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영화 100년사 또는 잘못된 안도감
로즈
2025-04-28 10:48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홍콩 영화 100년사

도서명 : 홍콩 영화 100년사
저자/출판사 : 종보현, 그린비
쪽수 : 832쪽
출판일 : 2014-10-30
ISBN : 9788976826046
정가 : 48000
한국의 독자들에게: 기억해 둘 만한 몇 가지 이야기들
추천의 말
지은이 서문
감사의 말
1부 서론: 영화 산업의 구조
1장_영화라는 상품
1. 영화의 생애 주기 | 2. 영화 산업의 투자
2장_유럽과 미국의 영화 산업 100년
1. 경쟁과 독점 | 2. 배급 부문의 성장과 스튜디오 시스템의 흥기 |
3. 독립 제작자 시스템의 확립 | 4. 새로운 상영 창구
3장_홍콩 영화·TV 산업 100년
1. 극장과 영화의 만남 | 2. 정치와 상업의 갈등 | 3.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자금의 상륙 |
4. 외주 제작 시스템과 스튜디오 시스템의 흥망성쇠 | 5. 양안삼지의 결합 | 6. 새로운 상영 창구
소결_한 산업의 생애 주기?
2부 영화 산업의 발흥
1장_영화 상영업의 발전
1. 유랑 상영에서 고정 영화관으로 | 2. 극장체인의 출현: 남·북 영화관 왕 |
3. 남·북 영화관 왕의 합작
2장_영화 제작업의 맹아
1. 아마추어 단계: 여민위와 인아경극사 | 2. 생산과 판매의 결합: 민신영화사와 신세계극장 |
3. 영화 제작업자와 상영업자의 합작: 연화영화사의 탄생 |
4. 영화 산업의 쌍생아: 스튜디오와 영화 스타
3장_‘연화’의 쇠락
1. 계파의 분열 | 2. 정치 세력의 영화계 개입
소결_극장과 영화: 100년의 인연
3부 영화 중심의 남하
1장_광동어 영화의 탄생
1. 미국에서 돌아온 ‘대관’ | 2. 상해에서 내려온 ‘천일’ |
3. 광동어 영화에 대한 ‘표준어 운동’의 공격
2장_전란 이후의 회생
1. 중일전쟁기의 영화 산업 | 2. 전후 영화 산업의 남하
3장_전후 홍콩의 친우파 영화 진영
1. 대중화영화사 | 2. 영화영화사 | 3. 신화영화사와 장성영화사 | 4. 아주영화사
4장_전후 홍콩의 친좌파 영화 진영
1. 장성영화제작사 | 2. 오십년대영화사 | 3. 봉황영화사 | 4. 신련영화사
5장_좌우 양 진영의 각축
1. ‘영화’ 노동쟁의 | 2. 소방방 쟁탈전
소결_정치와 시장
4부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자본의 상륙
1장_두리안 향기 날리던 시절: 광동어 영화의 부흥
1. 중국 대륙 시장을 대체한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시장 | 2. 전후 홍콩의 영화세트장: 구룡성 |
3. 홍콩·마카오 스타일 남방 영화의 발전 | 4. 북파 연예인, 남방 무술인
2장_전통극 배우들의 이합집산: 1950년대 광동어 영화
1. 표준어 영화 vs 광동어 영화 | 2. 광동어 영화의 산업 모델 |
3. 싱가포르·말레이시아의 ‘선매수금’과 전통극 영화
3장_‘4대 영화사’와 영화계 개혁
1. 영화계 정화운동과 전통극 배우 분리 | 2. 4대 영화사: ‘중련’, ‘신련’, ‘화교’, ‘광예’
4장_약동하는 청춘: 1960년대 광동어 영화
1. 광동어 영화 4대 극장체인 | 2. 금국 극장체인: 전통극 배우 영화로부터 청춘영화로 |
3. 청춘화: 배우아카데미와 홍보부 | 4. 아이돌의 탄생: 스타, 영화를 움직이다
5장_광동어 영화 산업의 쇠퇴
1. 광동어 영화 극장체인의 축소 | 2. 쇼브러더스와 ‘전무’, 대형 스튜디오의 상륙
소결_‘선매수금으로 흥하고, 선매수금으로 망하다’
5부 스튜디오 시스템에서 외주 제작 시스템으로
1장_대형 스튜디오의 굴기
1. ‘전무’(전영무업영화사) | 2. 쇼브러더스영화사 | 3. 라이벌전 |
4. 잠시 동안의 화해 | 5. ‘전무’의 추락과 쇼브러더스의 어부지리
2장_쇼브러더스 영화 왕국의 확장
1. 신식 무협영화의 굴기 | 2. 스튜디오가 만들어 낸 스타들 |
3. 제작·배급·상영의 통합 | 4. ‘더블 체인’ 상영 시스템
3장_새로운 도전자: 골든하베스트영화사
1. 외주 제작 시스템 | 2. 쇼브러더스 vs 골든하베스트: 극장체인과 흥행 |
3. 스튜디오 시스템 vs 외주 제작 시스템 | 4.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
4장_TV 방송 산업의 탄생
1. 광동어 영화 산업의 변신 | 2. 케이블에서 지상파로 | 3. 연예인 시스템의 탄생
소결_영화, 극장, 그리고 TV
6부 극장체인을 기반으로 한 생산·판매 질서
1장_영화 산업 환경의 변화
1. 쇼브러더스 왕국, TV업계로 전향하다 | 2. 골든하베스트, 외주 제작 시스템의 선도자 |
3. TV 방송업계의 파란
2장_홍콩 영화의 뉴웨이브
1. 신흥 독립 제작사의 출현 | 2. 해외 시장의 개발 | 3. 매니저와 제작자의 출현
3장_극장체인, 생산·판매 질서의 중심
1. 1980년대 초의 ‘4대 극장체인’ | 2. 금공주 극장체인의 흥성 | 3. ‘신예성’의 부상
4장_1980년대 영화업계의 경쟁전
1. 쇼브러더스 vs 금공주+골든하베스트 | 2. 금공주 vs 쇼브러더스+골든하베스트 |
3. ‘덕보’, 경쟁전에 뛰어들다 | 4. ‘신예성 7인조’의 해산
5장_1980년대 TV업계의 경쟁전
1. TVB의 독주 | 2. RTV의 주주 변화 | 3. 연예인 시스템의 황금기
소결_영화와 TV의 전통적 융합
7부 양안삼지의 통합
1장_극장체인 질서의 와해
1. 신보 극장체인의 결성 | 2. 골든하베스트·금공주·덕보 극장체인의 흥망성쇠 |
3. 경쟁전에 뛰어든 영고·동방 극장체인
2장_영화 산업 환경의 변화
1. 비디오테이프 대여 시장의 경쟁전 | 2. 대만 자금의 유입 |
3. 대만 자본의 홍콩 영화, 대륙에 진출하다
3장_양안삼지 영화 산업의 통합
1. 대륙의 영화 산업 개혁 | 2. 대만 영화상의 홍콩 영화 배척 | 3. 할리우드 영화의 쇄도
4장_홍콩이 만들어 낸 스타
소결_역사의 재연: ‘선매수금으로 흥하고, 선매수금으로 망하다’
8부 생산·판매의 새로운 질서: 상영 창구의 변화
1장_상영 창구의 변화
1. 제1창구, 극장의 쇠락 | 2. 제2창구의 발전: 비디오 시장 |
3. 제3창구의 발전: 케이블TV와 인터넷TV
2장_신·구 영화사의 변화
1. 골든하베스트그룹의 위기 | 2. 쇼브러더스 왕국, 재기를 도모하다 |
3. ‘중국성’, 새롭게 일어서다 | 4. ‘동방매력’, ‘최가박당’, ‘전영인’ |
5. ‘환아’, ‘미아’, ‘환우’의 변화
3장_21세기의 새로운 세력
1. 영화를 이용한 아이돌 홍보: ‘영황’과 ‘성호’ | 2. 디지털 영화의 출현
소결_새로운 질서
9부 ‘중국어 영화 시대’로의 진입?
1장_전성기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1. 홍콩 본토 시장 vs 중국 대륙 시장 | 2. 후속 스타 기근
2장_홍콩 영화는 이미 끝장난 것일까?
1. ‘대륙행’과 동맹 결성
소결_두 손 맞잡고 ‘대국굴기’의 꿈을 이룰 수 있을까?
맺음말: 홍콩과 스타의 거리
후주
부록
주요 참고자료
옮긴이 후기
홍콩 영화사 연표
찾아보기
잘못된 안도감

도서명 : 잘못된 안도감
저자/출판사 : 김창환, 이콘
쪽수 : 287쪽
출판일 : 2013-02-21
ISBN : 9788997453108
정가 : 15000
프롤로그 10
1장. 금융위기에 관한 세 가지 질문 21
1. 금융위기는 왜 반복되는가? 24
2. 금융위기를 왜 예측하지 못하는가? 35
3. 금융위기를 왜 예방하지 못하는가? 42
2장.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 49
1. 세계적 불균형 53
2. 미국 부동산 시장의 과열과 주택모기지기상의 문제들 58
3. 금융시장을 통한 위기의 증폭 70
4.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리스크관리 실패 94
3장. 잘못된 안도감 114
1. 금융공학 모델 120
2. 신용등급 169
3. 리스크 지배구조 182
4. 자기자본규제 202
5. 잘못된 안도감의 극복 250
에필로그 26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