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가나다 Korean for Japanese: 중급 2 (Paperback) 또는 정관정요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New 가나다 Korean for Japanese: 중급 2 (Paperback) 또는 정관정요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New 가나다 Korean for Japanese: 중급 2 (Paperback)
9788955189032.jpg


도서명 : New 가나다 Korean for Japanese: 중급 2 (Paperback)
저자/출판사 : 가나다한국어학원, 한글파크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3-04-25
ISBN : 9788955189032
정가 : 25000

제1과 종이로 된 책이 없어질지도 모르겠군요
제2과 그렇지 않아도 번호 키로 바꾸려던 참이었는데
제3과 잔심부름 대행업체는 도대체 뭐예요?
제4과 한국에서는 남도 가족처럼 부르는 경우가 많아요
제5과 초대받아 가는건 처음이라 좀 긴장이 되는데
제6과 밤에 근처에 살 데가 아무 데도 없어서 곤란했잖아
제7과 뭐든지 스마트폰으로 가능해요
제8과 심한 악플은 폭력이나 다름없어요
제9과 다시 학교에 다녀 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제10과 이 대리님한테 안 보여줬더라면 연체료 낼 뻔 했어요
제11과 비자 연장 신청을 미리 해 놓는 게 좋을 거예요
제12과 단기간 쓰시기엔 선불폰이 좋으실 것 같아요
제13과 우리나라가 1,2인가족 중심으로 변해 간대요
제14과 제대로 하려면 아직 멀었어요
제15과 요즘 연상연하 커플이 얼마나 많은데요
제16과 어버이날인데 선물 준비하셨어요?
제17과 옛날 같으면 같이 밤을 새워 주곤 했는데
제18과 별걸 다 아시네요
제19과 갖고 싶은 물건을 보면 참지 못했으니까요
제20과 고민 끝에 차를 한 대 사기로 했어요
제21과 절약하기로는 아버지를 따를 사람이 없을 거예요
제22과 걷다 보니 자연과 하나가 되는 듯해요
제23과 도시가 온통 축제 분위기네요
제24과 대도시 한가운데로 큰 강이 흐르고 있는 게 신기해요
제25과 편히 살려고 만든 것들이 문제를 만드는군요
제26과 우리끼리라도 벼룩시장을 열어 보는 건 어때요?
제27과 햇빛을 이용해서 전기를 만드는 거 말이에요
제28과 노래뿐만 아니라 패션까지 따라하는 게 유행입니다
제29과 한국 음식을 즐기는 사람들이 꽤 많더라고요
제30과 한글의 새로운 발견인 것 같아요




정관정요
9788932472041.jpg


도서명 : 정관정요
저자/출판사 : 오긍, 을유문화사
쪽수 : 812쪽
출판일 : 2013-03-30
ISBN : 9788932472041
정가 : 30000

서론 『정관정요』는 과연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중종 경룡(景龍) 3년 상표문
현종 개원(開元) 원년 상표문

1부 정관정요 - 주석론(註釋論)
권1 군치론(君治論)
제1장 군주의 도리를 깨우쳐라 - 논군(論君)
제2장 정사의 요체를 터득하라 - 논정(論政)

권2 규간론(規諫論)
제3장 현신을 임용하라 - 논임현(論任賢)
제4장 규간을 널리 구하라 - 논구간(論求諫)
제5장 간언을 적극 수용하라 - 논납간(論納諫)
[부록] 직간을 장려하라 - 직간(直諫)

권3 감계론(鑑戒論)
제6장 군신 모두 감계를 행하라 - 논군신감계(論君臣鑑戒)
제7장 관원 선발에 신중을 기하라 - 논택관(論擇官)
제8장 공적이 있는 종실만 대우하라 - 논봉건(論封建)

권4 태자론(太子論)
제9장 태자의 위계를 바로 하라 - 논태자제왕정분(論太子諸王定分)
제10장 스승을 존경케 하라 - 논존경사부(論尊敬師傅)
제11장 태자를 엄히 가르쳐라 - 논교계태자제왕(論敎戒太子諸王)
제12장 태자에게 적극 간하라 - 논규간태자(論規諫太子)

권5 공덕론(公德論)
제13장 인의의 정사를 펼쳐라 - 논인의(論仁義)
제14장 충의를 적극 권장하라 - 논충의(論忠義)
제15장 효도와 우애를 행하라 - 논효우(論孝友)
제16장 공평무사를 실천하라 - 논공평(論公平)
제17장 성신의 자제로 임하라 - 논성신(論誠信)

권6 수신론(修身論)
제18장 검약을 솔선수범하라 - 논검약(論儉約)
제19장 겸양의 덕을 체득하라 - 논겸양(論謙讓)
제20장 측은지심을 배양하라 - 논인측(論仁惻)
제21장 좋아하는 것을 삼가라 - 신소호(愼所好)
제22장 언어 표현을 신중히 하라 - 신언어(愼言語)
제23장 참언의 뿌리를 끊어라 - 두참사(杜讒邪)
제24장 허물은 즉각 고쳐라 - 논회과(論悔過)
제25장 사치와 방종을 경계하라 - 논사종(論奢縱)
제26장 탐욕의 근거를 없애라 - 논탐비(論貪鄙)

권7 학예론(學藝論)
제27장 유학을 숭상하라 - 숭유학(崇儒學)
제28장 문학과 역사를 통달하라 - 논문사(論文史)
제29장 예악으로 왕도를 이뤄라 - 논예악(論禮樂)

권8 민생론(民生論)
제30장 본업인 농사를 장려하라 - 논무농(論務農)
제31장 백성을 긍휼히 여겨라 - 논형법(論刑法)
제32장 사면을 신중히 하라 - 논사령(論赦令)
제33장 공물과 조세를 줄여라 - 논공헌(論貢獻)
[부록] 상공의 폭리를 금하라 - 금말작(禁末作)
제34장 흥망의 이치를 터득하라 - 변흥망(辯興亡)

권9 국방론(國防論)
제35장 원정을 신중히 결정하라 - 의정벌(議征伐)
제36장 변경의 안정에 힘써라 - 의안변(議安邊)

권10 군덕론(君德論)
제37장 민폐를 극소화하라 - 논행행(論行幸)
제38장 오락을 절제하라 - 논전렵(論?獵)
제39장 미신에 휘둘리지 말라 - 논재상(論災祥)
제40장 초심을 끝까지 견지하라 - 논신종(論愼終)

2부 정관정요 깊이 읽기 - 치평론(治平論)
제1장 성세론(盛世論) - 정관지치는 왜 성세를 불리는 것일까?
제1절 호환융합과 세계 제국
제2절 북방민족과 관롱집단
제3절 흉노 풍속과 여제 출현
제4절 돌궐 토벌과 황제가한
제5절 고구려 원정과 유언

제2장 군신론(君臣論) - 명군과 현신은 누구를 말하는 것일까?
제1절 군벌 토벌과 창업
제2절 형제혁장과 정변
제3절 태자 교체와 수성
제4절 능연각화상과 24공신
제5절 장손황후와 소황후

역자 후기
부록 - 남북조 및 수당 세계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