동향 94
(1) 개념 94
(2) 주요국의 뿌리산업 동향 96
(3) 국내 뿌리산업 현황 97
(4) 첨단산업에 적용된 뿌리산업과 사례 102
2) 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13~’17년) 104
(1) 기본계획 개요 104
(2) 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 주요내용 105
(3) 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 세부 추진과제 108
3) 2013년도 뿌리산업 진흥 실행계획 118
Ⅱ. 전략적 핵심소재개발 사업 동향과 개발전략 125
1. 전략적 핵심소재 기술개발사업과 연구개발 테마 125
1-1. 2013년 사업현황과 연구과제 125
1) 사업 개요 125
2) 연구과제별 내용과 목표 126
(1) 수소 제조 공정용 표면적 3,000 ㎡/㎥이상의 에너지
저감형 다공성 금속 소재 개발 126
(2) 모바일기기 스마트 액추에이터용 무연 압전 세라믹
소재 개발 127
(3)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자기공명방식 고효율 무선충전용
투자율 1000급 세라믹 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28
(4) 고출력 LED 패키지용 고내열성 색변환 세라믹 복합
소재 기술 개발 130
(5) 감염성질환의 다중 실시간 진단을 위한 자성항체융합소재
기술개발 132
(6) 산업 및 의료용 고출력 고체레이저 제작을 위한 6인치급
RE:YAG 단결정 소재개발 133
(7) 2차원 π계 고성능 유기반도체소재개발 135
(8) 코어-쉘(Core-Shell) 금속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저가형 전도성 페이스트 소재개발 136
(9) 의료용 생분해성 폴리에스터계 소재 개발 138
(10) 고효율 에너지 부품을 위한 용액공정용 전하 전달
소재 기술 140
(11) Desalination용 양/음이온 교환 및 흡착 고분자 소재 141
(12) 가변형 능동제어 가능한 유동탄성체 기술 143
1-2. 2012년 사업현황과 연구과제 145
1) 사업 개요 145
2) 연구 과제별 내용과 목표 145
(1) 무용제 분체도료용 변성 폴리올레핀계 코팅소재 145
(2) 추진체계 149
(3) 연구기간 및 연구비 149
(4) 에너지 저장 레독스 플로우전지(RFB)용 선택적 이온
전달 소재 개발 150
(5) 디스플레이용 편광필름 대체를 위한 일체형 나노패턴필름
개발 155
(6) 80kw급 전기자동차 구동시스템용 희토류 저감형 고효율
자성소재 개발 163
(7) 리튬이온전지 및 PCB용 전해동박 170
(8) 광전소자 및 전력소자용 고에너지 밴드갭 반도체 단결정
소재 개발 177
(9) 석영유리부재 제조를 위한 5N급 원료 및 Meter급 모재 184
(10) 수분율 7% 이상 의류용 신아마이드 섬유 개발 197
(11) 셀효율 15% 이상의 실리콘코팅 Carbon fiber
전자소재 개발 205
(12) 고효율 발전을 위한 1600℃급 가스터빈 소재 개발 211
Ⅲ. 차세대 SW융합형 부품 개발 사업 동향과 개발전략 219
1. SW융합형 부품 기술개발사업과 연구개발 테마 219
1-1. 2013년 사업 현황과 연구과제 219
1) 사업 개요 219
2) 연구과제별 내용과 목표 220
(1) 능동제어 SW 기반 Single Pass 방식의 80 m/min급
초고속 DTP 핵심 모듈 개발 220
(2) 개인화 주행환경과 운전자 안전 및 편의를 제공하는
Connectivity 기반 지능형 통합 Cockpit 모듈 개발 221
(3) 다중 센서 융합 기반의 간접방식 지능형 타이어 및 샤시
모니터링 기술 개발 223
(4) SW 기반의 극저온 LNG Spray/Stripping Pump 모듈개발 225
(5) 국제안전기준 부합화를 위한 샤시안전 통합 제어모듈개발 227
(6)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자동차용 감성 스마트윈도우 모듈개발 229
(7) 스마트 현장판단형 영상/음향 보안감시 SoC 및 핵심부품
개발 230
(9) 인터벤션의료용 소프트웨어 융합형 저선량 엑스선 시스템형
디텍터 개발 235
(10) 오픈프레임웍 기반 스마트 ESS 전력제어 모듈 및
SW개발 237
(11) 3D HD급 영상을 위한 스마트 피코 프로젝터 부품 및
엔진 개발 239
(12) 단일 소자에서 센싱/액츄에이팅 동시 구현 가능한 3㎜급
박형 햅틱 모듈 및 감성 UI/UX SW 개발 240
1-2. 2012년 사업 현황과 연구과제 244
1) 사업 개요 244
2) 연구과제별 내용과 목표 245
(1) 20~40kW급 지능형 제어기반 산업용 스마트 하이브리드
파워팩 개발 245
(2) 생체신호 감지기능 및 능동형 액추에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한
스마트 시트 개발 254
(3) 주차/차선변경 운전자지원을 위한 고화질 3D-HDR(High
Dynamic Range) 카메라 및 통합 영상처리 모듈 개발 261
(4) 중소형 선박용 친환경 200kW급 전기추진모듈 및 SW기반
제어기술 개발 269
(5) 연비 개선(20%)을 위한 준중형 소프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8kW급 벨트구동 Torque Assist System 및 통합 SW 개발274
(7) 5세대 유무선통합망용 10Gbps 파장가변 광송수신기 및
운용 SW 개발 286
(8) 초소형 스마트 환경센서 측정 모듈과 제어용 Chip 개발
및 응용 프로그램 개발 299
(9) SW기반 디지털 무선통신용 핵심모듈 및 트랜시버 개발 305
(10) 스마트환경에서 질환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2uV급
두발잡음극복형 BMI SoC 및 SW 플랫폼 개발 314
Ⅳ. 융복합 소재와 핵심 방산소재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327
1. 융·복합소재부품개발사업(수요자연계형) 327
1-1. 2013년도 사업 개요 327
1) 지원내용 327
1-2. 연구과제와 연구내용 328
1) 고품질 도장시스템용 방폭형 정전방식의 원심분사모듈 기술개발 328
(1) 개요 및 필요성 328
(2) 개발목표 328
(3) 개발내용 329
2) 포터블 고출력밀도 용접로봇을 위한 핵심모듈 개발 329
(1) 개요 및 필요성 329
(2) 개발목표 330
(3) 개발내용 330
3) 자동차용 제동진공 및 엔진오일 일체형 펌프모듈 개발 331
(1) 개요 및 필요성 331
(2) 개발목표 331
(3) 개발내용 331
4) 신소재를 이용한 심해저용 10kV급 umbilical 케이블 개발 332
(1) 개요 및 필요성 332
(2) 개발목표 332
(3) 개발내용 333
5) 스마트폰용 LBS를 위한 고정밀 실내측위시스템의 SoC개발 333
(1) 개요 및 필요성 333
(2) 개발목표 334
(3) 개발내용 334
6) 터치센서를 위한 단층구조의 One-line 전극 및 시리얼라이저
개발 335
(1) 개요 및 필요성 335
(2) 개발목표 336
(3) 개발내용 336
7) 블루필터 일체형 비구면 렌즈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337
(1) 개요 및 필요성 337
(2) 개발목표 338
(3) 개발내용 338
8) 에너지 절감 및 지능화를 위한 Vending Machine용 융복합
부품 기술개발 339
(1) 개요 및 필요성 339
(2) 개발목표 339
(3) 개발내용 339
2. 핵심 방산소재 기술개발사업 341
2-1. 2013년 사업 개요 341
1) 지원내용 341
2) 연구과제별 연구목표와 내용 342
(1) 3D 망상구조 고효율 압전·세라믹 복합체 개발 342
(2) 산화물 분산강화(ODS) 금속재료 344
(3) 육상 병기/수송기기용 고비강도 경량 철강소재 개발 345
(4) 비행체용 고기능형 내열 티타늄계 합금 주조 부품기술개발 347
(5) 포화자속밀도 1.8T급 전력변환기용 비정질 코아소재 개발 349
(6) 방탄 윈도우용 100mm급 투명 다결정 세라믹 350
(7) 장파장 적외선 투과용(LWIR) ZnS 개발 352
(8) 차세대 적외선 검출기용 Sb 기반의 반도체 소재 개발 354
(9) 세섬도(200d) 고강도 섬유와 박막형 수지를 적용한
초경량 방탄재(개인 및 차량용) 개발 355
(10) 유해가스 환경 방호용 활성탄소섬유 소재 개발 358
2-2. 2012년 사업 개요 360
1) 지원내용 360
2) 연구과제별 연구목표와 내용 361
(1) 고품위 티타늄합금 대형 빌레트 제조기술 개발 361
(2) 고특성 경량 마그네슘합금 제조기술 개발 363
(3) 야간투시카메라용 적외선광학렌즈 칼코지나이드유리
소재 개발 366
(4) 고효율 제트엔진 및 마이크로 가스터빈용 고신뢰성
SiC 섬유강화 세라믹 복합소재 개발 370
(5) 경량-광대역-주파수 제어형 전자파흡수 복합소재 개발 372
Ⅴ. 부록[참고자료] 379
1. 소재?부품 미래비전 2020 379
1-1. 소재?부품 미래비전 2020 수립 배경 379
1) 지난 10년간 부품?소재 정책 추진경과 379
2) 소재?부품 미래비전 2020 수립배경 381
1-2. 부품?소재산업 10년의 빛과 그림자 383
1) 부품?소재산업 10년의 성과 : “빛” 383
(1) 부품?소재 수출경쟁력 강화 383
(2) 부품?소재 기술경쟁력 향상 385
(3) 부품?소재 기업 체질 개선 386
2) 부품?소재산업 10년의 한계 : 그림자 387
1-3. 부품?소재산업의 미래 환경 변화 및 대응방향 390
1) 부품?소재산업의 미래 환경 변화 390
2) 대응 방향 391
1-4. 소재?부품 글로벌 4대강국 비전과 정책 394
1) 비전 및 목표 394
2) 기본방향 395
(1)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소재?부품 지원체계 개편 395
(2) 프로그램 전략성을 강화하여 정책효과 극대화 396
(3) 소재?부품산업의 발전적 지원체계 구축 396
1-5. 중점 추진과제 398
1) 미래시장 선점형 첨단소재 개발 398
(1) 전략적 핵심 소재 개발 398
(2) 민-군 연계형 국방소재 확보 401
(3) 벤처형 전문소재 개발 지원 403
2) 융?복합을 통한 부품 명품화 405
(1) 소프트웨어 융합형 차세대 부품 개발 405
(2) 부품 명품화를 위한 신뢰성 기반 강화 407
(3) 기술개발 프로그램의 전략성 제고 409
3) 성장 견인형 소재?부품 생태계 구축 411
(1) 소재?부품 전문기업 성장통 극복 지원 411
(2) 소재?부품산업의 뿌리 생태계 확충 413
(3) 미래형 소재?부품 418
4) 글로벌 공급 네트워크 주도 420
(1) 국내 기업 주도형 글로벌 사업화 촉진 420
(2) 주요 권역별 맞춤형 진출 지원 422
(3) 기술과 시장이 만나는 M&A 지원 424
1-6. 2020년 국내 소재?부품산업의 모습 427
표목차
Ⅰ. 부품소재산업 실태와 정부 정책동향 17
<표1-1> 분기별 부품?소재 수출입 실적(잠정, 통관기준) 18
<표1-2> 12대 소재?부품 업종별 수출 동향 분석 19
<표1-3> 주요 부품 업종별 수출 동향 분석 20
<표1-4> 석유화학제품 수출입 실적 및 전망 26
<표1-5> 전자부품업종 실적 추이 28
<표1-6> 대세계 소재?부품산업 수출 추이 29
<표1-7> 대세계 소재?부품산업 수입 추이 29
<표1-8> 대세계 소재?부품산업 무역수지 추이 30
<표1-9> 분기별 소재?부품의 주요국별 교역실적 31
<표1-10> 소재?부품 주요 지역별·국가별 수출입 32
<표1-11> 10대 WPM 현황 33
<표1-12>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소재 개발 및 파급영역 36
<표1-13> 중소?벤처 맞춤형 소재펀드 도입안(예시) 39
<표1-14> 소재종합솔루션센터 구축 현황 39
<표1-15> 신뢰성 평가센터 현황 44
<표1-16> 신뢰성 평가센터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강화 45
<표1-17>「IP-R&D」전략지원 사업 단계별 체계 51
<표1-18> 주요 지원사업 및 지원분야 55
<표1-19> 권역별 유망품목(안)과 주요 품목별 전략지도(예시) 59
<표1-20> 글로벌 비즈니스 협력 모델 구체화 59
<표1-21> 중국 권역별 소재부품 수요전망 및 진출전략(안) 63
<표1-22> 뿌리기업 권역별 분포 현황 98
<표1-23> 기업 규모별 평균 종사자 수 98
<표1-24> 산업별 기업 규모 비교(‘10년, 통계청) 98
<표1-25> 기업 규모별 업체 수 99
<표1-26> 뿌리기업 1인당 부가가치 추이 99
<표1-27> 주요 국가별 1인당 부가가치 비교(‘10년) 99
<표1-28> 산업별 영업이익률 비교 100
<표1-29> 외국인 근로자 비중 추이 100
<표1-30> 연령별 종사자 비중 추이 101
<표1-31> 교육기관별 뿌리산업 관련 학과?학생수 추이 101
<표1-32> 종사자 수에 따른 기업별 임금 수준 101
<표1-33> 업종별 맞춤형 R&D 지원전략 110
<표1-34> ‘13년도 뿌리산업 진흥 부문별 지원액 119
Ⅲ. 차세대 SW융합형 부품 개발 사업 동향과 개발전략 219
<표3-1> TAS 부품 및 SW 기술 Tree 277
Ⅴ. 부록[참고자료] 379
<표5-1> 지난 10년간 부품?소재육성정책 추진경과 379
<표5-2> 국가별 세계 부품?소재수출시장 점유율 추이(단위:%) 384
<표5-3> 주요 핵심소재의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389
<표5-4> 새로운 제조공법 적용을 통한 Quantom-Jump 예시 392
<표5-5> 부품?소재 산업의 현재와 미래 393
<표5-6> 소재기술개발사업 체계 개편 395
<표5-7> 전략적 핵심소재 개발대상 예시 399
<표5-8> 국방소재 개발 유형 예시 402
<표5-9> 소프트웨어 융합형 부품개발 예시 407
<표5-10> 성장정체 원인별 지원 방안 예시 412
<표5-11> 성장정체 원인별 지원 방안 예시 414
<표5-12> 장비 개발 지원 유형 418
<표5-13> 장비 개발 지원체계도 418
<표5-14> 소재 융합대학원 단계별 추진 계획 419
<표5-15> 국내 기업 주도형 글로럴 비즈니스 협력 모델 421
<표5-16>「MCT Industry Forum 2012」예시 422
<표5-17> R&D+ plus 지원 모델 예시 424
<표5-18> 20대 유망 M&A 전략 품목 425
그림목차
Ⅰ. 부품소재산업 실태와 정부 정책동향 17
<그림1-1> 대일 소재부품 무역적자 및 수입의존도 추이 19
<그림1-2> 중국 주요 화학제품 자급화 현황 및 전망 26
<그림1-3> 반기별 소재?부품산업 무역수지 30
<그림1-4> 소재종합솔루션센터 완성 후 기능 수행도 40
<그림1-5> 수요산업별 미래유망 소재와 부품 71
<그림1-6> 뿌리산업의 변천 과정 94
<그림1-7> 세계적인 명품에 기여하는 뿌리산업 사례 96
<그림1-8>고부가가치 품목에 적용되는 뿌리기술 사례 102
<그림1-9> 항공기?로봇 핵심부품과 뿌리산업 연관도 103
<그림1-10> 뿌리산업 진흥의 선순환 구조도 106
Ⅱ. 전략적 핵심소재개발 사업 동향과 개발전략 125
<그림2-1> 레독스 플로우 전지 개념도 151
<그림2-2> 나노 편광 필름의 개요 156
<그림2-3> EV 구동시스템용 희토류 저감형 고효율 자성소재의
요구조건 및 해결방안 164
<그림2-4> 친환경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용 자성소재의 형상 164
<그림2-5>통신속도와 회로 패턴 Pitch에 따른 동박의 요구 특성 171
<그림2-6> AlN single crystal and its applications 177
<그림2-7> Bulk AlN 기판의 응용분야 178
<그림2-8> 연구개발 대상의 개념도 212
Ⅲ. 차세대 SW융합형 부품 개발 사업 동향과 개발전략 219
<그림3-1> 스마트하이브리드 파워팩 개념도 245
<그림3-2> 스마트하이브리드 파워팩 핵심 요소 기술 246
<그림3-3> 스마트 하이브리드 파워팩 개념도 249
<그림3-4> 스마트 하이브리드 파워팩 개발 방향 249
<그림3-5> 디지털사 및 Multi-layer로 집적화된 스마트섬유 255
<그림3-6> 다층 구조로 제?편직된 Multi-laver 스마트 소재 255
<그림3-7> 생체신호 감지 스마트 시트 제품 256
<그림3-8> 자동차용 Smart seat: 온도, 압력 및 등판굴곡감지,
경도, 높이 및 공기순환조절 기능 257
<그림3-9> 주차/차선변경 운전자지원을 위한 고화질 3D-HDR
카메라 및 통합 영상처리 모듈 262
<그림3-10> 통합 영상처리 SW 플랫폼 263
<그림3-11> 영상 기반 첨단 운전자지원 시스템 263
<그림3-12> 본 과제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265
<그림3-13> 개발 기술의 개념도 270
<그림3-14> TAS 제어 SW 영역 기술개발 세부내용 280
<그림3-15> 유연 압력 터치 패널 개념도 283
<그림3-16> 유무선 통합망 개략도 286
<그림3-17> 10 Gbps 파장가변 XFP 광송수신기 288
<그림3-18> 10 Gbps 파장가변 XFP 광송수신기를 활용한 LTE 망 289
<그림3-19> 10 Gbps 파장가변 XFP 광송수신기의 폭넓은 활용 범위 290
<그림3-20> SDR 시스템 개념도 305
<그림3-21> 스마트환경에서 BMI SoC 및 서비스 SW 플랫폼 활용도 315
<그림3-22> 주요국(미국, 일본, EU)의 뇌질환 시장규모 전망 316
Ⅴ. 부록[참고자료] 379
<그림5-1> 1, 2차 부품?소재발전기본계획의 주요 정책목표와 성과 380
<그림5-2> 부품?소재 무역 동향 383
<그림5-3> 한?중?일 3국의 전체 수출 중 부품?소재 수출비중추이 383
<그림5-4> 부품?소재 대일 의존 개선(단위:%) 384
<그림5-5> ‘02~’10년간 주요 품목별 대일의존도 개선 추이 385
<그림5-6> 주요 품목의 국산화율 추이(단위:%) 385
<그림5-7> 부품?소재 기술의 종합경쟁력 상승 385
<그림5-8> 중핵기업 평균매출액(단위:억원) 386
<그림5-9> 전문기업 수 변화(단위:개) 387
<그림5-10> 부품?소재 기업의 평균생산액 추이(단위:억원) 387
<그림5-11> 부품?소재 데일 무역적자 추이 388
<그림5-12> 부품?소재 對中 수출 비중 추이 388
<그림5-13> 소재?부품 경쟁력 향상사업 예산 개편방향 395
<그림5-14> 소재?부품 획득 알고리즘 체계 396
<그림5-15> 소재?부품 정책 추진 체계도 397
<그림5-16> 국방소재 기술개발 추진단계) 403
<그림5-17> 국방소재 개발 유형 예시 406
<그림5-18> 소프트웨어 융합형 부품개발 예시 412
<그림5-19> 소재?부품 수출 427
<그림5-20> 소재?부품 무역흑자 427
<그림5-21> 소재?부품 수출비중(전산업 대비) 427
<그림5-22> 소재?부품 수출시장 점유율 428
<그림5-23> 소재?부품 중핵기업수 428
<그림5-24> 소재?부품 전문기업수 428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