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 동사로 시작하는 기초영어 길들이기 또는 원문 사료로 읽는 한국 근대사
로즈
2025-04-28 10:48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주어, 동사로 시작하는 기초영어 길들이기

도서명 : 주어, 동사로 시작하는 기초영어 길들이기
저자/출판사 : 장유신, 맑은샘
쪽수 : 160쪽
출판일 : 2014-09-30
ISBN : 9788998374815
정가 : 10000
01. 주어 10
02. be 동사 34
이다 / 있다 동사
할 수 있다(can) / 할 것이다(will)
없다 / 아니다 - 부정문 만들기
어떠어떠하다 동사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동사 - be 동사의 완료 시제
03. 행동성과 방향성이 있는 동사 - 일반 동사 72
04. 말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 ‘무엇을’이 필요한 동사
- 타동사 104
05. 목적어가 ‘주어처럼’ 해석되는 동사 124
06. 표현을 확장하는 몇 가지 방법들 132
전치사 + 명사 = 부사처럼 해석하기
접속사 - 연결하는 말
관계 대명사
to 부정사와 동명사
가정법
원문 사료로 읽는 한국 근대사

도서명 : 원문 사료로 읽는 한국 근대사
저자/출판사 : 최익현 , 황준헌 , 김병국 , 이만손 , 홍영식 ,, 필맥
쪽수 : 447쪽
출판일 : 2014-05-20
ISBN : 9788997751372
정가 : 17000
편역자의 머리말
1876, 최익현, 《지부복궐척화의소》
1880, 황준헌, 《사의 조선책략》
1880, 김병국 등, 《여러 대신이 의견을 올림》
1881, 이만손 등, 《영남만인소》
1883, 홍영식, 《미국 방문 보고》
1884, 김옥균, 《갑신일록》
1896,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사》
1919, 조소앙 등, 《대한독립선언서》
1919, 이광수 등, 《2.8 독립선언서》
1919, 김인종 등, 《대한독립 여자선언서》
1919, 조선민족 대표 33인, 《기미독립선언서》
1919, 한용운, 《조선독립의 서》
1919, 여운형, 《일본 관리와의 대담》
1919, 여운형, 《도쿄에서의 연설》
1921, 프레드 돌프, 《한국을 위한 변론 취지서》
1922, 이광수, 《민족개조론》
1922, 최원순, 《이 춘원에게 문하노라》
1923,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1928, 코민테른 집행위, 《12월 테제》
1931, 신채호, 《조선상고사 총론》
1932, 조소앙, 《한국 혁명운동 추세》
1934, 서재필, 《회고 갑신정변》?《체미 50년》
1938, 김성숙, 《왜 전민족적 통일전선을 건립해야 하는가》
1941, 임시정부, 《대한민국 건국강령》
1942, 임시정부, 《23주년 3.1절 선언》
1945, 박헌영, 《현 정세와 우리의 임무》
1945, 이승만, 《건국과 이상》
주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