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건강비법 또는 동서 철학 심신관계론의 가치론적의 조명
로즈
2025-04-28 10:48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현대인의 건강비법

도서명 : 현대인의 건강비법
저자/출판사 : D.dam 건강연구회, 다담북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4-06-25
ISBN : 9788996978954
정가 : 15000
제1장 건강과 보약
제1장 건강과 보약 15
인간 생명의 세포 / 머리를 좋게 하는 법 / 콜레스테롤 / 혈중 콜레스테롤 / 영지버섯과 혈전작용 / 인삼과 당뇨병 / 약과 음식물의 근원 / 약이 되는 술 / 술독(酒毒), 간장 보호 / 백해무익한 담배 / 녹용(鹿茸) /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 / 음식물 씹기와 하얀 피 / 금식은 자연치유력 / 땀(자한과 도한) / 다한증(多汗症) / 보약의 필요성 / 장수와 양생법 / 허약한 어린이의 체질 개선 / 노화 방지법 / 노년기의 성생활 / 치매증 등
제2장 소화기 질병
식도염과 식도 궤양 / 식도 협착증 / 식도 확장증 / 식도암 / 위장병 / 급성위염 / 만성위염 / 위산과다증 / 저산증(위산과 소증) / 위궤양 / 신경성 소화불량 / 위경련(가슴앓이) / 위확장 / 위하수 / 위암 / 만성장염 / 대장염 / 장궤양 / 맹장염(충수염) / 간(肝)의 기능 / 만성감염 / 급성간염 / 고지방혈증 / 지방간 / 간경화증 / 간암 / 담석 / 비장(췌장)의 기능 / 췌장염 / 당뇨병 / 변비 / 치질 / 치루 / 항문 출혈 / 탈항(脫肛) 등
제3장 호흡기 질병
폐의 기능 / 폐와 물의 조절 / 감기 / 여름감기 / 폐렴 / 폐암 / 폐결핵 / 해수(기관지염) / 천식 / 기관지 천식 / 늑막염 등
제4장 순환기 질병
심장병 / 협심증 / 지방심 / 심근경색증 / 부정맥 / 백혈병 / 갑상선 기능 항진증(바세도씨병) / 갑상선 기능 저하증(점액수종) / 결절성 갑상선 비대증 / 갑상선 종양 / 비만증 / 빈혈 등
제5장 정신·신경계 질병
뇌출혈 / 손발의 저림과 뇌졸중 / 동맥경화증 / 중풍 / 고혈압 / 저혈압 / 신경쇠약 / 스트레스 등
제6장 부인과 질병
부인과 질병의 과학적 발전 / 부인과 질병의 원인 / 생리 / 생리통 / 무월경 / 난소염 / 자궁근종 / 여성 불감증 / 갱년기 장애 / 냉증 / 대하증 / 자궁암 / 모유 등
제7장 임신과 출산
임신 / 임신의 조건 / 불임증 / 임신중 주의할 점 / 습관성 유산 / 임신오조(입덧) / 분만 / 산전·산후 부종 / 익모초환 사용과 임신 등
제8장 비뇨 생식기 질병
신장염 / 신우염 / 신장 결석 / 방광염(오줌소태) / 요독증 / 전립선 비대증 / 전립선암 / 정자(精子) / 조루증(早漏症) / 남자 양위증 / 남성의 사이클 등
제9장 관절·근육·피부의 질병
관절염과 보행 지장 / 견비통(肩臂痛) / 요통(腰痛) / 좌골신경통 / 기미 등
제10장 암과 에이즈
암(癌) / 에이즈(ADIS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등
동서 철학 심신관계론의 가치론적의 조명

도서명 : 동서 철학 심신관계론의 가치론적의 조명
저자/출판사 : 손병석 , 이승환 , 박재술 , 한명숙 , 김재숙 ,, 한국학술정보
쪽수 : 520쪽
출판일 : 2013-02-15
ISBN : 9788926841082
정가 : 33000
서문
눈빛ㆍ낯빛ㆍ몸짓 : 유가의 신체 미학과 소속된 삶_이승환
1. ‘몸’은 왜 잊혔는가?
2. 정신/육체의 통일로서의 ‘몸’
3. ‘몸’과 타자의 시선
4. ‘표현’으로서의 낯빛과 ‘행위’로서의 낯빛
5. 눈빛ㆍ낯빛ㆍ몸짓의 사회적 의미
6. 도가의 가식적 ‘낯빛’ 비판
7. 눈빛ㆍ낯빛ㆍ몸짓과 ‘지인(知人)’
8. 잃어버린 눈빛ㆍ낯빛ㆍ몸짓을 찾아서
德과 形 : 心身 관계의 價値論的 함의의 先秦儒學的 始源_박재술
1. 들어가는 말
2. 심신의 어원적 의미와 존재론적 관계 양상
3. 심신과 윤리적 가치 판단의 만남
4. 심신관계의 가치론적 우열 양상
5. 나오는 말: 심신관계의 가치 우열이 끼친 사회정치적 영향
初期佛敎의 自我觀에 대한 심신가치론적 고찰 : 몸과 마음의 성격 및 지위에 대한 논의_한명숙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방향 설정
2. 無記說과 心身價値論의 모순가능성에 대한 화해의 모색: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가능한 근거
3. 붓다의 자아관의 실존적 의미:몸과 마음에 대한 논의는 어떤 관점에서 이루어지는가
4. 초기불교의 자아관에 나타난 몸과 마음의 성격 및 지위
5. 맺음말
형ㆍ기ㆍ신 : 심신 대립을 넘어선 도가적 정신 해방_김재숙
1. ‘몸’의 발견과 도가 사상
2. 形ㆍ氣ㆍ神 3요소설에 나타난 도가의 심신관계
3. 정신과 함께하는 몸
4. 몸의 해방과 정신의 소요
5. 맺음말
성명과 형기 : 욕망 조절의 성리학적 도식_김경호
1. 인간의 본질과 가치론적 층위
2. 성명과 형기 그리고 욕망의 문제
3. 욕망을 조절하기 위한 성리학적 도식
4. 보편적 덕성과 자기실현
良知와 知覺 : 도덕성의 신체적 근거에 관한 심학적 정초_김미영
1. 문제제기
2. 양명학에서 ‘치양지설’의 등장 배경
3. ‘致良知說’의 성립-‘仁說’의 수용과 변용
4. 양지의 실현과정에 나타난 心身관계-도덕성의 신체적 근거
신기(神氣) : 심(心)ㆍ신(身) 대립구도 극복을 위한 실학적 해법_김철운
1. 들어가는 말
2. 신기의 생성과 인간 기질의 변화
3. ‘몸’ 중심의 심신관의 전개
4. 몸 중심의 가치론적 세계
5. 맺음말
그리스 성 담론에 나타난 에로스와 윤리적 자기 형성 : 「향연」을 읽는 상이한 방식-Nussbaum과 Foucault의 경우_양운덕
1. 문제제기: 「향연」(의 여백)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에로스에서 진리로
3. 윤리적 주체 형성과 철학적 에로스의 새로운 질문
4. 철학적 사랑, 진리를 위한 사랑
5. 알키비아데스의 특수한 에로스-진리
6. 맺는말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ㆍ형상설에 대한 심신가치론적 고찰_손병석
1. 들어가며
2. 아리스토텔레스 이전 영혼ㆍ신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론적 영혼ㆍ신체관
4. 질료형상론적 영혼신체관의 윤리, 정치적 의미
홉스와 루소의 인간관 : 심신관계에 대한 가치론적 고찰_최준호
1. 들어가는 말
2. 욕망(desire)과 자기 보존: 홉스의 인간관ㆍ심신관
3. 동정심(pitie)과 자족: 루소의 인간관ㆍ심신관
4. 홉스ㆍ루소의 심신론과 철학 문화
5. 맺음말
인격 개념을 통해 본 근대적 심신관 : 로크와 칸트의 인격관을 중심으로_김종국
1. 머리말: 왜 로크와 칸트인가? 심신관계론에서 로크와 칸트의 인격론의 위치
2. 실체에서 ‘주체의 의식’으로: 로크 혁명
3. ‘주체의 의식’에서 ‘주체의 도덕성’으로: 칸트
4. 맺는말: 칸트의 ‘도덕 형이상학’이라는 기획
몸과 이성, 자아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한 해석_임홍빈
1. 서문
2. 몸-이성과 자아
3. 맺는말
심신이원론에서 선험적 신체일원론으로 : 멘느 드 비랑에서 메를로-퐁티까지_장문정
1. 들어가는 말: 신체로의 전회
2. 살아 있는 신체의 인간학적 정박
3. 신체적 습관체계: 반성하는 신체가 어떻게 가능한가?
4. 사회적 신체: 타자성의 문제
5. 결론: 주체의 죽음과 저항하는 신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